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박현갑
    2025-08-24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4,523
  • 올 회사채 발행 급증

    지난 1·2월 중 국내기업들의 회사채 발행을 통한 자금조달 규모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3.5배가 증가했다.특히 BBB등급의 회사채 발행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무려 7배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왔다. 1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들어 직접 금융을 통한 기업의 자금조달 실적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38.6%가 늘어난 15조2,703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회사채 발행규모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40.8%가 증가한 11조3,989억원이다. 박현갑기자
  • 농작물 재해보험 첫선

    올해부터 사과와 배를 재배하는 농민들이 태풍 등 자연재해로 인한 낙과피해를 보상받을 수 있는 농작물 재해보험상품이 국내 최초로 나왔다. 금융감독원은 14일 “지난 1일 시행된 농작물재해보험법에따라 농협중앙회가 인가신청한 농작물 재해보험상품을 인가,이르면 이달말부터 판매된다”고 밝혔다. 보험이 적용되는 농작물은 사과와 배다.자연재해로 인한 낙과피해가 많은 전국의 40여개 군에서 우선 시판된다. 보상되는 손해는 폭풍우를 포함한 태풍과 우박,동상해로 인한 과실피해액으로 손해의 70∼80%선이다. 자연재해로 인한 수목피해나 병충해피해는 보상되지 않는다. 보험가입을 원하는 사과·배 재배농가는 인근 단위농협을통해 보험가입신청을 하면 된다. 보험료는 일시에 내야한다.지역별 위험도에 따라 차이가 난다.자연재해 발생 위험도가 높은 전남·광주·경남·부산·울산지역의 보험료가 가장 높다.반면 충북지역은 가장 낮다. 박현갑기자 eagleduo@
  • 금융기관장 인사하마평 무성

    금융기관장 자리에 대한 하마평이 무성하다. 13일 금융계의 관심을 끌고 있는 곳은 대한투자신탁증권 사장자리와 다음달 19일 임기가 끝나는 양만기(梁萬基) 수출입은행장장 자리,오는 5월12일 임기인 이경재(李景載) 중소기업은행장 자리다. 대투증권 사장은 이덕훈(李德勳) 사장이 지난 5일 한빛은행장으로 자리를 옮겨 공석인 상태다. 이를 두고 금융가에서는 대투는 민간인,기업은행은 재경부·금감원이나 한은,수출입은행은 재경부 몫으로 낙착될 것으로 조심스레 점치고 있다. 이근영(李瑾榮) 금감원장은 대투사장 인선과 관련,“금감원에서 직접 나가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밝혀 민간인이 선임될 것으로 시사했다. 대투증권은 14일 전문가 5∼6명으로 사장추천위원회를 구성해 국제감각,지도력과 경영능력을 두루 갖춘 CEO후보를 찾는다는 방침이다.주총이 20일이어서 이번주 내정할 전망이다. 지금까지 현대투신증권의 신용균(申容均) 전 감사와 한국은행 김우석(金宇錫) 감사가 거론중이며,한화증권 진영욱(陳永郁) 사장은 본인 의사와 관계없이 오르내린다. 업계에서는 새 사장이 공적자금을 조기에 회수하기 위해 경영정상화를 앞당겨야 하는 부담 때문에 다들 기피,인선에 진통을 겪고 있다. 수출입행장은 지금까지 재경부 1급에서 대부분 나갔다.이영회(李永檜) 재경부 기획관리실장,김호식(金昊植) 관세청장등이 거론되고 있다. 기업은행장은 이경재(李景載) 행장의 유임설과 정기홍(鄭基鴻) 금감원 부원장의 이름이 거론되고 있다. 박현갑기자 eagleduo@
  • 우리금융지주사 새달 출범

    정부주도 금융지주회사의 이름이 ‘우리금융지주회사’로정해져 4월2일부터 업무를 시작한다. 설립추진위원회 사무국은 12일 “경남·광주·평화·한빛은행과 하나로종금 등 5개 금융기관의 주주총회가 열려 주식이전 방식에 의한 금융지주회사 설립안이 통과됐다”고밝혔다. 자본금 3조6,373억원으로 주식은 한빛 78.8%,평화·경남 6.8%,광주 4.7%,하나로종금 2.9% 지분이다. 이사회에서는 대표이사 회장에 윤병철(尹炳哲) CEO내정자를 선임하고 부회장에 이덕훈(李德勳) 한빛은행장,재무담당부회장에 민유성(閔裕聖) 살로먼스미스바니 환은증권 대표,전략담당 부회장에 전광우(全光宇) 국제금융센터소장을 뽑았다. 설립추진위는 오는 14일 설립인가 신청과 28일 설립인가,3월말 주식이전등기 및 한빛은행 사옥입주,4월2일 출범 등의수순을 밟는다. 다음은 윤병철회장과의 일문일답이다. ●최대 역점분야는. 시너지 극대화를 위해 우선 전산망 통합을 실시하겠다. 컨설팅사인 A.T.커니가 작업을 진행중이다. 자회사간 네트워크를 유통채널로 활용, 상품을 공동개발하고 판매할 방침이다. ●상장시기는. 증권거래소에서 4월중순 얘기가 나오고 있지만 시기를 못박기는 어렵다.최대한 빨리 할 작정이다. 현재 1인 대주주(정부) 형태여서 주식분산 등의 문제도 있다. ●한빛증권 등 손자회사 처리는. 자회사는 모두 11개다.현행법상 지주사는 손자사를 못갖게돼있어 사업성을 면밀 검토,자회사로 편입하거나 정리할 계획이다. ●공적자금 상환은. 2∼3년내에 하겠다. 박현갑 안미현기자
  • 부실금고 ‘밑빠진 독’

    올해 금고 매각작업이 지지부진해지면서 공적자금 추가투입이 우려되고 있다.금융감독원은 12일 “매각설명회를 가진 금고 14곳 가운데 인수신청이 들어온 전남의 동방금고한 곳을 제외하고는 모두 매각 작업이 여의치 않다”고 밝혔다.금감원은 이들 금고의 영업인가를 취소,파산시킬 방침이다.이 경우 제3자 공개매각 때보다 공적자금 추가투입이불가피할 전망이다. ◆정리대상 금고는 모두 20곳=이 가운데 14곳은 매각설명회를 끝냈고 6곳은 이달말쯤 열릴 예정이다. 14곳 가운데 인수희망자 접수가 끝난 곳은 10곳.전남의 동방금고를 제외한 9곳은 아무도 인수신청을 하지 않았다.이들 9곳은 모두 인가가 취소된다.인수신청 기간이 남아있는4곳도 팔릴 가능성은 희박하다.김중회(金重會) 비은행검사1국장은 “지난해 17개 금고 가운데 52.9%에 해당하는 9개금고가 팔린 것에 비해 매각이 극히 부진한 상태”라고 말했다. ◆왜 안팔리나=인수자금 부담이 대폭 늘었기 때문이다.예금보험공사는 지난해 12월 중순부터 부실금고 예금주 한명당2,000만원까지 보험금을가지급해주었으며,금고인수 희망자가 이를 모두 상환해야 금고를 인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예보가 20곳의 부실금고에 지원한 보험금 가지급금은 지난 7일 현재 모두 8,400억원.1개 금고당 420억원이 지원된 셈이다.예보는 파산을 전제로 지원하는게 원칙인 보험금을 파산여부가 결정안된 상태에서 먼저 지급한 만큼 인수희망자가 이를 모두 갚아야 계약이전을 승인해줄 수 있다는 입장이다. 이 때문에 전남 동방금고 인수에 관심을 보인 모 회사도예보가 지원한 1,000억원이 넘는 보험금을 갚지 못하면 인수를 포기해야 한다.수신규모가 7,000억원대인 서울 동아금고도 보험금 가지급금 규모가 1,000억원을 넘는다. ◆공적자금 투입 늘게 된다=금감원은 제3자 인수가 이뤄지는 경우에 비해 파산절차를 밟을 경우,공적자금 투입규모가금고당 10%정도 더 늘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대책은=금감원은 예보측에 보험금 일시상환이 아닌 분할상환 방안 등을 제시했으나 거절당했다.인수희망자가 중간에 이를 제대로 내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예보관계자는 “인수희망자들이 금고연합회에 적정한 담보를 맡기고대출을 받는 방안 등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박현갑기자 eagleduo@. *금고 주식투자 상시 감시. 금융감독원은 12일 122개 상호신용금고가 주식 등 고위험상품에 투자한 자산운용상태를 상시 감시하기로 했다.관계자는 “최근 금고들이 유가증권 투자한도를 초과하거나 무리하게 주식투자를 하는 등 자산운용의 문제점이 드러나고있다”고 지적했다. 금감원은 자기자본의 100%와 40%로 정해진 유가증권 투자한도와 주식투자한도를 철저히 준수하도록 지도하고,부당사항이 적발될 경우 강도높은 제재를 취하기로 했다. 박현갑기자. * 박승 공적자금위원장 “기존자금 회수해 순환사용”. 박승(朴昇) 공적자금관리위원회 위원장은 12일 “추가 조성된 공적자금 40조원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나 부족분을 새로 조성하지 않고 가급적 기존에 투입했던 자금을 회수해순환사용하겠다”고 말했다. 박위원장은 이날 뉴스전문 케이블TV인 YTN의 시사대담 프로그램에 출연해 이같이 밝히고 “대우사태 같은 큰 충격만없다면 추가조성할 필요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새로 조성된 40조원은 대부분 상반기중 은행과 종금,생명보험,투신 등 필요한 곳에 적기 투입할 예정”이라며 “공적자금을 조기에 투입,금융시장을 안정시켜 놓으면체감경기도 풀리기 시작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정현기자 jhpark@
  • 14개 생보사 작년 9,948억 적자

    국내 생명보험사들은 지난해 4월부터 12월까지 8,000억원대의 적자를 기록했다. 금융감독원은 12일 “생보사들의 지난해 3·4분기까지의결산실적을 집계한 결과 계약자와 주주몫으로 배당하기 이전의 총손익이 이같이 집계됐다”고 밝혔다. 적자를 본 생보사는 14곳으로 적자액은 9,948억원이었다. 업계 2,3위인 교보생명과 대한생명은 각각 3,716억원과 2,832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반면 흑자를 낸 곳은 삼성생명(377억원) 등 9곳이었으나흑자규모는 1,513억원에 불과했다. 이에따라 업계 전체로는 8,435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99년 같은 기간에는 1조8,410억원의 흑자를 냈었다. 금감원 관계자는 “생보사들이 적자를 낸 것은 지난해 증권시장을 비롯한 금융시장의 침체로 유가증권 투자에서 손해를 봤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생보사들의 총자산은 지난해말 120조5,091억원으로 99년말에 비해 10조7,069억원이 늘었다. 박현갑기자 eagleduo@
  • “잠자는 국민주 679억원어치 찾아 가세요”

    ‘휴면 국민주’를 찾아 가세요. 금융감독원은 12일 “국민을 대상으로 실시한 국민주(포항제철,한국전력)를 공모청약한지 10년이 넘었으나 안찾아간주식이 은행에 상당수 남아있다”고 밝혔다. 지난 1월말 현재 미교부 국민주는 17개 은행에 6만2,754계좌,679억원어치이다. 이중 미교부 국민주는 2만9,749명분 44만6,293만주 143억7,090만원이며,청약시 할인발행돼 3년이상 신탁운용한 국민주 신탁도 535억원에 이른다. 휴면국민주 1인당 수령액은 배당금을 제외하고 최소 15만4,200원에서 최대 181만8,000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금감원은 행정자치부의 협조를 받아 국민주 소유자의 주소를 파악,관련 은행점포 어디서나 찾을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또 은행이 국민주 관리를 전산화해 교부안내장을 발송하는 동시에 영업점,인터넷 홈페이지 등을 통해 홍보하도록했다. 박현갑기자
  • 공적자금 특감 첫날

    공적자금 특감 첫날인 12일 감사원은 다소 긴장된 분위기에서도 ‘결전의 의지’를 다지는 모습이었다.반면 재정경제부·금융감독원·예금보험공사 등 피감기관들은 ‘불똥이 어디로 튈지 몰라’ 긴장감이 역력했다.감사원은 금감원 14층에사무실을 마련,공적자금 감사요원들과의 업무연락을 취하는등 기민하게 움직였다. ◆감사원은 특감에 앞서 지난 9,10일 감사 직원 전원에 대해 정기휴가를 주어 휴식을 취하도록 했다.한 감사관은 “국민들의 눈과 귀가 쏠려있는 감사인 만큼 긴장도가 더하다”고밝히고 “지난 99년 공적자금 감사때도 밤 11∼12시에 퇴근하기 일쑤였으므로 체력이 이번 감사에서 중요한 변수”라고 전하기도. ◆50여명의 전 감사관이 현장에 나간 감사원 2국 사무실들은 현장의 긴장감과는 달리 절간처럼 조용.감사원 주차장도 80여명의 감사인력이 현장으로 빠져나가서인지 절반 가까이가텅빈 상태. ◆금융감독원 14층에 마련된 감사장을 비롯한 금융감독위원회 감사장은 긴장감의 연속이었다.감사 요원들은 금감위의경우 과장급을,금감원은 국장급을 대상으로 공적자금 운용의 효율성과 투명성을 따졌다. 금감위의 한 관계자는 “야당에서 폭로한 것을 뒤져보는 등 치밀하고 세밀하게 감사를 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신경을 바짝 곤두세우고 있다”고 말하기도. ◆감사원 한 관계자는 “지난해말 현재 공적자금을 지원받은 총 391개 금융기관 중 이번 실지감사에서 제외된 나머지 소규모 기관에 대해서는 서면감사를 실시하고,퇴출된 65개 금융기관은 인수기관이나 가교금융기관을 통해 감사를 벌일 방침”이라고 밝혔다. 정기홍 박현갑기자 hong@
  • 제일銀 작년에도 스톡옵션…증권거래법 어겨

    제일은행이 지난해에 은행장을 비롯한 임원들에게 위법하게스톡옵션을 준것으로 드러났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제일은행은 지난해 3월30일 주주총회에서 호리에 행장을 비롯한 임원 16명에게 총발행주식의 2.67%에 이르는 528만주의 주식매입선택권을 부여한 것으로 파악됐다.그러나 당시 제일은행 주식은 매매거래가 정지된 상태로 금융감독위원회가 정한 가격을 기준으로 스톡옵션의 행사가격을 정한다는 증권거래법 시행규칙을 어긴 것으로 드러났다. 금감원은 이에따라 제일은행측을 상대로 정확한 스톡옵션행사가격 산정기준에 대한 해명을 요구하는 한편 배임행위에해당되는 지 여부를 검토중이다. 박현갑기자 eagleduo@
  • 기업 7조 분식회계 의혹

    기업들의 분식회계 가능성을 보여주는 재무제표상의 전기(前期) 오류수정 손실규모가 해마다 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기업평가는 8일 “최근 3년간의 국내 기업들의 전기 오류수정손실 규모가 97년부터 99년까지 급증하고 있다”고 밝혔다. 99회계연도 전기 오류수정손익 규모는 모두 9조4,191억여원으로 집계됐다.이 가운데 분식 가능성을 보여주는 전기오류수정 손실규모는 7조2,065억원이나 됐으며,나머지는 수정이익 규모였다. 전기오류 수정손실은 97회계년도 1조2,689억원에서 98년 무려 5조0,294억원으로 급증했다. 이는 국제통화기금(IMF) 관리체제 직전인 97년에 실물경기가하강곡선을 그리면서 기업들이 이익을 부풀렸다가 이를 다음회계연도에 털어냈기 때문이다. 전기오류 수정손익이란 전년도 회계처리상 실수나 분식회계등으로 잘못된 재무제표상 수치를 대차대조표상의 전기이월이익잉여금에 반영하는 것이다. 동아건설의 경우,91년부터 97년까지 모두 7,000억여원의 분식규모를 98년 이 항목으로 털어냈다. 그러나 금융당국은 이같은 분식회계 의혹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한번도 감리 등 조사를 하지 않아 직무유기가 아니냐는 지적을 받고있다. 박현갑기자 eagleduo@
  • 자가용車 보험료 8월부터 자유화

    오는 8월부터 개인용과 업무용 자동차 보험료가 자유화된다. 이에 따라 가입자 조건이 같더라도 회사에 따라 보험료가최고 20만원까지 차이가 날 수 있어 보험 가입때 회사 선택을 잘해야 한다.특히 4월부터는 보험계약자와 함께 살지 않는 사위·장인·장모도 가족으로 인정,가족운전자 한정운전특별약관(오너보험)의 적용을 받는다. 금융감독원은 8일 “자동차보험의 순보험료 자유화 시기를내년 4월 이전까지로 잡았으나 지난 1월부터 자유화된 승합차 순보험료의 시행 경과가 좋게 나와 개인용 자동차 순보험료의 자유화 시기를 앞당기기로 했다”면서 “자동차 보험약관도 현실에 맞게 일부 조정했다”고 밝혔다. 올부터 순보험료가 자유화된 7인 이상 10인 이하 승합차의경우 우량 계층인 35∼47세 운전자가 내는 보험료가 회사별로 10만∼20만원까지 차이가 나고 있다. 자동차 보험료는 보험금 지급 재원이 되는 순보험료와 보험사의 사업비에 쓰이는 부가보험료로 구성된다.부가보험료는지난해 4월 자유화됐다. 내달부터 장인 소유의 차량을 함께 살지 않는 사위가 대신몰다가 사고를 냈거나 당했다면 지금까지는 사위에게 보험혜택을 주지 않았으나 앞으로는 보험금을 지급한다.자동차종합보험 가입자의 95%가 가족운전자 한정운전특별약관을 가입하고 있어 대부분의 사위·장인·장모가 혜택을 입을 전망이다. 중고차를 구입한 뒤 종합보험에 가입할 경우 지금까지 보험가입 당일 자정이 지나야 보험 효력이 발생했으나 4월부터는 보험료 납부시점부터 효력이 발생한다.보험 가입 시점부터 자정 사이에 발생한 사고에 대해서도 보상을 받게 된다. 자기 신체 사고시 1사고당 보상한도액도 폐지돼 대형 사고가 났을 경우 보상한도액에 묶여 보상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경우가 사라지게 된다. 박현갑기자 eagleduo@
  • 작년 43개 증권사 실적 순익 98% 급락

    주식시장 침체로 지난해 증권사들의 당기순이익이 크게 줄었다. 금융감독원은 7일 “지난해 4∼12월 43개 증권사의 손익현황을 파악한 결과,법인세 비용을 차감하기전 당기순이익이 1,140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같은 기간의 5조2,458억원보다 무려 5조 1,300억원, 97.8% 감소한 것이다. 수수료수익(수익증권 취급수수료 포함)도 전년보다 42% 줄어든 4조8,181억원으로 나타났다. 상품유가증권 매매순손실도 8,738억원이나 됐다.99년의 경우 7,367억원 흑자였다. 적자이유는 주식시장 침체와 대우 담보CP 관련 수익증권 환매손실 때문으로 분석됐다. 회사별로는 1,497억원의 세전이익을 낸 삼성증권이 영업을가장 잘했고 대우증권과 대신증권이 각각 1,96억원,951억원으로 뒤를 이었다. 이어 굿모닝증권 779억원,하나증권 332억원,LG투자증권 322억원,미래에셋증권 301억원 순이다. 반면 동원,한화증권은 각각 1,006억원,942억원의 적자를 냈다. 한편 27개 투신운용사는 전년 동기대비 1,271억원,53.6% 감소한 1,099억원의 세전이익을 냈다.현대(230억원),조흥(143억원),한일투신운용(72억원) 등 24개사가 흑자를 냈으나 삼성(64억원),아이(14억원),외환투신운용(4억원)은 적자를 기록했다. 박현갑기자
  • 금감원 국장급 이상 재산등록

    앞으로 금융감독원의 국장급 간부들도 재산등록을 해야 한다. 금융감독원은 7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공직자윤리법시행령 개정안이 입법예고된 상태라고 밝혔다. 이 개정안은이달중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최종 확정된다. 현재 금감원은 부원장보 이상 13명의 임원들만 재산등록을하고 있다.이 가운데 원장과 3명의 부원장,감사는 재산공개대상이다. 박현갑기자 eagleduo@
  • 우량기업 신용대출 의무화

    앞으로 은행들은 신용이 우량한 기업에 대해 신용대출를 활성화하겠다는 내용의 약정서나 이행각서(MOU)를 체결해야 한다.이를 위반하면 경영진 교체 등의 문책조치를 당하게 된다. 금융감독원은 7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금융회사 신용대출 활성화방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한 관계자는 “대부분의 금융회사가 부동산 담보위주의 대출관행을 지속,부동산 가격상승을 부추킬 뿐만 아니라 담보부족 등을 이유로 기업자금 지원에 소극적이거나 기피하는등 신용경색의 요인으로도 작용하고 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금감원은 이에 따라 기업의 신용도를 10단계로 나눠 5등급이상의 업체에 대해서는 신용대출을 원칙으로 하고 이를 은행내규에 규정토록 하는 등 제도화를 유도하기로 했다. 지난해말 현재 5등급 이상 기업여신이 총 기업여신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8.6%로 집계됐다. 금감원은 이달 중으로 국내 은행들로하여금 신용대출 이행계획서를 내도록 했다. 금감원은 은행들이 제출한 이행계획을 제대로 지키지 않을경우,금융감독원장과 해당 은행장사이에 신용대출을 활성화하겠다는 내용의 약정서나 이행각서(MOU)를 체결하도록 할예정이다. 신용대출 실태를 은행 경영실태평가(CAMELS)에 반영해 실적이 부진할 경우 각종 불이익 조치를 취할 계획이다. 금감원은 아울러 신용대출에 따른 은행의 손실을 예방하기위해 대출받는 기업으로부터 대출자금의 사용증빙자료를 받도록 하는 한편 분식회계를 한 기업 등 재무구조가 취약한기업에 대해서는 재무약정 체결 및 주기적 점검을 하도록 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새로운 자산건전성분류제도에 따라 미래현금흐름상 원리금을 갚을 능력이 있는 기업은 신용대출 대상으로 보면 된다”며 “다만 기존 부동산 담보대출을 갑자기 신용대출로 모두 전환하는 것은 무리가 따르므로 신규 대출부터 적용하도록 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금감원은 자본금 70억원 이하로 외부감사를 받지 않아도 되는 중소기업의 경우도 자발적으로 외부감사를 받을 경우 대출을 위한 신용평가시 우대하는 방안을 강구하기로 했다.아울러 금융기관내 신용대출 취급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정당한 절차에 따라 신용취급된 부실여신의 경우 원칙적으로 면책을 유도하기로 했다. 박현갑기자 eagleduo@
  • 시중자금 부동화현상 심화…신용경색 우려

    시중자금이 실물경제로 투입되지 못하는 부동화(浮動化)현상이 다시 심해지고 있다.이로 인해 자금시장의 악순환과 신용경색이 재연될 것으로 우려된다.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1월초 선순환 흐름을 보였던 자금시장은 2월15일을 기점으로 다시 악순환 국면으로 빠져들고 있다. ◆채권형펀드 자금유입 뚝 떨어져=2월15일 이후 시장금리가반등하면서 채권투자상품의 수신 증가세는 눈에 띄게 줄었다.시장금리 급등으로 펀드수익률이 떨어진 것이 주 원인이다. 투신사 채권형펀드의 경우 지난 1월중 8,550억원이 늘어난데 이어 시장금리 급등 이전인 2월15일까지 3조3,562억원이증가했었으나 16일부터 27일까지의 증가 규모는 2,771억원에 그쳤다. 단기로 운용하는 MMF(머니마켓펀드)도 1월중 9조7,444억원의 순증을 기록한데 이어 2월1∼15일 5조1,228억원의 증가세를 이어갔으나 16일부터 27일까지는 1조5,659억원이 빠져나갔다. ◆은행 정기예금도 급감=정기예금은 1월중 4조3,076억원이늘었었다.그러나 2월부터 급격한 감소세로 반전돼 27일까지1조2,727억원이 빠졌다.이는 2월16일 전철환(全哲煥) 한국은행 총재가 국고채 과열조짐을 경고하면서 채권시장에서 경계매물과 차익실현 매물이 쏟아졌기 때문이다.실제로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2월15일 5.14%에서 하루 뒤인 16일에는 5.32%로,23일에는 6.00%로 뛰었다. ◆빠진 자금 어디로?=한국은행 관계자는 “은행 정기예금은금고와 은행의 금전신탁쪽으로 간 것으로 보이고,투신권 MMF는 프라이머리 CBO발행 여파로 빠진 것 같다”고 밝혔다.콜시장으로도 일부 유입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지난 2월 투신권이 조달한 자금으로 기업어음 1조4,000억원과 회사채 2조1,000억원 가량을 매입했다”고 밝혔다.이 관계자는 그러나 “같은 달 16일부터 27일까지는 모두 4,000억원을 사들이는데 그쳤고,대신 1조2,000억원을 은행 등 금융권에 단기로 빌려준 것으로 파악돼 기업으로 자금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고 덧붙였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은행 정기예금의 경우,금고와 은행의금전신탁쪽으로 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신용경색 심화 우려=금감원은 금리의 급반등 현상이 지속될 경우 기업의 신용경색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자금흐름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대우사태 이후 자금의 단기·부동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면서 “올초 투신권으로 자금이 유입되는 등 자금시장의 선순환 움직임이 있었으나 다시 악순환 조짐이 보인다”면서 “기업들은 부채감축 등을 통해 시장의신뢰를 회복해야 한다”고 말했다.전문가들은 금융소비자들도 금리변동시기에는 자금운용을 보수·안정적으로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현갑기자 eagleduo@
  • 현대·삼신·한일생명 영업정지

    현대·삼신·한일생명 등 3개 부실생보사가 2일부터 영업정지에 들어간다. 금융감독위원회는 1일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된 현대 등3개 생보사에 대해 6월1일까지 3개월간 영업정지 명령을 내렸다”고 밝혔다. 이에따라 영업정지기간중 이들 생보사는 신규보험계약 체결,해약금·보험금 지급,자산의 처분 및 투·융자업무는 원칙적으로 금지된다. 그러나 관리인의 승인을 얻어 기존계약의 계속보험료 수납,보험금 청구접수,기존계약의 계약사항 확인 등 계약자 보호및 재산관리·보전 등을 위해 필요한 업무는 예외적으로 허용된다. 금감위는 또 영업정지기간에 이들 생보사에 대한 자산·부채실사를 거쳐 공적자금 투입규모를 추산하는 한편 대한생명으로 계약이전(P&A)절차를 밟게된다. 박현갑기자
  • 보험·카드회원 모집 ‘경품잔치’

    보험과 카드업계가 신규회원 모집을 위해 과다한 경품이나리베이트(특별이익)를 제공하는 등 불공정 행위를 계속하고있다.과다한 경품이나 리베이트 제공은 결국 보험료율 인상을 통해 가입자 부담으로 전가된다. 특히 리베이트 제공행위는 법으로 금지돼 있으나 지금까지감독당국의 단속 실적은 단한건도 없다.소비자를 보호해야할 책임을 지고 있는 감독당국이 오히려 회사를 감싸고 돈다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불공정 영업실태] 최근 업계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리베이트나 경품제공 등 불공정행위가 만연하고 있다.이같은 불공정행위는 대부분 보험설계사로 불리우는 보험 모집인이나 카드 모집인을 통해 이뤄진다. 보험모집인들은 제주도 2박3일 무료 숙박권이나 가족사진촬영권 등을 내세우며 보험가입를 유혹하고 있다.카드업계도사정은 마찬가지.곰돌이 인형이나 놀이공원 무료이용권 등을제공한다는 플래카드를 내걸고 공공연히 회원모집에 열을 올리고 있다.경품의 법정한도는 5,000원 이하로 정해져 있다. [보험모집인 징계] 한 건도 없어 현행 보험업법에 따르면 보험사가 리베이트 제공 등 이른바 ‘특별이익’을 보험계약자에게 제공할 경우,1년 이하 징역에 처하도록 돼있다.그러나금융감독원이 이 규정에 따라 보험사들을 제재한 적은 한번도 없다.금감원은 협회에서 자율적으로 제재를 하는 마당에형사처벌을 하면 이중처벌이 된다는 궁색한 논리를 들이대고있다. 금감원의 한 관계자는 “주유소에서 기름을 넣어도 사은품을 주지 않느냐”며 대수롭지 않다는 반응을 보였다. [카드업도 속수무책] 금감원은 최근 카드업계가 모집인을 동원해 과도한 경품을 제공하는 행위를 못하도록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그러나 적정한 경품제공 수준을 어떻게 정할 지는 결론을 내지 못한 상태다.금감원 관계자는 “카드업계도보험업계의 상호협정 같은 자율규약을 만들어 업계 스스로지나친 경품제공 행위를 상호 감시하도록 할 방침”이라고밝혔다. 그러나 이같은 방안은 현행 보험업계의 상호협정이 별다른실효성을 거두지못하고 있어 과다한 경품제공 행위 근절책으로는 미흡하다는 지적이다.전문가들은 금감원과 공정거래위원회가 공동으로 이들 업계의 불공정행위를 철저히 단속하고,카드업계의 완전경쟁체제 도입을 통해 고금리 인하를 유도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박현갑기자 eagleduo@
  • 금융지주社 CEO에 윤병철씨

    정부주도의 금융지주회사 초대 최고경영자(CEO)로 윤병철(尹炳哲·64) 하나은행 회장이 내정됐다. 금융감독위원회는 28일 “인품과 능력·경력 등을 감안,윤회장이 초대 CEO로 내정됐다는 연락을 받았다”고 밝혔다. 정부는 오는 12일 열릴 금융지주회사 설립을 위한 주주총회에서 윤내정자를 3년 임기의 CEO로 선임할 예정이다. 지주사에는 CEO이외에 한빛은행장이 겸임하는 부회장 등 모두 3명의 부회장과 6∼7명의 사외이사,5∼6명의 국내·외 인사로 구성되는 경영자문단을 둔다.경남·평화·광주은행장은 경영협의회 구성원이 된다. 한빛·평화·광주·경남 등 지주회사 자회사로 편입되는 4개 은행의 행장과 임원 등은 인선위원회가 윤내정자의 추천을 받아 오는 5일 열리는 주총에서 선임한다. 금감위 고위관계자는 “4개 은행의 현임원진들은 모두 교체되는 분위기”라면서 “행장들은 50세 전후에서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윤내정자는 경남 거제출신으로 부산대 법대를 졸업한 뒤 농업은행을 시작으로 장기신용은행 상무,한국투자금융 사장,범한투자자문 회장,하나은행장,금융개혁위원회 위원 등을 거쳤다.현재 하나은행 회장,대한중재인협회 부회장,총리정책자문위원회 부위원장 등을 맡고 있다. 박현갑 안미현기자 eagleduo@
  • 지주사 CEO 후보에 윤병철 ·이경재씨

    정부주도의 금융지주회사 초대 최고경영자(CEO)후보로 윤병철(尹炳哲·64) 하나은행 회장과 이경재(李景載·62) 중소기업은행장이 복수 추천됐다.정부는 3월초 두 후보 가운데 한명을 CEO로 선임한다. 금융감독위원회는 27일 “금융지주회사 CEO인선위원회(위원장 李揆成 전 재경부장관)가 윤회장과 이행장을 정부주도 지주회사의 CEO후보로 복수 추천해 왔다”면서 “내달초 최종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계자는 “지주회사 CEO가 내달초 결정됨에 따라 3월2일로예정됐던 한빛 평화 경남 광주은행의 CEO의 선임을 위한 주주총회도 3월5일로 연기됐다”고 덧붙였다. 그동안 인선위원회는 지난 24일까지 인터넷과 언론공모,헤드헌터,인선위 자체추천 등을 통해 지원자 19명 등 모두 30여명의 1차 후보 가운데서 이헌재(李憲宰) 전 재경부장관과이번에 최종후보로 추천된 이들 2명 등 7∼8명을 2차 후보로선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 전 장관이고사하는 바람에 이 행장과 윤 회장이 추천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행장은 경북 영주출신으로 61년 한국은행에입행,은행감독원 부원장보,한은이사·감사를 거쳐 금융결제원장을 지냈다. 윤회장은 경남 거제출신으로 농업은행을 시작으로 장기신용은행 상무이사,한국투자금융사장,하나경제연구소 회장,금융개혁위원회 위원 등을 지냈다. 박현갑기자
  • 현대건설 4억弗 지급보증

    현대건설이 채권단에 출자전환 동의서를 제출하고 경영진을교체하는 것을 조건으로 채권단으로부터 해외건설 수주에 필요한 4억달러 규모의 지급보증을 받기로 했다. 현대건설은 이에 따라 조만간 외환은행 등 채권은행단에 출자전환 동의서를 제출키로 했으며,3월 주주총회에서 김윤규(金潤圭)사장과 김재수(金在洙)구조조정본부장 등 현 경영진도 퇴진시키기로 했다. 외환은행의 이연수(李沿洙)부행장은 27일 “현대건설 대주주들로부터 출자전환 동의서를 받는다는 전제 아래 다른 채권은행들과 최대한 빠른 시일 안에 협의를 거쳐 현대건설에4억달러의 대외 지급보증을 해주기로 했다”고 밝혔다. 채권단은 영화회계법인과 계약을 맺고 오는 3월2일부터 2∼3개월간 현대건설에 대한 실사를 벌인다. 박현갑 김성곤 주현진기자 eagleduo@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