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박현갑
    2025-08-25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4,523
  • 閣議 상정 안건 한글로 표기

    앞으로 국무회의에 상정되는 대통령안이나 일반안건 등은 원칙적으로 한글로 표기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한자나 기타 외국어는 필요한 경우에 한해 괄호 안에 표기하게 된다. 행정자치부는 12일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국무회의에 상정할 의안작성법을 이같이 개선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김대통령은지난 10일 국무회의에서 “법안에 한자를 표기할 경우,괄호 안에 써넣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지적했었다. 이에 따라 그동안 제안이유와 주요골자를 국·한문 혼용으로 표시해오던 대통령안은 한글 중심으로 표기하게 된다.다만 필요한 경우에 한해 한자나 기타 외국어를 병기하게 된다.본문의 경우,현재도 한글로 표기하도록 되어 있다. 일반안건이나 보고안건도 국·한문 혼용에서 한글표기로 바뀐다. 한편 법률안의 경우,국회에서 국·한문 혼용표기를 하도록 요구하고 있어현재처럼 국·한문 혼용이 지속될 전망이다. 박현갑기자 eagleduo@
  • 수해복구工事 계약금 높여 지급

    행정자치부는 수해복구 시공업체에 계약금액 가운데 최고 70%까지를 착공이전에 지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수해복구사업 조기집행 지침을 전국 시·도에 시달했다. 공사 이전에 미리 주는 선급금은 현재 20∼50% 선이지만 지침에 따라 30∼70%로 상향조정된다. 특히 도로,하천,제방,농경지 등 대규모 복구공사의 경우 ▲여러 업체가 동시에 참여할 수 있는 분할계약제 ▲입찰공고기간을 5일 정도로 단축하는 긴급입찰제 ▲경쟁입찰에 드는 시간을 줄이기 위한 수의계약제 등을 활용하게된다. 행자부는 또 도로,다리 등 공공시설물의 경우 피해 인접지역 기술직 공무원과 민간 설계 기술자 등으로 측량설계 지원단을 구성,복구 지원계획이 확정되는 대로 투입시켜 이전처럼 측량·설계인력 부족으로 착공이 늦어지는 일이 없도록 했다. 이와 함께 전파·반파된 민간 건축물의 안전진단을 위해 건설안전기술공단기술자 등 5개반 35명을 파주·동두천·가평·철원 등 피해지역에 파견했다. 한편 행자부는 재해대책비를 조기에 집행하기 위해 지방의회 의결을 거치지않아도 대책비를 집행할 수 있도록 지방재정법을 개정할 방침이다. 행정자치부는 이같은 조치를 통해 복구시기를 예년보다 3∼4개월 앞당길 수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박현갑기자 ea
  • 공무원 제안 ‘커닝 못한다’

    그동안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별도로 운영하던 공무원제안제도가 내년부터 통합운영된다. 행정자치부는 11일 “공무원제안제도가 중앙과 지방이 따로 운영되면서 이미 제안으로 채택된 것을 또다시 제안으로 내놓는 등 문제점이 있어 이같은개선방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행자부는 이에 따라 각급 중앙행정기관의 부기관장으로 구성·운영돼 오던중앙제안심사위원회를 폐지하기로 했다. 대신 제안심사의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민간 및 전문가 중심으로 된 실무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했다.이 위원회에서는 공무원이 제안의 인정대상 범위를 명확히 정하게 된다.이렇게 되면 업무와 관련,당연히 개선해야 할 사항은 제안에서 제외될 것으로 보인다. 공무원이 낸 제안이 창안으로 채택되면 특별승진이라는 인사 특전이 부여된다. 박현갑기자
  • 행자부, 수해 자원봉사 학생도 정부표창

    수해현장에서 꾸준히 복구활동을 해온 자원봉사 학생들도 정부 표창 수여대상에 포함될 전망이다. 행정자치부는 11일 수해복구활동을 한 자원봉사 학생들에 대한 포상방안을강구하라는 김종필(金鍾泌)국무총리의 지난 10일 국무회의에서의 지시와 관련,“이같은 방안을 검토중”이라고 밝혔다. 행자부는 내주 중으로 수해복구 자원봉사활동 종합보고서를 작성할 때 이같은 방안을 포함시키기로 하고 대상자 선발기준 등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행자부는 수해지역에 설치된 자원봉사 임시센터에서 추천을 받아 선발하는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 행자부 관계자는 “중·고교 학생들의 경우 사회봉사활동 점수를 받기 위해 참석하는 경우도 있는 만큼 수년간에 걸쳐 자원봉사활동을 꾸준히 해왔거나 다른 사람의 모범이 될 만한 사례가 있는 경우 등 봉사활동내용을 세밀히따져 포상 여부를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집중호우를 입은 수해지역에서 자원봉사활동을 편 사람은 지난 4일부터 10일 현재까지 모두 2만2,660명이며 이 가운데중·고교생은 2,700여명이며 나머지는 대학생과 주부,회사원 등 일반인이다. 박현갑기자 eagleduo@
  • 소방직 부상치료 본인부담 줄인다

    앞으로 소방공무원이 화재를 직접 진압하다 부상이나 화상을 입을 경우,특수화상치료제,지정진료비,MRI촬영료,병실료 차액 등은 본인이 부담하지 않고국가에서 지급하게 된다. 이에따라 소방공무원들의 치료비 부담이 줄면서 사기도 크게 진작될 것으로보인다. 행정자치부는 10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공무상 요양제도 개선방안을공무원 연금법 개정때 반영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산업재해보상보험 요양비 산정기준에 따라 발생하는 본인부담금 가운데 치료에 불가피하다고 판단되는 치료비는 본인이 부담하지 않고 공무상 특례를 인정,공무상 요양비로 국가에서 처리하게 된다. 정부가 검토중인 치료비 항목으로는 독방 사용에 따른 일반 병실료와의 차액,MRI촬영료,특진료,특수화상치료제,화상복 등 특수보조기 사용료 등이다. 이같은 특례는 소방공무원이 화재를 직접 진압하던 중,부상이나 화상을 입었을 경우에 한한다. 그동안 일선 소방공무원들은 산재보험 기준이 지나치게 낮고,특진 일상화,신기술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는 점 등 현실적인 여건을 감안해 본인부담비용을 줄여줄 것을 촉구했었다. 한편 지난해에 공무상 요양을 받은 소방공무원 163명을 상대로 본인비용부담 여부를 조사한 결과,요양비용 2억7,200만원 가운데 약 14%인 3,200만원을 본인부담으로 지불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0월 43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한 부산시 서구 암남동 냉동창고 화재때 진화에 나섰다가 갑작스런 폭발로 중화상을 입은 부산시 소방본부 소속대원 7명의 경우,치료비 전체의 15.5%인 164만여원을 본인이 부담했다. 박현갑기자 eagleduo@
  • 을지연습 16일부터 27일까지

    정부와 한미연합사령부는 오는 16일부터 27일까지 연례 전투지휘훈련인 을지포커스렌즈연습(UFL)을 실시한다고 10일 발표했다. 올해로 24번째인 이번 훈련에 정부와 한미연합사는 16∼21일 공동으로 참여하며,22∼27일에는 한국군과 주한미군 7만여명이 합동으로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기 위한 군사훈련을 실시한다. 한편 정부는 수해지역에 대해서는 을지연습을 축소,시행키로 했다. 대상지역은 경기 의정부·동두천·파주·김포시와 양주·연천·포천·가평군,강원 철원·화천·양구·인제군 등 12개 시·군 등이다. 우득정 박현갑기자 djwootk@
  • “이제야 정상생활”6천명 호적취득

    호적(戶籍)이 없어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겪던 6,000여명의 국민이 호적을갖게 됐다. 행정자치부는 10일 지난 1월부터 6개월간 ‘무호적자 일제조사 및 취적(就籍) 지원사업’을 벌여 버려진 아이 2,880명을 포함,모두 6,357명에게 호적을 취득할 수 있도록 조치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97년 498명,98년 237명에 비해 대폭 늘어난 것이다.지역별로는서울 1,439명,경기 787명,부산 720명,충북 504명,전북 465명 등이다.여성(3,198명)이 남성(3,159명)보다 약간 많다. 특히 이들 가운데 20세 이상인 2,987명은 그동안 취학도 안될 뿐 아니라 주민등록증이나 의료보험증,신용카드 등을 전혀 발급받을 수 없는 형편이어서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없었다. 한편 이번 사업으로 경기 여주에서 태어나 부모의 무관심과 학대로 출생신고도 하지 못한 채 가출,충남 서산에서 살아온 백모씨(70·여)는 호적을 갖게 된 것은 물론 60년만에 언니(72),남동생(54)과 재회하는 기쁨까지 누렸다. 또 김모씨(75.여)는 정신이상 증세로 자기 이름도 기억하지 못한 채 떠돌아다니다지문 조회로 경기 수원에 살고 있는 아들과 23년만에 상봉했으며,아주 어려 부모를 여의고 고아원을 전전하다 결혼,전남 장흥에 터를 잡은 신모씨(60·여)는 이순의 나이에 비로소 호적을 취득,새로운 인생을 살게 됐다. 행자부 관계자는 “그동안 기아(棄兒)를 제외한 무호적자는 1만여명으로 추정됐으나 이번 사업으로 대부분 호적을 갖게 됐다”고 설명했다. 박현갑기자
  • 태풍·호우피해 현지조사 실시

    지난달 23일부터 시작된 집중호우와 태풍피해에 따른 피해규모를 파악,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현지조사가 11일부터 일주일간 실시된다. 정부는 10일 행정자치부와 건설교통부,농림부 등 9개 부처와 15개 시·도관계자 342명으로 합동조사단을 구성,피해가 극심한 경기·강원지역에서 호우피해 원인과 피해상황 등에 대한 정밀조사를 벌인다고 밝혔다. 행자부는 조사단의 조사결과를 토대로 구체적인 복구계획과 지원대책 등을오는 31일까지 확정,시행에 들어갈 방침이다. 한편 행자부는 10일부터 오는 30일까지 각 자치단체 주관 하에 전국 체육관람시설 606곳에 대한 안전관리실태를 일제 점검,위험 정도에 따라 단계별 안전조치를 강구할 예정이다. 박현갑기자 eagleduo@
  • 풍·수해 10년간 피해 실태

    풍수해 등 자연재해로 1년에 평균 164명이 사망하거나 실종된 것으로 파악됐다. 이재민은 연평균 4만3,777명이 발생했으며 재산피해액도 5,799억여원으로집계됐다. 이같은 사실은 지난 89년부터 98년까지 최근 10년 동안의 자연재해 피해현황을 조사한 결과 나타났다. 조사기간중 인명피해가 가장 많았던 해는 98년으로 384명이 사망하거나 실종된 것으로 조사됐다.이어 307명의 인명피해를 낸 89년,257명의 90년 순이었다. 이재민의 경우 20만3,314명으로 집계된 90년이 가장 많았다.다음으로 89년의 9만2,593명,95년의 3만408명 순이었다. 재산피해는 연평균 5,799억원으로 나타났다.도로·하천 등 공공시설물 손실이 3,717억원으로 가장 많았다.이어 피해액이 418억원으로 나타난 농경지,건물(94억원),선박(49억) 순이었다. 98년 환산가격 기준으로 재산피해액이 가장 많이 난 해는 98년으로 1조5,828억원의 재산피해가 난 것으로 파악됐다.이어 9,129억원의 90년,8,048억원의89년 순이었다. 인명피해는 95년과 98년을 제외하고는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재산피해는 계속 증가하고 있어 대조를 이뤘다.실제로 인명피해가 각각 38명과 40명으로 비슷했던 97년과 92년의 재산피해는 98년 환산가격 기준으로 2,142억원과 315억원으로 큰 격차를 보였다. 중앙재해대책본부는 지난해 피해집계가 엉터리였다는 지적을 감안,이번 피해는 시간을 두고 집계해 다음주 초에 밝힌다는 방침이다. 박현갑기자
  • 지자체간 수해복구돕기‘밀물’

    ‘이웃의 고통은 나의 고통,사랑으로 고통을 덜자.’ 집중호우로 2만4,000여명의 이재민이 생긴 경기·강원지역에 전국 지방자치단체의 성원이 줄을 잇고 있다. 지난 2일부터 4일까지 경기·강원도 일대의 수해현장을 찾은 지자체는 서울대구 인천 광주 울산 전북 전남 경북 제주 등 9개 광역지자체다. 이 지자체들에서는 지역주민들의 온정이 담긴 쌀·라면과 생수 등 구호물품은 물론이고 방역차량,앰뷸런스도 지원하고 있다. 서울의 경우 급수차량 42대와 급식차량 2대,구호물품 1,000세트,라면 1,000상자,의류 4,000여점,생수 등을 지원했다. 전남은 라면 3,000상자,밀국수 100상자 등 4,500만원 어치의 구호물품과 포크레인 10대,소독차량 10대 등도 지원했다. 이같은 지자체의 성원은 5일에도 이어졌다.부산 대구 광주 대전 충북 충남전북 경남 등 8개 지자체가 지원 행렬에 가담했다. 부산에서 백미 223부대,참치캔 200상자,김 1,600상자 등 2,000만원 어치의물품을 보냈다. 충북은 김치 1.2t,생수 3.8t,백미 238부대 등 1,500만원 어치의 성원을 보냈다. 한편 국방부 행정자치부 경찰청 산림청 등 중앙부처에서도 인력과 장비 등을 동원,농경지 복구 및 축사사료 공수지원,도로복구 지원 등 재기에 동참하고 있다. 박현갑기자 eagleduo@
  • 이재민 생활안정비 조기 지급

    중앙재해대책본부는 6일 이달말까지 집중호우와 태풍으로 인한 수해지역 복구계획을 수립하되,이재민 생활 안정과 응급복구를 위한 복구비 일부는 복구계획 수립이전에 조기에 지원하기로 했다. 중앙재해대책본부는 이를 위해 지방자치단체별로 오는 9일까지 수해지역 피해조사를 마무리하고,중앙합동조사반의 실사를 거쳐 이달말까지 종합적인 수재 복구계획을 확정할 방침이다. 재해대책본부는 이와 관련,이번 수재로 가장 큰 피해를 입어 12개 조사반을 편성,조사에 착수한 경기도외에 강원·인천·전북·전남·경북·경남 등 6개 시·도에 피해조사를 신속히 마무리하도록 지시했다. 또 올해초 예산회계법 개정에 따라 도입된 ‘선집행 후정산’ 원칙에 따라복구계획 수립이전이라도 시·도에서 요청하는 이재민 생활안정자금이나 응급복구비용은 부분적으로 조기 지원할 계획이다. 박현갑기자 eagleduo@
  • 쓰레기적환장 32곳 확보

    ‘남은 것은 쓰레기처리 문제’ 수해 지역의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해 정부가 발벗고 나섰다. 지난해에도 수도권쓰레기 매립지 반입이 한때 저지된 것은 물론이고 환경미화원들이 수해지역에 집중투입되면서 일반 지역의 쓰레기 수거를 제때 못해전국적으로 악취 등 적지않은 문제점이 노출됐기 때문이다. 지난달 31일부터 4일까지의 호우 및 태풍으로 인해 발생한 쓰레기는 4만9,929t. 이 가운데 처리된 것은 8,864t에 불과하다.아직 처리가 안된 쓰레기는 경기도가 3만6,522t으로 가장 많다.이어 강원이 3,400t,인천 541t,경남 400t 등이다. 정부는 이에 따라 대책마련에 분주하다. 우선 경기도 연천군 부근의 군 사격장 2만평을 임시로 쌓아두는 곳(적환장)으로 만들어 4,000t을 수용했다.또 수도권에 임시적환장 32곳을 확보,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다. 이밖에 쓰레기 운반차량 부족으로 반출이 지연되고 있는 경기도 연천군에덤프트럭 등 장비 146대를 건설협회,시·군과 인군 군 부대 등에서 지원받아 3,000t을 처리하기로 했다. 나아가 7일부터 수해지역 쓰레기를 수도권 매립지에 반입할 수 있도록 매립지 운영관리조합측과 협의,쓰레기 처리를 신속히 한다는 방침이다.수해지역의 쓰레기 처리에 따른 비용은 정부에서 부담할 계획이다. 매립지운영 관리조합측에서도 이같은 사정을 감안,최대한 협조할 예정이다. 조합측은 수해지역 일반 쓰레기의 경우 종량제 봉투를 사용하지 않아도 반입토록 했다. 조합측은 그러나 죽은 가축 반입이나 사업장의 폐기물 등은 절대 반입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한다.또 대형 냉장고와 텔레비전,옷장 등은 포크레인 등으로 부순 뒤 반입해야 하며 물에 젖은 쓰레기는 건져낸 뒤 소독해야 한다고지적한다. 그러나 수해지역 주민들로서는 한동안 적지않은 고통을 감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쓰레기 치우는데도 인력이 모자라 분리작업은 아직 엄두도 못내는 지경이기 때문이다.나아가 장기간 임시적환장에 보관할 경우 장티프스나 이질 등 질병 발생 가능성이 우려된다. 실제로 지난해 수해지역 전체가 쓰레기장이나 다름 없었을 정도로 인력과장비 등이 절대 부족해 ‘쓰레기 및 악취 대란’을 겪은 바 있다. 박현갑기자
  • “급할땐 역시 119가 최고”

    119 구급대 이용률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행정자치부는 5일 “올 상반기 중 119구급대가 이송한 응급환자는 46만61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29만9,561명보다 53.6%가 증가했다”고 밝혔다. 행자부는 이같은 증가추세로 볼 때 내년도 119 구급대 이용환자는 100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119 구급대를 이용한 환자유형은 만성질환자가 13만7,653명(29.9%)으로 가장 많았다.이어 급성질환 11만624명(18.8%)▲사고 부상 8만6,550명(18.8%)▲교통사고 6만532명(13.2%)▲약물중독 1만69명(2.2%)▲임산부 4,398명(1.0%)순이었다. 박현갑기자 eagleduo@
  • 재해대책본부 집계 내용

    중앙재해 대책본부는 4일 중부지방 집중호우와 태풍 ‘올가’로 이날 오후4시 현재 37명이 숨지고 26명이 실종되는 등 모두 63명의 인명피해가 난 것으로 잠정집계했다.또 이재민은 2만3,910명으로 파악됐다. 재해대책본부에 따르면 시·도별 인명피해 상황은 경기도가 사망 13명에 실종 6명 등 모두 19명으로 가장 많았다.이어 강원도 17명,경북 11명,전남 7명,인천 4명,충남·전북 각 2명,광주 1명 등이다. 이 가운데 태풍 올가로 인한 인명피해는 광주 1명,전북 2명,전남 7명 등 모두 10명(사망 5명,실종 5명)으로 호남지역에 집중됐다.37명의 사망자 가운데에는 훈련 중 방호벽 붕괴 및 초소근무 중 산사태 등으로 숨진 군인 6명이포함되어 있다. 이재민은 경기,강원,인천,서울 등은 물론 경북,제주 등 전국적으로 모두 7,991가구에 2만3,910명이 발생했다.이 가운데 4,240명은 귀가하고 나머지 1만9,670명은 학교와 관공서,마을회관,교회 등에 분산수용됐다. 주택은 9,413채가 침수됐다.농경지는 4만5,554㏊가 침수(4만4,064㏊)되거나유실(1,490㏊)됐다. 이밖에 경기도 연천,강원도 철원 등의 도로 268곳과 인천,강원,경기 등 273곳의 하천이 유실됐다. 교통은 침수된 도로에서 물이 빠지거나 태풍 올가가 빠져 나가면서 여객선과 항공기 운행 등이 재개돼,4일 오후 3시 현재 도로 11곳과 금촌~문산간 철도,서울~여수·진주·울산간 3개 항공노선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정상화됐다. 홍수와 태풍으로 재산피해도 엄청났지만 정확한 피해액 집계에는 다소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박현갑기자 eagleduo@
  • 내년 공무원 연수 크게 늘린다

    내년도 국가직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국내 대학원 위탁 교육이 400명으로 70명이던 올해보다 5.7배나 늘어날 전망이다.7·9급 출신 공무원들의 사기진작 대책 차원에서다. 또 국외훈련 대상자도 올해보다 다소 늘게 된다. 행정자치부는 4일 “예산당국에서 예산을 절약하기 위해 내년도 공무원 교육훈련비를 올해 수준으로 동결하려 했으나 공직사회의 경쟁력 제고와 사기진작을 위해 국내훈련을 중심으로 대상자를 늘리기로 최근에 잠정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내년도 국내훈련비는 올해보다 약 13억원이 더 늘어난 273억원이 될 전망이다. 또 장기(1∼2년) 국외훈련은 올해 188명에서 210명으로,단기(6개월 이하)는 260명에서 500명으로 각각 늘어난다. 박현갑기자 eagleduo@
  • 정부 수해복구 대책비 5,800억 긴급 방출

    중앙재해대책본부는 4일 중부지방 집중호우와 태풍 ‘올가’로 수해를 입은지역의 조속한 응급복구를 위해 민·관·군 합동으로 복구활동에 나서도록관계부처와 전국 각 지자체에 지시했다. 정부는 이에따라 신속한 수해복구 지원을 위해 2차 추경예산에 재해대책예비비를 증액하고 주택과 공장 등의 복구에 쓸 자금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진념(陳稔) 기획예산처 장관은 “집중호우로 인한 중앙재해대책본부의 피해상황 집계가 이번 주말쯤 끝나는 대로 국회에 제출된 2차 추경예산안에 재해대책예비비를 증액시켜 줄 것을 국회에 요청키로 했다”고 말했다. 진장관은 “이미 확보돼 있는 5,800억원의 재해대책비는 긴급히 필요한 곳에 우선 사용하고 나중에 정산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국방부는 2만9,000여명의 병력과 중장비 차량 등 장비 476대를 긴급 투입,대민지원활동에 나섰고 경찰도 123곳에 1,386명을 지원,유실된 도로와 교량등을 복구하는 데 주력했다. 건설교통부는 이날 수해를 입은 수도권 지역내 전용면적 25.7평 이하 주택과 읍·면지역의 30.3평 이하 주택에 대해 가구당 810만∼1,620만원(연리 3%,5년 거치 15년 상환)을 복구자금으로 대출해 주기로 했다. 이번 수해로 완전히 부서진 중소형 주택은 융자금과 무상지원비 등을 합쳐 2,700만원,반쯤 부서진 주택은 1,350만원을 각각 지원받을 수 있다. 산업자원부는 경영안정자금과 소상공인지원자금 명목으로 편성돼 있는 800억원을 수해지역 중소기업과 영세상인에게 우선적으로 융자해주기로 했다.또경영안정자금·중소기업구조개선자금·공제사업기금 대출금의 만기가 하반기에 도래하는 경우 상환기간을 6개월 연장해주기로 했다. 이와함께 침수 가옥은 전기요금 납기를 연장하고 계량기 등 전기시설이 유실된 가구는 전기요금을 면제할 방침이다. 노동부도 수해를 입은 사업주에게 산재보험 및 고용보험료 납부기한을 2000년 3월 10일까지 연장해 줄 계획이다.그리고 유실되거나 파손된 기계 및 기구를 바꾸거나 새로 구입하면 연리 3%,3년 거치 7년 상환 조건으로 업체당최고 5억원까지 융자금을 지원한다.특히 수해로 경영이 악화됐지만 고용유지노력을 하는 사업주에게는 고용유지 근로자임금의 3분의 2와 훈련비를 지원해주기로 했다. 김명승 박성태 박현갑 김상연기자 mskim@
  • 지방교부금 비율 인상 ‘줄다리기’

    내년부터 지방자치단체의 ‘돈 주머니’가 두둑해질 수 있을까. 정부부처간 이견을 보여온 지방교부세의 법정교부율 인상문제가 행정자치부의 지방교부세법 개정안 입법예고를 계기로 본격적으로 거론되기 시작했다. 행자부는 입법예고안대로 내년부터 시행한다는 입장인 반면 재정경제부와기획예산처는 난색을 표명하고 있다. 개정안의 주요 내용은 내국세 총액의 13.27%로 되어 있는 지방교부세 교부율을 2000년부터 17%로 올린다는 것이다.이럴 경우 올해 내국세 기준으로 1조8,000억원이 지방자치단체에 더 내려가게 된다.때문에 전국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이 법 개정안의 국회 통과를 목을 빼고 기다리고 있다.지자체에서는주민들의 다양한 행정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교부율을 높여야 한다고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개정작업이 순탄하지만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재경부는 이 문제는 한·미 자동차협상에 따른 자동차세 인하분 보전문제,국가·지방간 기능 및 재원조정방안 등과 연계해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한다며 당분간 현행 제도를 그대로 두자는 입장이다. 기획예산처도 법정교부율 인상은 반대다.법정교부율은 현행대로 유지하되대신 지방주행세 2,900억원을 포함해 증액교부금 형태로 1조8,000억원을 지자체에 주면 되지 않겠느냐는 대안을 내놓고 있다. 행자부는 그러나 이같은 대안이 탐탁하지 않다.지방세와 국세 비중이 20 대80으로 국세 위주로 세원이 편중된 상태에서 증액교부금은 지방의 자주 재원확보와는 거리가 멀고 지방에 시혜를 베푸는 듯한 인상을 준다. 게다가 국가예산 사정을 이유로 안주면 그만이기 때문에 지자체의 재원 안정을 위해서라도 교부율 인상을 법정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편 지방교부세 교부율 인상은 대선공약으로 대통령은 취임 이후 시·도지사 오찬때 등 여러차례 공개된 장소에서 이같은 입장을 재확인했다. 행자부 관계자는 “대통령이 교부율 인상을 누누이 강조했음에도 불구하고경제부처에서는 이를 두고 대통령의 지자체에 대한 관심의 표현으로 이해하면 된다는 식”이라면서 “법정교부율 인상문제가 정부입법으로 되지 않을경우 의원입법을 해서라도 반드시 관철시키겠다”고 각오를 다졌다. 박현갑기자 eagleduo@
  • 수해복구 현장에 자원봉사단체 뜬다

    수해복구 현장에 한국자원봉사 단체협의회 등 민간단체들 뛰어든다. 행정자치부는 3일 정부 세종로청사에서 한국자원봉사 단체협의회,새마을운동중앙협의회,삼성 사회봉사단 등 민간단체와 수해지역 시·도 관계자들이참석한 가운데 수해복구 자원봉사활동 추진회의를 갖고 ‘수해복구 자원봉사 중앙본부’와 ‘수해복구 자원봉사 임시센터’,‘자원봉사 센터’를 각각구성키로 했다.중앙본부는 새마을운동 중앙협의회에 설치돼 자원봉사 활동을 총괄 조정하게된다.또 정부 부처와 협력 등의 역할도 맡는다.피해지역 이재민 수용소 등에 설치되는 자원봉사 임시센터는 현장에서 자원봉사활동을 펼친다. 수해지역 이외의 자원봉사 센터는 자원봉사자를 모집,수해지역 임시센터와연계해 복구활동을 전개한다.수해복구 자원봉사 활동을 희망하는 사람은 서울·경기·강원 등 해당시도 및 시·군·구의 자원봉사 담당부서와 수해복구 자원봉사 중앙본부는 (02)2600-3680∼5번이다. 서울시 자원봉사 담당부서는 (02)3707-8283,경기도 자원봉사 담당부서는 (0331)249-2241,강원도 자원봉사 담당부서는 (0361)250-2223번이다. 박현갑기자 eagleduo@
  • 기부금품 모집 허가조건 완화

    정부의 기부금품 모집허가 조건이 대폭 완화될 전망이다. 행정자치부는 3일 “최근 대법원이 내린 기부금품 모집 불허가 취소판결을계기로 시민단체에서 모집허가를 자율화해 달라는 요구가 늘고 있는 점을 감안,현행 기부금품 모집허가제도 개선 등 법령 전반에 대한 개정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행자부는 이에 따라 현행 4가지로 되어 있는 기부금품 모집허가 요건을 구체화하고 이 허가요건에 부합되면 최대한 허가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현행 기부금품 모집규제법은 기부금품 사업범위를 ▲국제적으로 행하여지는 구제사업 ▲천재지변,기타 이에 준하는 재난의 구휼(救恤)사업 ▲불우 이웃돕기 등 자선사업 ▲공익을 목적으로 국민의 적극적 참여가 필요한 경우로제한하고 있다. 정부는 지금까지 준조세 근절 차원에서 이같은 허가요건을 엄격히 해석,사실상 대부분의 모집신청을 불허해 왔다. 행자부 관계자는 허가요건 개정방향과 관련,“허가요건 가운데 하나인 국제적인 구제사업을 코소보 및 소말리아 난민돕기 등으로 구체적으로 표시하는방안 등 여러가지 방안을 검토중에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그러나 허가제를 신고제로 바꾸지는 않는다는 방침이다.신고제로 바꿀 경우 각종 시민단체 등에서 기업체를 찾아다니며 기부금품을 강요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과 다름없어 정부의 준조세 근절방침과 위배된다는 것이다. 한편 대법원은 지난달 27일 북한 어린이 살리기 의약품 지원본부가 행정자치부를 상대로 낸 기부금품 모집 불허가 취소 청구소송 상고심에서 “북한어린이를 위한 의약품지원 모금은 기부금품 모집규제법이 정한 허가요건에해당되므로 이를 불허하는 것은 재량권을 일탈하거나 남용하는 것으로 위법”이라고 판시,피고패소 판결을 내린 원심을 확정했다. 박현갑기자 eagleduo@
  • 「중부 물난리」손발 안맞는 대책본부

    재해대책본부의 집중호우로 인한 인명피해 집계가 대상자를 빠뜨리거나 늦게 되는 등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어 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 때문에 언론사 자체 집계와 중앙재해대책본부의 최종 집계는 적지않은차이가 발생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 1일의 경우 최소한 16명 이상 인명피해가 난 것으로 언론사는파악했으나 중앙재해대책본부 집계는 12명에 불과하다 2일 오전이 돼서야 16명으로 늘어났다. 중앙재해대책본부는 이에 대해 “우리 집계가 위로금과 생계보조금 산정의근거가 되기 때문에 신중을 기하지 않을 수 없다”면서 이해를 당부했다. 홍수구경을 하다 본인 실수로 실족해 사망하거나 대피지시를 따르지 않아발생한 사고 등은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로 보지 않으며 따라서 위로금도 지급되지 않는다.인명피해 조사는 사고지 관할 경찰서장의 확인을 받아 조사하게 돼 있다. 이 지침은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여부를 떠나 인명피해 발생 사실 자체는 즉시 보고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 1일 경기도 재해대책본부는 경찰조사 내용과 달리 보고,빈축을 샀다.도 재해대책본부는 임진강변에서 야영중 급류에 실종된 것으로 발표했던 박유용(45·의정부시 의정부1동)씨에 대해 지난 1일 오후 늦게 ‘사실이아닌 것 같다’며 실종자 명단에서 제외해 줄 것을 언론기관에 요구했다.그러나 박씨는 현재 중앙재해대책본부 인명피해 집계에 들어가 있다. 도 재해대책본부는 또 폭우로 불어난 물에 휩쓸려 숨진 신두희(4·가평군외서면 상천4리)군에 대해 재해에 의한 사망인지 불명확하다는 이유로 사망자 집계에서 제외했다. 반면 가평경찰서는 “신군이 물놀이를 하다 폭우로 인한 급류에 휩쓸려 사망했다”며 재해로 사망한 것임을 분명히 했다. 박현갑기자 eagleduo@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