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유치원·초·중·고 99% 석면 검출
전국 유치원 및 초·중·고교에서 거의 다 석면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석면은 극소량 흡입으로도 폐암 등 치명적인 질병을 일으키는 광물로 열과 전기가 잘 통하지 않아서 방열재, 방화재, 절연용 재료 등으로 많이 쓰인다.
29일 교육과학기술부가 민주당 김춘진 의원에게 제출한 석면 관리 종합대책 조사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3158개 유치원 및 초·중·고교, 특수학교 가운데 99.1%인 3128곳에서 석면이 나왔다.
2007년 전국 100개 학교 표본조사 때는 88%였다.
교과부는 석면 위험성에 대한 지적이 계속되자 표본조사에 이어 지난해부터는 전국 모든 유치원과 초·중·고교(2만 15개교)를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하고 있다.
이날 공개된 자료는 지난 2월까지 조사가 끝난 약 16%의 학교에 대한 결과를 취합한 것이다.
석면이 검출된 3128곳 가운데 위험 정도가 가장 높은 ‘1등급’에 속하는 학교는 초등학교 8곳, 중학교 7곳, 고교 6곳, 특수·기타학교 1곳 등 22곳으로 집계됐다.
1등급이란 천장, 벽 등 석면이 사용된 건물의 훼손 부위가 전체 면적의 10% 이상으로 비산(飛散) 우려가 있는 경우를 말한다.
1등급 판정을 받은 학교 수를 지역별로 보면 경기도가 12곳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경남 4곳, 부산 3곳, 충북 2곳 등이었다.
2등급(훼손 정도가 10% 미만)을 받은 학교는 유치원 15곳, 초등학교 197곳, 중학교 108곳, 고교 97곳, 특수·기타학교 3곳 등 420곳이었다.
시각적으로 훼손이 없는 3등급 학교는 유치원 148곳, 초등학교 1441곳, 중학교 716곳, 고교 365곳, 특수·기타학교 16곳 등 2686곳이었다.
교과부는 연말까지 전수 조사를 끝내고 이를 토대로 학교 도면에 석면 의심 건축자재가 사용된 곳을 표기한 뒤 ‘나이스’(교육행정정보시스템)에 등록, 관리할 수 있도록 ‘석면지도’를 작성할 계획이다.
또 1등급으로 분류된 학교는 즉시 보수하고 예산 소요액 등을 추정해 내년 상반기까지 종합적인 석면 관리 대책을 수립하기로 했다.
박현갑기자 eagledu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