초중고 영어수업 ‘후퇴’
영어로 수업하는 초·중·고 교사들이 해가 갈수록 줄고 있다.
이같은 사실은 6일 전북대 전병만 교수팀이 작성한 ‘초·중등 영어교육 현황 분석’ 보고서에서 파악됐다. 교육인적자원부는 최근 전 교수팀에 초등 영어교육 10년을 맞아 그동안의 영어교육 현황 파악과 개선책 모색을 주문했다. 이에 따라 교육부는 영어교사 양성 연수체계 개선을 포함한 다양한 개선안을 마련 중이다.
●“임용시험 유능한 영어교사 선발 못해”
보고서에 따르면 2005년 12월 기준으로 주당 1시간 이상 영어로 수업을 진행하는 초중고 영어교사 비율은 17.6%로 파악됐다.2002년 6월의 19.9%,2003년 6월의 22.3%,2004년 6월 19.9%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주로 한국어로 수업을 진행하는 비율’은 2002년 6월 조사에서 9.5%였으나 2003년 9%,2004년 10.7%,2005년 12.9%로 늘었다. 특히 중학교 교사들의 경우,‘주로 한국어로 수업을 진행’하는 비율이 아주 낮은 데 반해 고교 교사들의 경우, 그 비율이 상당히 높았다. 중학교 교사들의 경우 2002년 1%,2003년 1.5%,2004년 2%,2005년 3.7%였다. 반면 고교 교사의 경우 한국어로 영어수업을 진행하는 비율이 2002년 6월 7.8%에서 2003년 6월에 5.8%를 거쳐 2004년 6월 10.8%,
지난해 6월에 17.7%로 크게 높아지는 추세였다. 전체적으로 영어교사의 70%가량은 영어와 한국어를 섞어가며 수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 교사 5명중 1명꼴로 지난해 영어 관련 연수에 참가해 영어교사들의 직무교육도 미흡한 것으로 지적됐다.
지난해 전국 7만 4463명의 영어교사 가운데 영어관련 연수에 참여한 교사는 1만 6330명으로 평균 22.2%였다.6개월 과정의 영어교사 심화연수 참여는 최근 3년간 평균 1%에 불과했다. 현행 영어교사 임용시험에 대해서 사범대 교수의 52.7%, 현직교사의 33.3%가 유능한 영어교사를 선발하고 있지 못하다고 생각한다고 응답했다.
●초등학교, 영어수업시간 중국의 3분의1
23개 국가들의 영어수업시간을 조사한 결과 중·고교는 다른 국가들과 큰 차이가 없었으나 초등학교는 절반 수준에 그쳤다. 우리나라 초등 3∼4학년의 영어교육 시간은 연간 34시간,5∼6학년은 68시간이었다. 반면 중국의 경우 초등 1∼2학년은 연간 75∼105시간,3∼6학년은 105시간에 달했다.
박현갑기자 eagledu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