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세 잘못부과 작년 1,065억
지난해 이후 각 지방자치단체들에 의해 잘못 부과된 지방세가 1,065억5,00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같은 사실은 17일 행정자치부가 국회 행정자치위에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서 확인됐다.
이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지난 8월까지 납세자들이 이의신청한 6,042억4,400만원(6,364건)의 지방세 가운데 17.6%인 1,065억5,200만원(1,028건)이‘잘못 부과됐다’는 판결이 내려져 감액조치됐다.
특히 이 가운데 시·도와 시·군·구에 낸 이의신청이 받아들여지지 않아행자부에 심사청구가 제기돼 ‘잘못 부과됐다’고 결정된 지방세가 619억8,700만원에 달해 지자체들이 세수증대를 위해 무리하게 지방세를 물리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세법상 지방세 부과액에 이의가 있을 경우 시·도와 시·군·구에 1차로 이의신청을 낸 뒤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행자부에 다시 심사청구를 할수 있다.
시·도 자체적으로 ‘잘못 부과했다’는 결정을 내린 지방세 규모는 강원 123억원,서울 69억2,200만원,경기 66억500만원,인천 36억3,400만원,경남 32억2,800만원,충남 28억9,400만원,부산 21억2,000만원 등의 순이었다.
세목별로는 납세자들의 이의신청 또는 심사청구가 받아들여져 감액조치된지방세 가운데 취득세 비중이 가장 높았다.잘못 부과된 취득세는 전체(1,065억5,000만원)의 89.3%인 951억8,800만원에 달했다.
다음으로 종합토지세 53억7,600만원,등록세 32억7,500만원,주민세 12억2,000만원,자동차세 8억200만원,재산세 4억8,000만원,담배소비세 1억8,000만원등이었다.
박현갑기자 eagledu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