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등 7개그룹 부채가 매출 초과
앞으로 현대,한진,한화,한솔,두산,동부 등 6∼7개 그룹이 금융권으로부터신규여신을 받기가 어려워질 전망이다.특히 현대,한진,한솔,두산,코오롱,한라,쌍용,강원산업은 영업이익으로 금융비융(이자)조차 감당하지 못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1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99회계연도 결합재무제표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결합재무제표 기준 부채규모(금융업 제외)가 매출액(금융업 제외)을 초과하는 그룹은 한진,한화,한솔,두산,동부와 워크아웃 중인 새한·강원산업 등 7개 그룹이었다.
금감원은 이처럼 부채규모가 매출액을 초과하는 경우,자산건전성분류(FLC)에 이를 반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렇게 되면 앞으로 이들 그룹은 부채를 줄이지 않는한 신규여신을 지원받기가 힘들 것으로 파악됐다.
한솔의 경우,매출액 3조8,000억원,부채 5조9,000억원으로 매출액 대비 부채초과액이 2조1,000억원에 달했다.한진도 부채가 15조 4,000억원,매출액이 13조 4,000억원으로 초과액이 2조원대였다.
현대의 경우,영업이익을 통한 금융비용 지급정도를 나타내는 영업이익 이자보상배율이 지난해말 기준으로 0.91에 불과해 영업이익으로 금융비용(이자)을 못갚을 정도로 재무구조가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한진의 이자보상배율이 0.78인 것을 비롯,한솔 0.38,두산 0.90,코오롱 -0.53,한라 -0.08등 5곳과 쌍용양회와 남광토건 등 계열사가 워크아웃중인 쌍용,강원산업 등도 영업이익으로 금융비융을 제대로 부담하기 어려운 것으로조사됐다.
이에따라 이자보상배율이 낮은 현대와 부채규모보다 매출액이 낮은 한솔 등 6∼7곳의 그룹은 자산매각 등을 통해 수익성을 개선하는 등 대대적인 구조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됐다.이자보상배율이 삼성은 3.15배,LG는 1.42,SK는 1.47로 각각 집계됐다.
금감원은 “이자보상배율이 의미를 가지려면 향후 3∼4년간의 추이가 나와야 하며 일시적으로 이자보상배율이 1이하라고 해서 기업집단의 금융비용 부담능력이 좋지 않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고 지적했다.
박현갑기자 eagledu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