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금보호한도 상향조절 부적절”
내년부터 시행될 예정인 예금보호한도제와 관련,보호한도의 상향조정이 실효성이 없다는 금융감독원의 조사결과가 나왔다.
진념(陳념) 재정경제부 장관은 최근 금융시장 충격을 최소화 하기위해 2,000만원인 예금보호한도를 올리겠다는 방침을 밝혔다.그러나금감원의 이번 조사결과는 한도를 올리더라도 예상되는 이동자금의규모에는 별 차이가 없다는 것으로,상향조정의 필요성을 부인하는 것이다.
금융감독원은 13일 최근 ‘예금보호한도제 실시에 따른 영향’을 샘플조사한 결과,“예금보호 한도를 2,000만원에서 3,000만원∼5,000만원으로 높혀도 자금이동 완화효과가 미흡할 것으로 예상됐다”고 밝혔다.
금감원 조사결과,현행 보호한도 2,000만원은 99년말 기준으로 금융기관 예금계좌수의 약 97%를 차지하며 금액기준으로도 금융기관별로40∼65%가 보호받는 것으로 파악됐다.
금감원은 자금이동 현상이 심할 것으로 보이는 은행,종금,상호신용금고 등의 경우,전체 예금 가운데 보호되는 금액의 변동폭이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금고의 경우,지난 5월말 현재 2,000만원 미만인 수신액은 전체의 49.6%를 차지한 반면 2,000만원 이상 3,000만원 미만은 전체의4.2%에 불과했다.즉,한도액을 1,000만원 더 올리더라도 거의 효과가없는 셈이다.
은행도 사정이 비슷한 것으로 파악됐다.우량·비우량·지방은행의저축성 예금 규모별 수신고 추이를 샘플조사한 결과,2,000만원 초과∼1억원 이하 수신고는 큰 차이가 없었다.반면 1억원 초과의 경우,우량은행은 여전히 수신고가 늘었으나 비우량 및 지방은행은 감소추세를 나타냈다.즉 한도액을 5,000만원 이상으로 높이지 않는 이상 상향조정 효과가 미미하다는 것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이런 실정이라면 정책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한도액 상향조정에 따른 금융기관의 도덕적 해이를 규율하는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라도 현행대로 한도액을 유지하는게 바람직하다고 본다”고지적했다.
◆외국의 경우는 예금보호한도의 국제비교는 각국이 1인당 국내총생산의 몇배까지를보장하는지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1인당 경상 GDP(98년기준)의 0.5∼8.9배로 다양하다.스위스가 0.5배로 가장 낮으며 독일 0.8배,영국 1.4배,미국 3.2배,인도 6.1배 수준이다.카메룬은 8.9배로 가장 높다.
대체로 소득수준이 낮은 곳일수록 보호한도비율이 높은 실정이다.2,000만원으로 정해진 우리나라의 보호한도는 98년도 1인당 경상 GDP의2.06배 수준이다.
박현갑기자 eagledu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