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체력검사, 건강측정 위주로
올해부터 초·중·고 체력검사가 운동능력검사 방식에서 심폐지구력, 유연성, 비만 등 건강도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바뀐다. 초등학교 5학년부터 고 3학년까지이던 검사대상도 초등 1학년부터 고 3학년까지로 확대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5일 학생들의 비만이나 체력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학생건강검사 규칙 개정안을 입법예고했으며 다음달부터 시행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올해 전국의 초등학교를 시작으로 2010년에는 중학교, 2012년에는 고등학교에서 건강체력평가를 전면 실시한다.
새로 도입되는 건강체력평가는 학생들의 건강도를 평가해 그 결과에 따라 운동 처방을 내리게 된다. 이를 위해 심폐지구력, 유연성, 근력·근지구력, 순발력, 체지방 등을 검사하게 된다.
구체적 검사종목으로는 현행 50m 달리기, 오래달리기 걷기(초등생은 1000m, 중·고 남학생은 1600m, 중·고 여학생은 1200m), 제자리 멀리뛰기, 팔굽혀펴기(중·고 남학생) 및 팔굽혀 매달리기(중·고 여학생), 윗몸 일으키기,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 등 6개에서 왕복 오래 달리기, 오래 달리기 걷기, 스텝(발 움직임)검사,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 종합 유연성검사, 팔굽혀 펴기(남) 및 무릎대고 팔굽혀펴기(여), 윗몸말아 올리기, 악력(握力), 50m 달리기, 제자리 멀리 뛰기, 체지방률, 체질량지수 등 12개로 바뀐다. 학생들은 이 가운데 자신의 체력 상태에 맞게 5개를 고르게 된다.
12개 필수평가 종목 외에 ▲근육량, 지방량, 체지방률 등을 측정하는 비만평가 ▲심폐능력 정밀평가 ▲설문지로 자신의 신체 상태를 체크해 보는 자기신체평가 ▲자세 이상, 신체 뒤틀림 등을 평가하는 자세평가도 새롭게 도입된다.
박현갑기자 eagledu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