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MF 한달새 10兆 ‘썰물’
투자신탁사의 주요상품인 MMF(머니마켓펀드)로부터 자금이탈이 가속화되고 있어 일부 중소형 투신사들의 유동성위기가 우려되고 있다.
지난 3월까지 꾸준한 증가세를 유지했던 MMF수신고는 4월 들어 하락세로 반전돼 지난주말까지 한달도 채 안돼 무려 10조원 가까이 줄었다.
당국은 초단기 자금인 MMF로부터의 자금이탈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최근 시장금리 불안으로 인한 ‘투자자들의 환매 요구,투신사의 채권 매각,수익률 하락’이라는 악순환이 되풀이되고 있기 때문이다.
◇자금이탈 속도 너무 빠르다=MMF 수신고는 지난해 연말이후 지난 3월말까지 꾸준한 증가세를 유지해 왔다.1일 한국투신협회에 따르면 MMF 수신고는 지난해말 26조7,940억원에서 지난 1월말 36조5,249억원,2월말 39조9,731억원,3월말 43조3,251억원을 기록했다.그러나 4월 들어 자금이 썰물처럼 빠지기 시작,지난 28일 현재 잔액이 33조3,390억원으로 줄었다.28일새 9조9,861억원이 빠진 것이다.한국은행 관계자는 “4월에는 특히 기업들의 부가가치세 납부를 위한 자금수요가많아 MMF 자금이 많이 빠져나갔다”고 분석했다.한국투신협회 관계자는 “채권수익률 하락에 따른 환매요구,채권매각,수익률 하락이라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지 않는 한 자금이탈을 막는 것은 역부족”이라고 걱정했다.
◇금융감독원,중소형 투신사 예의주시=금감원은 특히 D,K,J투신운용사 등 수신이 큰 폭으로 떨어진 일부 중소형 투신사들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물가불안,경기회복 조짐,예보채 물량부담 등 금리상승 요인이 상존해 있어 MMF 자금이탈 현상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는 것이다. 금감원은이들 투신사들이 외형위주의 공격적인 경영으로 위험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한 관계자는 “금리상승으로 인한 펀드수익률 하락이 예상되면서 MMF 환매요구가 늘었고,이로 인해 다시 금리상승요인이 생기는 등 악순환이 초래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MMF의 수신감소 문제가 채권시장과 금융시장의 불안으로 확대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시장금리를 안정시키는 것이 절실하다”고 덧붙였다.
오승호 박현갑기자 o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