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박현갑
    2025-08-24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4,523
  • 현대·한일·삼신생명 공매

    부실 금융기관으로 지정된 현대,한일,삼신생명이 공개 매각된다. 금융감독위원회는 28일 “인수희망 투자자로부터 오는 2월3일까지인수의향서(LOI)를 받고 2월19일까지 우선협상대상자를 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투자자들은 1개사나 2∼3개사를 동시에 인수할 수 있다.인수·합병(M&A) 이외에 계약이전(P&A) 방식으로 흡수하고자 하는 기존보험사도의향서를 제출할 수 있다. 한일생명의 경우,최대주주인 쌍용그룹이 인수의향서 접수이전에 쌍용양회에 대한 한도초과 출자자 대출분을 모두 회수하고 지급여력비율 확충계획이 제출되면 매각대상에서 제외시킬 방침이다.한편 정부는 이들 3개 생보사에 대해 제3자 매각여부와 관계없이 공적자금 7,000억원을 투입,클린화한다. 이와함께 대한생명은 2월초에 발족하는 공적자금관리위원회에서 매각절차를 밟기로 했다.대한생명에는 추가로 1조5,000억원의 공적자금이 투입될 예정이다. 박현갑기자 eagleduo@
  • 현대건설 채권연장 합의 어긴 하나은행 제재 받을듯

    지난해 12월말 현대건설 채권단이 올 상반기 중에 도래하는 현대건설 채권의 만기연장에 합의했으나 하나은행이 이를 어겨 제재를 받을전망이다. 금융감독원은 26일 “하나은행이 특정금전신탁으로 운용하던 300억원규모의 현대건설 기업어음(CP)을 만기 하루전인 지난 19일 계약자인 새마을금고연합회에 현금으로 주지않고 현물로 내줬고,연합회는이를 현대건설측에 결제해줄 것을 요구했으나 현대측이 결제를 거부하고 있다”면서 “이같은 상황에 이르게 된 경위를 조사중”이라고밝혔다. 금감원은 하나은행의 이같은 행위가 채권단의 만기연장 약정에 위배되는 것으로 드러나면 제재하기로 했다. 박현갑기자
  • 불법 유사금융회사 여전히 활개

    불법 유사금융회사가 여전히 활개를 치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26일 사법당국이 지난해 모두 510건의 유사금융업체를단속,393명을 구속하고 1,203명을 불구속했다고 밝혔다. 최근 전국적인 영업망을 가진 유사금융업체 IMI컨설팅과 오락기 판매업을 가장해 유사수신행위를 한 한신21의 대표 등 30명을 붙잡았으며 비슷한 활동을 벌이고 있는 O사 등에 대해 사실확인 중에 있다. 한신21은 지난해 9월부터 오락기 임대업에 100만원이상 투자하면 1주일 단위로 연이자 81.6%의 확정배당금을 지급한다고 투자자를 현혹,1,000명으로부터 378억여원을 모집했다.금감원은 지난해 12월 이 회사의 전신인 한신유통의 불법 유사금융행위를 적발,수사당국에 정보를 제공했으나 간판만 바꿔달고 불법영업을 계속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해 초부터 수사당국에 의해 대표자가 수차례 구속되면서도 상호만 바꿔가며 불법 유사금융행위를 계속해 온 P&C컨설팅(옛 IMI컨설팅) 대표 등 7명도 지난 12일 구속됐다. 금감원은 유사금융회사에 대한 일반인들의 신고의식을 고양하기 위해올들어 포상금 제도를 신설,분기마다 결정적인 정보를 제공한 신고자에게 포상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박현갑기자 eagleduo@
  • 금융기관 긴급사태 대비 비상계획 추진

    앞으로 금융기관 파업이나 테러,전산망 마비 등 각종 비상사태에 대비하기 위한 ‘금융기관 긴급사태 대비계획’(Contingency Plan)이마련된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국민·주택은행 파업 때 금융기관 비상사태 계획이 제대로 마련되지 않아 국민들이 큰 불편을 겪었다고 판단,올해안에 각 금융기관들로 하여금 ‘금융기관 긴급사태 대비계획’을 마련하도록 유도할 방침이라고 25일 밝혔다. 금감원 관계자는 “세계 각국 금융기관들의 비상계획 등을 연구,국내실정에 맞는 금융기관 긴급사태 대비계획의 가이드라인을 만들 예정”이라면서 “미국·영국 등은 국가 비상사태와는 별도로 특정 금융기관에 대한 테러나 전산망 마비 등을 가정해 비상계획 등을 마련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금감원은 올 상반기 중 각 금융기관을 감독할 수 있는 방안을 만든뒤 이를 토대로 각 금융기관이 자체 특성에 맞는 긴급사태 대비 프로그램을 만들도록 할 방침이다. 박현갑기자
  • 리젠트종금에 경영정상화계획 요구

    정부는 영업정지 중인 리젠트종금에 유동성 문제해소를 담보할 수있는 경영정상화계획을 요구하기로 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25일 “금융감독원의 자산·부채 실사 결과 리젠트종금이 ‘부실금융기관’ 지정 또는 적기시정조치 대상이 되지않는 만큼 유동성 문제만 해소되면 영업을 재개토록 할 방침”이라고밝혔다. 이 관계자는 “그러나 예금지급에 문제가 없을 정도로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경영정상화계획을 제출하고 이 계획의 현실성이 인정돼감독당국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고 덧붙였다.정부는 다음주 초 리젠트종금 대주주 앞으로 경영정상화계획을 제출토록 공식 통보할 방침이다. 금감원 실사 결과 리젠트종금은 자산이 부채보다 10∼20%쯤 많고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도 8%를 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리젠트종금은 대주주 증자,자산매각,합병·매각 등의 방법으로 예금지급에 문제가 없을 정도의 유동성을 확보하면 영업을 재개할 수 있을 전망이다. 박현갑기자 eagleduo@
  • 보험사 위험관리 강화

    앞으로 보험사는 이사회내에 리스크 관리를 위한 ‘위험관리위원회’를 설치하는 등 위험관리 기준이 강화될 전망이다. 금융감독원은 22일 이같은 내용의 보험사 위험관리 모범규준(Best-practice)을 제정했다고 밝혔다.이에 따르면 보험사가 관리해야 하는위험은 ▲보험위험 ▲시장위험 ▲신용위험 ▲유동성위험 ▲운영위험으로 세분된다. 금감원은 효율적인 위험관리를 위해 보험사로 하여금 위험관리를 위한 의사결정기구로 이사회내에 위험관리위원회를 설치토록 유도할 방침이다. 박현갑기자 eagleduo@
  • 회계사 선발인원 대폭 늘린다

    내년부터 공인회계사 합격생이 1,000명 이상으로 는다. 금융감독원 유흥수(柳興洙) 공시감독국장은 22일 “상시 감시체제및 투명공시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내년부터 공인회계사 합격생 수를대폭 늘리기로 했다”고 밝혔다.이어 “선발인원은 하반기 재정경제부 산하 공인회계사 자격제도 심의위원회(위원장 李晶載 재경부 차관)에서 결정하나 금감원 방침이 대폭 증원으로 결정돼 사실상 결정된것이나 다름없다”고 밝혔다. 이에따라 올해 750명으로 예정된 합격생 수는 내년부터 1,000명 이상으로 늘게 될 전망이다.합격자는 98년511명,99년 505명,지난해 555명이었다. 한편 올해 공인회계사 응시자는 97년 이래 가장 적었다. 금감원은 “지난 8∼20일 공인회계사 1차시험 원서접수 결과,지난해보다 2,277명 감소한 1만3,737명이 원서를 냈다”고 밝혔다.이는 1만2,348명이 원서를 접수한 97년 이래 가장 적은 숫자다.98년에는 1만4,560명,99년 1만7,112명,지난해 1만6,014명이었다.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처음으로 시험문제와 답을 공개해 허수지원자가 줄었기때문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한편 올해 원서접수자의 65.4%인 8,985명이 인터넷을 통해 원서를접수했다. 올해 1차 시험은 2월25일 실시되며,합격자는 4월27일 발표한다.2차시험은 오는 7월 4∼5일에 치른다.시험장소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박현갑기자 eagleduo@
  • 금융감독 체계 달라진다

    금융감독원은 국내에 진출한 외국 금융기관의 생산성,영업형태,영업전략 등 장점을 분석,국내 금융기관에 대한 감독·검사정책 수립에활용하기로했다. 금감원은 또 일본 금융청(FSA) 등 외국 감독기관과의 업무협약 등을추가로 체결,외국 금융감독당국과의 공조체제도 강화할 방침이다. 금감원 고위 관계자는 21일 외국 금융회사의 국내진출 움직임과 관련,“금융감독정책을 국제기준에 부합되도록 한다는 방침에 따라 이같은 개선방안을 추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국내외 금융회사의 해외진출 및 국내진입이 자유화되면서 감독당국의 정책운용도 더욱 더 글로벌화되어야 한다”면서 “국내에 진출한 외은지점의 생산성과 선진 영업전략 등 배울 점은 배워서 감독당국뿐만 아니라 국내 금융사들도 효율성을 제고하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금감원은 이에 따라 올해 일본의 금융청과의 업무공조 체제 구축에나서기로했다. 유지홍(柳志洪) 국제협력실장은 “지난해부터 영국 금융감독청(FSA)과 업무협정을 맺어 감독·검사정책에 대한 정례회의를 열고 있다”면서 “올해에는 일본 금융청과 공조체제 구축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일본 금융청과의 업무공조협약이 체결되면 자기나라에 진출한금융회사의 검사 지적사항 등을 서로 교환하는 등 긴밀한 업무협조를하게된다. 박현갑기자 eagleduo@
  • 주식발행 자금조달액 격감

    지난해 국내 기업들이 주식발행을 통해 조달한 자금이 99년의 절반에도 못미쳤다. 금융감독원이 18일 밝힌 ‘2000년 직접금융 자금조달 실적’에 따르면 주식,채권을 발행해 국내 기업들이 조달한 자금은 73조113억원으로 전년보다 1.7% 증가했다. 주식발행을 통한 자금조달규모는 99년(41조1,140억원)에 비해 무려26조7,655억원,65.1% 감소한 14조3,485억원이다. 기업공개(증권거래소 상장)는 단 1건도 없었다.증권거래소 상장기업의 유상증자도 전년대비 82.7% 감소한 5조7,888억원에 불과했다. 코스닥시장에서는 기업공개(등록)를 통해 조달된 자금이 2조5,507억원으로 99년에 비해 20.8% 늘었고 유상증자 규모도 168건 4조5,748억원으로 89.0% 증가했다. 주식발행을 통한 자금조달규모가 감소한 것과는 대조적으로 회사채발행을 통한 자금조달은 자산유동화증권(ABS)의 활성화로 크게 늘어났다. 박현갑기자
  • 이근영 금감위장 “자산·부채이전 방식으로”

    이근영(李瑾榮) 금융감독위원장은 18일 “앞으로 금융기관이 부실화할 경우,자산·부채이전(P&A) 방식 등으로 상시 구조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금감위원장은 이날 신라호텔에서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주최한 최고경영자 세미나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 금감위원장은 “기업·금융 구조조정 과정에서 경쟁력이 취약하거나 부실화한 금융기관에 대해 더이상의 공적자금 투입없이 적기시정조치 기준에 따라 P&A방식 등 상시적으로 구조조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금융기관 구조조정이나 평가시 BIS비율 기준을 다소 완화하고수익성·리스크 관리상황 등 경영실태평가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운영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2단계 은행 구조조정과 관련,“우리나라 경제규모나 질적 수준으로볼 때 세계 50∼60위 이내의 대형은행 2∼3개는 보유할 능력이 충분히 있다”며 은행합병 추진배경을 설명했다. 이 금감위원장은 “국민·주택 합병은행은 소매금융 분야의 우월한경쟁력을 바탕으로 기업금융,투자은행 업무 등의 보완을 통해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우량 선도은행으로 발전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빛은행 중심의 금융지주회사에 대해서는 “도매금융 및 기업컨설팅 중심의 국제경쟁력을 갖는 은행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각종 제도적 지원방안을 적극 강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금융지주회사의 경우 특히 정보기술(IT) 투자와 선진금융기법개발 관련투자와 비용을이연자산화할 수 있는 범위를 확대하는 등 제도적 개선을 모색하고있다. 박현갑기자 eagleduo@
  • 금융기법 선진화·시장잠식 ‘두얼굴’

    * 외국 금융기관 국내진출 러시 파장. 세계유수의 외국계 금융기관들이 첨단 금융기법과 막대한 자본력을앞세우고 국내시장에 물밀듯이 몰려오고 있다.금융계는 이들의 진출이 우리 금융기관들이 절대우위를 확보하고 있는 국내 금융시장의 판도를 바꿔놓을 것으로 보고 있다.그러나 잘만 대응하면 ‘우물안 개구리’인 국내 금융산업의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전문가들은 국내시장에서 외국계 금융기관들과의 경쟁이 불가피해진 이상 경쟁에서 이길 수 있도록 철저한 대비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외국 금융기관의 진입 확대가 국내 금융산업에 미칠 영향을 알아본다. ◆서비스가 달라진다=각 금융기관들은 선진금융기법 도입으로 고객취향에 맞는 차별화된 금융서비스 제공에 힘쓸 전망이다.한국증권연구원 노희진(盧熙振)박사는 “금융기관들이 앞선 경영기법,고객보호,경영 투명성을 확보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금감원 유관우(柳寬宇) 보험감독국장은 “손보사의 경우,최저자본금 요건이 다양화되면서 외국회사의 진입 움직임이 있다”면서 “외국 보험사 진출을계기로 계약자 서비스가 제고되고 선진보험기법을 습득하는 호기가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금융기관의 경쟁력도 높아진다=질좋은 서비스 제공은 수익성 중심의 경영체제 구축으로 가능하다.나아가 외국 금융기관과의 경쟁에서이기기 위해서는 국내 금융기관들의 자발적인 인수·합병이나 금융지주회사를 통한 겸업화,외국금융기관과의 업무제휴 등이 빨라져 국제경쟁력도 제고될 수 있다. 조영제(趙英濟) 한국투신운용사장은 “외국금융기관의 진출을 계기로 1∼2년내 국내 금융기관과의 인수·합병 등으로 지각변동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자산운용 시스템 개선=선진금융기관 진출을 계기로 내부통제 장치를 보강하는 등 자산운용 시스템의 미비점도 보완할 수 있다.해외수익증권 판매대행 계약을 맺고있는 대한투자신탁증권의 이정완(李正浣)팀장은 “외국투신의 우량상품을 고객에게 판매함으로써 국내고객의 선택폭을 넓히는 것이 세계적 추세”라면서 “이런 흐름에 맞춰 우수한 해외상품을 적기에소개,고객의 신뢰와 투신영업력을 세계적 수준으로 높이겠다”고 밝혔다. ◆시장잠식 우려=문제는 우리 금융기관들이 너무 취약하다는 점이다. 금융업은 아직도 제조업에 비해 국제경쟁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국내시장의 상당부분을 외국계에 빼앗길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투자를 목적으로 진출한 외국계 자본의 경우,그 폐해도 예상된다.한국에서 축적된 노하우를 기반으로 영업을 하겠다는 것이 본래 진출목적이 아닐 경우,단시간에 해당 금융기관의 가격을 올려서 되팔고 나갈 우려가 있다.이럴 경우 선진 경영기법,경영의 투명성 확보 등은실현되기 어렵다. ◆산업지원 기능 저해=외국 금융기관은 철저한 수익유무에 따라 투자를 결정할 것인 만큼 협조융자 등 ‘공동체 참여자’로서의 정책적투자는 기대하기 어려워진다. ◆신용경색 우려=외국 금융기관의 경우,문제기업에 대해서는 채무연장을 하지 않는 경향이 높다.이는 결국 신용경색 현상을 심화시키는요인이 될 수 있다. 김균미 박현갑기자 eagleduo@. *국내진출 현황. 현재 국내에서 활동중인 외국 금융기관들은 은행·증권·보험 등 각 금융기관별로 약 100곳이 있다.대부분 국내 금융기관보다 나은 선진금융기법으로 국내의 개인투자자 및 기관투자가들을 공략하고 있다. ◆은행=62개 지점이 진출해 있다.외은지점은 국제수지가 흑자로 전환되기 전인 80년대 중반까지 국내 금융기관의 대외신인도가 낮아 외자조달 창구로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최근 들어서는 리테일영업을 강화하는 추세다. 외국 금융기관으로서는 67년 9월 국내에 첫 진출한 씨티은행이 지난해 9월 분당지점 개설로 지점수를 12개로 늘리는 등 소매금융분야에서 국내은행과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상태다.이밖에 HSBC도 분당·서초지점을 내는 등 6개 지점으로 국내투자자를 공략하고 있다. ◆증권=홍콩에 본사를 둔 미국의 자딘플레밍증권이 91년 10월 서울에 첫 진출한 이래 현재 20개사가 있다.국내진출은 늦었으나 국내시장점유율이 가속도를 더하고 있다.현재 메릴린치와 워버그 증권이 중개기능을 잘하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적자상태를 면치 못하는 곳도있다. ◆보험=보험시장이 외국에 개방된 것은 89년.미국이 통상법 301조를앞세워 생보사 개방을 요구하면서부터다.메트라이프,푸르덴셜,프랑스,알리안츠제일 등이 100% 단독자본으로 진출한 상태고 동부·동양·ING 등은 지분을 투자한 상태다. 외국 생보사의 경우,보장성 위주로 상품을 운영하고 있으며 저축성위주인 국내 생보사도 보장성 위주로 전환하는 추세다. 박현갑기자. * 외국금융기관의 충고. 국내에 진출한 외국계 금융회사 종사자들은 국내 금융회사의 재무구조와 인력관리 시스템을 가장 시급히 개선해야 할 최약점으로 꼽았다.수익과 리스크 관리에도 신경을 더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HSBC(홍콩샹하이뱅크)의 관계자는 “공격적 마케팅,위험관리,장기고객으로 관리하기 등의 선진기법이 바로 경쟁력”이라고 설명했다.이같은 경영으로 HSBC는 지난 1년간 대출실적이 전년동기에 비해 10배나 올랐다는 설명이다. 대기업 여신도 마찬가지.미국계 체이스맨해튼은행 관계자는 “단순한 대출뿐만 아니라 주식연계증권 발행,해외채권 발행 등 다양한 옵션을 저렴한비용에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이 은행의 경우 국제적 네트워크와 신용도 때문에 저렴한 가격의 자금을 끌어올수 있는 만큼 가격 경쟁력이 있다는 설명이다. 윌프레드 호리에 제일은행장은 은행의 리스크를 감안하지 않고 정부정책에 따라 대기업 성장을 목표로 무차별 여신을 지원하는 것을 우리 금융권의 오랜 병폐로 지적했다.미국계 은행의 한 관계자는 “과거 미국에도 관계에 의한 비합리적 의사결정 행태가 있었다”면서 “그러나 이제는 수익과 리스크를 감안하는 원칙과 합리성이 더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유럽계 증권사 서울지점의 한 관계자는 국내 금융기관의 재무구조취약성을 지적하며 이 때문에 국내증권사가 외국주문을 받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외국자산운용사는 전 세계적으로 자산을 운영하는 관계로 한 증권사를 통해 여러 시장에 주문을 낼 수 있는 증권사를 선호하는데 국내증권사들의 경우,재무구조가 취약해 외국자산운용사들이 거래를 꺼린다는 것이다. 박현갑 주현진기자
  • 외국 금융사 한국 몰려온다

    선진 금융기법과 막강한 자본력으로 무장한 외국계 금융기관들이 몰려오고 있다.미국 독일 영국 이스라엘 이란 등의 은행·증권·보험·투신운용사 20여곳이 올 상반기 중 현지법인 또는 지점 설치를 위해금융당국에 인가 신청을 냈거나 준비를 서두르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금융시장은 외국계와 국내 기관들간의 치열한 시장쟁탈전이 예상되며 이 과정에서 현격하게 경쟁력이 뒤떨어지는 일부국내 기관들의 무더기 퇴출,외국자본의 시장점유율 상승에 따른 금융정책의 효과 감퇴 등이 우려되고 있다. 대한매일이 18일 파악한 바에 따르면 현재 국내시장 진출을 준비 중인 외국 금융기관은 모두 20여곳으로 집계됐다. 예비 인가 신청기준으로는 은행권 5곳,증권 2곳,보험 5곳,투신운용3곳 등 모두 15곳이며,신청을 준비 중인 경우를 감안하면 20여곳이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들은 합작형태도 있으나 대부분 100% 단독자본 형태로 진출을 준비 중이다. 미국의 스테이트 스트리트은행과 영국의 슈로더투자신탁운용,미국의 스커더캠퍼투신운용 등이 100% 단독자본으로 지점 진출을 준비 중이며,보험권에서는 미국의 FATIC사가 예비 허가 신청을 받아놓은 상태이다. 이란은 우리나라가 일본 독일에 이어 제3의 교역국가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지점이 없어 유럽계 은행을 통해 한국 기업체와 수출·입자금 결제를 해왔으나 멜라트은행 지점 설치로 교역을 더욱 활성화시킨다는 방침이다. 이들의 진출에 따라 외국계 금융기관의 국내 시장점유율도 갈수록높아질 전망이다.김경원(金京源)삼성경제연구소 이사는 “국내 금융기관들은 외국 금융기관에 비해 규모 및 기법면에서 열세이기 때문에 금융지주회사화 기업인수·합병(M&A) 등을 통해 국제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며 “금융당국도 외국 금융기관의 대거 진출에 맞춰 선진감독기법을 개발하는 등 정교한 감독시스템을 도입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현갑기자 eagleduo@
  • 정부요청 대출 부실화는 면책

    협조융자,증시부양 조치,유동성 부족 금융기관에 대한 긴급 자금 지원 등 정부의 정책상 필요에 따라 지원한 여신이 부실해진 경우 해당대출을 취급한 금융기관 임·직원은 면책된다. 금융감독원은 17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부실 여신에 대한 면책및 제재 감면 기준을 마련, 각 은행에 통보했다고 밝혔다.이는 정부가 경색된 기업금융을 활성화하기 위해 고의나 중과실에 의하지 않은부실 여신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관련자에 대한 책임을 묻지 않기로한데 따른 것이다. 또 금융환경 변화 등 불가피한 사정에 따라 부실화된 경우나 정부의산업정책상 필요에 따라 지원되었거나 시장 안정을 위한 정부의 협조요청에 따라 정당하게 여신을 취급한 경우에도 면책한다. 이밖에 ▲자산건전성 분류 기준의 변경에 의한 경우 ▲경영실태 평가등급이 1등급 이상 높아진 경우 ▲여신 취급시 충분한 신용조사 및사업성 검토가 이뤄진 경우 등도 제재를 한단계 이상 낮추거나 면제할 수 있다. 금감원은 앞으로 은행에 대한 현장검사 등을 통해 기업 자금지원이원활하게이뤄지는지를 점검할 예정이다. 금감원의 이같은 조치는 기업 자금난을 풀기 위한 것이지만 면책 대상 확대로 금융기관의 부실 여신 행위를 방조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한편 중소기업특별위원회는 18일 중소기업대출 비중이 높은 한미은행·중소기업은행·국민은행 등 중소기업 관련 은행장회의를 열고 중소기업의 자금지원 대책을 논의하기로 했다. 박현갑기자 eagleduo@
  • 은행 BIS 기준 완화키로

    정부는 은행의 대출창구 경색을 해소하기 위해 각 금융기관에 대한국제결제은행(BIS)기준 자기자본비율 규제를 완화하기로 했다.그 대신 수익성과 자산건전성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금융기관 감독정책을전환하기로 했다. 기업대출이 부실화하더라도 고의나 중대과실이 없는 한 대출을 취급한 금융기관의 임·직원에 대해 면책해주기로 했다. 신용보증을 통해 기업에 지원하는 자금을 지난해 43조원에서 올해는최대 73조원으로 늘리기로 했다. 정부는 16일 오후 2시 서울 팔레스 호텔에서 이정재(李晶載) 재정경제부 차관 주재로 금융감독위원회·한은 관계자들이 참석한 금융정책협의회를 거쳐 이같은 내용의 기업금융 활성화 대책을 발표했다. 금융감독원의 한 고위관계자는 16일 “거의 모든 은행의 BIS비율이10%를 넘어서 국제기준인 8%에 2%포인트의 여유가 있는 만큼 BIS비율규제는 큰 의미가 없어졌다”며 “올해부터는 BIS비율보다는 수익성과 자산건전성을 높이도록 유도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금감원은은행 경영실태평가(CAMELS)에서 자본충실도 측정지표인 BIS비율보다는 총자산대비 당기순이익률(ROA)과 자기자본대비 당기순이익률(ROE)등 수익성 지표와, 고정이하 여신비율 등 자산의 건전성 지표를 주로반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담보 없는 기업에 대한 신용보증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신용보증기관의 보증여력을 지난해 33조원에서 올해는 54조원으로 늘리기로하고, 보증기관에 1조4,000억원의 재원을 공급하기로 했다. 또 설 자금으로 3조∼3조5,000억원을 공급하고,금융기관 종사자들의 불안심리를 해소하기 위해 예금보험공사의 부실금융기관에 대한 손해배상청구기준을 명시하기로 했다. 박현갑 김성수기자 eagleduo@
  • 先物 시세조종 첫 적발

    지난 99년 4월 선물거래소가 부산에서 문을 연 이래 처음으로 선물거래를 하며 시세조종을 한 사례가 적발,검찰에 고발됐다. 금융감독원은 16일 이에따라 12개 선물회사에 대해 앞으로 주문수탁시 주문의 위법성 여부를 주의깊게 살필 것을 지도하는 등 재발방지를 위한 조취를 내렸다. 금감원은 “전 나라종금 선물운용자 권오성씨(權五星·34)가 미국달러 선물종목에 대해 통정매매 수법으로 시세를 조종하고 회사자금 2억원을 빼돌린 혐의를 적발,검찰에 고발했다”고 밝혔다. 금융감독원은 또 신일산업 주가 시세를 조종한 AMG투자자문 엄동진(嚴東珍) 대표 등 9명을 검찰에 고발하고 AMG투자자문에 대해 1년간영업정지 처분을 내렸다.신일산업 주가 시세조종에 상품운용팀장이가담한 한양증권에 대해서는 ‘주의적 기관경고’ 조치가 내려졌다. 금감원은 또 두산테크팩,이룸 주가를 조작한 작전세력도 적발,이를주도한 전 서울증권 조모 차장을 검찰에 고발했다. 박현갑기자 eagleduo@
  • BIS기준 완화…꽉 막힌 ‘돈줄 뚫기’

    ‘돈을 돌게 하라.’ 정부가 꽉 막힌 돈줄을 풀기 위해 팔소매를 걷어부치고 나섰다.재정경제부 금융감독원 한국은행의 금융정책 실무자들이 16일 긴급 회동한 것이나 금융당국이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의 탄력적용을 발표한 것은 그 일환이다.금융권은 이를 환영하면서도 좀 더실질적인 ‘햇볕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정부,왜 나섰나] 지난 15일 재경부 업무보고에서 나온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의 ‘은행 돈줄을 풀 묘안을 짜내라’는 지시가 결정타가됐다.한국은행이 돈을 아무리 풀어도 은행의 대출창구가 막혀있어 금융권 주변에서만 맴돌다가 한은으로 되돌아 오고 있다.한은은 올초부터 총액한도대출을 2조원이나 늘렸다.3조원 안팎으로 추정되는 설자금도 단계적으로 방출하기 시작했다.그러나 이 돈은 기업으로까지 가지 않고 있다.은행들이 무위험자산인 국고채 매입이나 RP(환매조건부채권)장사에만 열올리고 있기 때문이다. [BIS비율 탄력적용] 금융감독원이 BIS비율을 탄력적으로 운용하기로한 것은 우선 대부분의 은행이 적기시정조치 대상인 8%이상을 달성했기 때문이다. 금감원 이종호(李宗鎬) 은행감독국장은 “앞으로는 은행의 총자산대비 당기순이익률(ROA)과 자기자본 당기순이익률(ROE) 등의 수치를 더중점적으로 점검하겠다”면서 결국 이는 은행의 기업자금 중개기능을회복시키고 기업의 자금난 완화로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엇갈리는 평가] 삼성경제연구소 김경원(金瓊元) 이사는 “미국도 최근 경기침체와 더불어 BIS비율이 급격히 떨어지고 있다”면서 극심한구조조정을 겪고 있는 우리나라가 선진국 수준을 목표치로 한다는 것은 무리라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그러나 금융연구원 지동현(池東炫)박사는 “외국인투자자들의 인식이 바뀌지 않은 상황에서 우리끼리 기준을 바꾸는 것은 마치 영어가 어려우니까 쓰지 말자고 결의하는것이나 마찬가지”라고 냉소했다. [은행들, 햇볕정책 요구] 시중은행의 기업여신 담당 임원은 “은행원들의 마음을 얼어붙게 한 주범은 BIS비율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정부가 말로는 정상대출에 대해 문제삼지 않겠다고 하면서도 나중에부실여신이 되면 책임추궁을 하는 ‘이중적 태도’가 대출창구 경색의 주범이라는 설명이다. 박현갑 안미현기자 eagledo@
  • 停業금고·종금 처리 고민

    금융감독원이 지난해부터 영업정지중인 금고·종금사 처리문제로 고민에 빠졌다.예금자 보호문제 때문이다. 올해부터 5,000만원까지만 예금보장이 돼 영업재개를 허용했다가 예금인출 사태가 빚어지면 예금자들이 고스란이 피해를 보는 사태가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금감원 고위관계자는 15일 이와관련,“이같은 문제 때문에 대형 종금사나 금고의 경우,자산이 부채보다 많은 것으로 파악되더라도 부실금융기관 지정에 따른 경영개선명령 등을 내리는 방안을 검토중”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외부자금의 차입없이는 예금지급을 할 수 없는 경우,예보법상 부실금융기관에 해당해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할 수 있다고덧붙였다. 이에 따라 자산·부채실사 결과,자산이 부채보다 많은 것으로 나온리젠트종금의 경우,확실한 유동성 확보방안이 나오지 않는다면 오는3월22일까지로 된 영업정지 기간이 3개월 더 연장될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현재 영업정지중인 20곳의 금고도 문제다. 김중회(金重會) 비은행 검사1국장은 “예보에서 영업정지중인 인천흥성,제주한양,서울 동방,인천 정우 등 4곳에 대한 자산·부채실사를 끝낸 결과,순자산이 마이너스로 나와 곧 공개매각 설명회를 가질것”이라면서 “나머지 금고들도 자산이 부채보다 적게 나올 것이 확실시돼 공개매각을 할 방침이나 성사율이 낮아 고민”이라고 말했다. 금고의 경우,공개매각이 안되면 인가취소를 내리고 청산에 들어가게된다.이 경우,예금주들의 피해가 생긴다. 즉,지난해 영업정지된 금고로서 올해 청산되면 해당 금고의 예금주들은 98년 7월30일 이전 가입예금은 전액 원리금을 보장받으나 같은해 8월 1일이후 가입예금은 2,000만원까지만 이자를 보장받는다. 우량금고가 인수하면 예금에다 이자까지 고스란히 돌려받을 수 있으나 매각이 안돼 청산되면 손해를 보는 것이다. 금감원은 이 때문에 최근 우량금고가 부실금고를 인수할 때 내야하는 최저출자의무금 산정기준을 재산정,최저출자의무금을 낮춰 부실금고 인수를 원활히 할 방침이어서 주목된다. 박현갑기자 eagleduo@
  • 카드업계 특별점검 나서

    금융당국이 신용카드 업계가 회원별 신용등급에 따른 여신한도를 제대로 지키는지 여부 등 카드업계에 대한 특별 건전성 점검에 나서기로 했다. 금융감독원의 고위관계자는 14일 “카드업계가 편법·위법으로 카드를 발급,신용불량자를 양산하는 사례가 있어 이에 대한 점검에 나설방침”이라고 밝혔다.금감원은 이와 관련,▲카드발급 때 본인 확인절차를 거치는지 여부 ▲여신한도를 지키는지 여부 등을 점검할 방침이다. 박현갑기자 eagleduo@
  • 美 AIG, 현대투신 공동출자 제의

    미국의 AIG 컨소시엄이 현대투신문제와 관련해 공동출자 등의 방안을 정부에 제안하는 등 정부와 AIG간의 외자유치 협상이 막바지 단계에 이른 것으로 확인됐다. [대한매일 12일자 보도] 이근영(李瑾榮) 금융감독위원장은 12일 현대투신문제와 관련,“AIG측이 지난해말 공동출자방안 등을 정부에 제의했다”면서 “AIG측이구체적인 내용을 담은 제안서를 보내겠다고 했으나 아직은 보내지는않았다”고 밝혔다. 한편 이위원장은 “지난 10일 김병주(金秉奏)칼라일 아시아지부장이 금감원을 방문해 ‘한미·하나은행의 합병은 완전히 무산된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고 전하고 “칼라일측도 독자생존이 어렵다는 점을 잘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금융권에서는 이를 한미측이 하나은행과의 합병을 계속 추진하거나 외환 등 우량은행과의 합병 가능성을시사한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박현갑기자
  • 금감원 김기홍 부원장보 이달말 사임

    금융감독원 김기홍 부원장보가 이달 말 사임,오는 3월부터 충북대강단에 복귀한다. 금감원 관계자는 12일 김 부원장보가 최근 이근영 금융감독위원장에게 사의를 전달했다고 밝혔다.김부원장보는 삼성·교보 생명 상장을둘러싸고 이 금감위원장과 갈등을 빚은 것으로 알려졌다. 박현갑기자 eagledu@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