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박현갑
    2025-08-24
    검색기록 지우기
  • 장형우
    2025-08-24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4,523
  • “GM, 대우차 수익모델 검토중”

    정건용(鄭健溶) 산업은행총재는 21일 “미 GM이 대우자동차 실사를 지난달말 끝내고 인수제안서를 작성하기 위한 수익성 모델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총재는 기자간담회에서 “GM이나 우리나 (대우자동차 인수 및 매각협상을)빨리 하자는 데 생각이 같다”며 이같이밝혔다.인수제안서 제출시기가 23일이거나 매각대금이 20억달러라는 설에 대해서는 “정해진 것이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정총재는 “그동안 산업은행이 추진해온 지주회사 설립방안도 계속 검토중”이라며 “대우증권의 경우는 지주회사 설립과 별개로 인수자금만 많이 제시하면 언제든지 매각할 수 있다”고 밝혔다. 박현갑기자 eagleduo@
  • 현대투신 인수 협상

    정부와 미국 AIG간의 현대투신 인수협상이 오는 28일쯤본격 시작된다.미국 AIG측은 현대증권도 인수하기를 원하고 있다. 18일부터 현대증권에 대한 금융감독원의 특별검사가 10일간 진행된다. 인수협상이 성사되면 현대그룹의 모기업인 현대건설에 이어 금융계열사도 계열에서 분리하게 돼 현대그룹의 해체가 가속화될 전망이다. 박현갑기자 eagleduo@
  • 직접금융 자금조달 ‘양극화’

    지난 1∼4월 국내 기업들이 회사채를 발행해 조달한 자금규모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6배나 증가했다.특히 2년이상의 장기회사채와 BBB등급 회사채 발행이 원활하게 이뤄졌다. 그러나 중소기업의 직접금융시장을 통한 자금조달은 지난해보다 62%나 줄어 양극화 현상을 보였다. 금융감독원은 18일 “4월까지 직접금융 자금조달 실적을보면 기업들이 주식,회사채 발행을 통해 각각 4조7,891억원,23조2,832억원씩 모두 28조723억원을 조달,지난해보다16.6% 늘었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자산유동화증권(ABS)을 제외한 일반회사채 발행규모는 9조8,777억원으로 3조7,601억원에 지나지 않았던 지난해보다 262.7%나 증가했다.특히 만기가 2년이상인 회사채의 발행규모가 전체의 78.3%인 7조7,362억원으로 비중이 7.1%포인트 높아졌다. 그러나 중소기업의 자금조달 실적은 8,018억원에 그쳐 지난해보다 61.5% 감소한데다,회사채 발행실적도 1,310억원으로 4.8% 증가하는데 그쳐 전반적인 자금시장 안정세에도 불구하고 중소기업들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박현갑기자 eagleduo@
  • 현대투신 외자유치 쟁점

    정부가 미국 AIG측과 벌일 현대투신증권에 대한 외자유치 협상은 공적자금 투입규모와 현대증권 경영권 인수여부가 핵심쟁점이다. ◇남은 것은 금액=양측의 협상은 잠재부실규모와 이에 따른 투자규모만 남겨둔 상태.정부는 지난 4월21일까지 실사를 벌여 파악한 부실규모는 자본잠식액 1조2,000억원보다7,000억∼8,000억원 많은 2조원선.AIG측의 영화회계법인도 지난 4월23일부터 잠재부실 규모에 대해 실사하고 있다. 양측은 이를 토대로 정확한 부실규모를 확정짓게 된다.정부는 정확한 규모가 나오면 투자규모와 투자방법을 정하게 된다. 정부의 생각하는 투자액은 AIG가 제시한 10억달러(1조3,000억원)와 하이닉스반도체·현대상선·현대엘리베이터 등3개사가 현물출자한 2,373억원을 제외한 5,000억∼6,000억원선이 될 전망이다. 예금보험공사를 통한 공적자금 투입이나 정부투자기관이보유한 현물주식을 출자하는 방안 등이 거론되고 있다. ◇현대증권 검사는 압박용=금감위 이우철(李佑喆) 감독정책2국장은 “AIG측이 현대증권에 대해서도 투자를 희망하고있다”고 밝혔다.금감원이 이날부터 현대증권에 대한부분검사에 착수한 배경도 이와 무관치 않다. 금감위는 외자유치와 직접적인 연관은 없다면서도 AIG측의 현대증권 인수에 대비,펀드판매 손실에 대한 보장각서작성 여부 등 잠재부실 규모를 파악해 두자는 뜻이 담겨있다.또한 현대증권 경영에 미련을 갖는 정몽헌(鄭夢憲)회장을 압박,계열분리를 촉구하는 전략이라는 지적도 있다. ◇소액주주 감자여부=실사가 끝나 정부와 AIG가 현대투신을 인수하게 될 전망이다.정부의 공적자금이 투입되면 지난해 2,300억원의 증자에 참여한 2만4,000여명의 소액주주들에 대한 감자여부를 놓고 또 한차례 진통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박현갑기자 eagleduo@
  • 잇단 ‘길조’ 불황터널 벗어나나

    *실업·부도 급감 배경과 전망. 두 달 내리 100만명을 돌파했던 실업자수가 4월에는 80만명대로 크게 줄며 안정세를 찾았다.실업률도 정부의 당초 목표치인 3%를 유지해 ‘실업대란’의 우려는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농림·어업,건설 등 계절적 산업에서 취업자가 크게 는데다 정부가 추진해온 실업대책이 효과를 거두고 있기 때문으로풀이된다.밑바닥 경기가 빠른 속도로 회복되고 있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기업경기실사지수(BSI)도 높아지고 있고,한국개발연구원(KDI) 등이 1·4분기 성장률을 당초 전망보다 높여 잡은 점 등도우리 경제가 불황의 터널에서 빠져나오고 있음을 보여주는조짐들이다. ■실업자수 급감은 복합적 요인 계절적인 요인,정부의 실업대책,경기부양책 등 3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우선 계절적으로 4월에는 농림·어업,건설업의 취업자가 크게 느는 시기다. 정부의 실업대책이 효과를 나타냈다.4월들어 공공근로사업,개인 및 서비스업의 취업자가 크게 는 것이 이를 반영한다. 공공근로사업에는 약 17만명이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적인 요인도 빼놓을 수 없다.4월들어 BSI가 호전되는데서 보이듯 경기부양책의 효과와 맞물려 자금경색이 완화되면서 도·소매업,음식·숙박업 등의 취업자가 눈에 띄게 증가했다. 한국노동연구원 강순희(康淳熙) 동향분석실장은 “실업자수감소는 47%가 계절적 요인,나머지 53%가 경기 및 실업대책의 효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경기 회복,기대 높아져 실업률이 안정세를 되찾으면서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경기가 이미 저점을통과해 본격적인 회복국면에 접어들었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신설법인이 늘어나는 등 경기가 살아날 조짐을 보이고 있다.지난 3월 부도법인에 대한 신설법인수의 배율은 19. 7배로 지난해 3월(24.3배)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고용의 질,개선이 과제 실업률은 9∼10월까지는 감소 내지는 보합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그러나 4월들어 실업자가 줄었지만,임시·일용직 근로자가 3월보다 증가한 것은 부정적인 측면이다.엄격한 의미에서 경기가 좋아져 생긴 안정적인 직장이 아니라 정부의실업대책 등 인위적인 요인으로만들어진 불안정한 일자리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KDI 유경준(兪京濬) 연구위원은 ““앞으로 정부의 실업대책도 실업률을 인위적으로 낮추는 쪽이 아니라 고용의 질을높이는 쪽에 맞춰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성수기자 sskim@. **경기열쇠 4대변수. 우리 경제를 짓눌러온 악재들이 하나 둘씩 가벼워지고 있다. 최대 변수였던 미국의 경제도 금리인하와 1·4분기 국내총생산(GDP) 호조 등으로 삭풍에서 훈풍으로 바뀌는 듯하다. 국내 소비심리도 꿈틀거리고 있다. 게다가 대우자동차 매각이 본격적으로 추진되고,하이닉스반도체의 외자 수혈도 순조롭게 진행 중이다.현대건설은 18일 임시주총을 갖고 채권단의 출자전환을 위한 감자(減資)를 의결하면서 새로운 출발을다짐할 예정이다. 하지만 국내경제가 살아나기 위해선 미국경기가 본격적으로 회복되고 국내 수출 및 투자도 촉진돼야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대우차매각 GM 일괄 인수 여부 주목. 현재 산업은행이 중심이 되어 미국의 GM·피아트 컨소시엄측과 매각협상을 진행 중이다.협상쟁점은 인수방식·인수대상·인수가격·세금문제 등이다. 우선 인수방식과 대상의 경우,GM은 이달 중순쯤 제출할 것으로 보이는 대우차 인수제안서에서 대우차의 수익성 있는자산만 선별인수하는 자산인수방식을 택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96년 완공된 소형차 생산라인을 갖춘 군산공장이나 대우자판은 인수대상에 포함될 전망이다.트랜스미션을 생산하는 대우통신 보령공장도 GM의 기술을 토대로 설립돼 인수 가능성이 높다. 반면 부평공장이나 채무구조가 복잡한 해외 현지법인은 인수대상에서 제외할 가능성이 높다.부평공장은 연간 50만대생산능력을 갖췄으나 시설이 낡아 대대적인 설비투자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정부와 채권단은 그러나 일괄인수를 바라고있다. 인수가격은 지난해 포드가 제시한 7조7,000억원선에 훨씬못미칠 것으로 보인다.일각에서는 GM측이 2조6,000억원선을제시할 것이라는 소문이 나돌고 있다. 협상주도권을 쥔 GM이 대우차를 인수할 신규법인 설립에 따른 세금감면을 요구할 경우,정부가 이를 어떤 식으로 처리할지 여부도 주목된다. 박현갑기자 eagleduo@. *수출과 물가 불안 여전… 회복기 큰 부담. 국내 경제의 양대 현안이다.삼성경제연구소 홍순영(洪淳瑛) 동향분석실장은 “국내 경기가 더이상 떨어지지는 않겠지만,반등할지 여부는 수출에 달려 있다”고 지적했다. 회복되는 소비심리와 기업의 체감경기가 설비투자 등으로이어지려면 수출이 잘 돼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미국 경기와 정보통신(IT)분야 성장 둔화로 국내 수출업계,특히 벤처기업의 수출에는 빨간불이 켜졌다. 산업자원부에 따르면 5월들어 무역수지는 5억4,800만달러적자를 기록했다.1·4분기 벤처기업의 수출실적은 11억6,900만달러로 작년 동기에 비해 19.2% 성장에 그쳤다.지난해 1·4분기 수출증가율 52.9%와 연평균 증가율 41.8%에 비하면 크게 못미치는 수준이다. LG경제연구소 오문석(吳文碩) 연구위원은 “2·4분기에는수출이 부진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수출이 부진한데다 수출단가도 떨어져 있는 상태다.64MD램 반도체 값은 5월들어 개당 2.1달러로 지난해 5월의 6.8달러에 비하면 3분의1에도 못미치는 수준이다. 4월에 5.3%나 치솟았던 소비자물가는 5월이 고비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3월의 환율상승이 시차를 두고 이달부터제품가격에 반영되기 때문에 물가오름폭이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 18일 열리는 물가대책 장관회의에서는 대책이 논의될예정이다. 박정현기자 jhpark@. *현대문제, 반도체·건설 회생 기로에. 채권단이 1조원의 회사채 신규발행 및 기존 대출금 만기연장 등을 통한 5조원대의 ‘하이닉스 지원안’을 확정한데 이어 최근 ‘해외주식예탁증서(GDR) 2억달러 인수처 잠정 결정’이란 첫단추를 뀄다. 하지만 넘어야 할 고비가 많다.GDR 10억달러,하이일드본드 3억7,000만달러 발행을 통한 1조8,000억원의 외자유치.그리고 현대계열사가 가진 19.2%의 하이닉스 지분 매각을 통한 계열분리 완료 여부가 관건이다. 특히 ‘6월말 계열분리’라는 대국민 약속을 위해 현재 시가(4,115원)로 당장 지분을 팔면 대주주인 상선(9.25%),중공업(7.01%) 등이 수천억원대의 손실을 입는다.채권단은 경영권에관심있는 해외 반도체기업이 하이닉스의 주당 순자산을 10만원으로 보고 있어 ‘선(先)주식 인도,후(後)가격 정산’방안이 가능하다고 말한다.그러나 비싸게 주고 사려는 사람이 있겠냐며 매각성사 여부가 희박하다는 시각도 있다. 현대건설은 지난 3월말 2조9,800억원 적자라는 부실 내역이 발표됐다.4월부터 만기가 돌아온 회사채를 갚지 못하고 물품대금 등만을 겨우 결제하고 있다.자산매각 등으로 버틸 수있는 시한은 오는 6월말.채권단이 약속한 1조4,000억원의출자전환과 1조5,000억원의 유상증자 및 전환사채발행이 이때까지 이뤄져야 부도 위기를 넘긴다.채권단의 지원을 기반으로 얼마나 빨리 영업기반을 재구축할지가 회생의 관건이다. 주현진기자 jhj@. *美·日 경제 위기감 줄었지만 불투명. 우리 경제의 하반기 회복과 맞물려 있는 미국과 일본 경제등 대외변수는 여전히 불투명한 상태다.다만 최근 미국 경제의 각종 거시경제지표가 예상치를 웃돌고 있는 점은 긍정적요인이 되고 있다. 우선 1·4분기 성장률이 0∼1%에 그치리라던 당초예상을뒤엎고 2%의 높은 신장세를 보였다.전문가들은 2·4분기에는성장률이 다소 떨어지다가 하반기 이후 점차 나아질 것으로전망하고 있다. 따라서 미국 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은 크게줄어든 것으로 볼 수 있다.그러나,실업률이 오르고 비제조업분야는 둔화조짐을 보이고 있다.특히,우리 수출의 회복과직결돼 있는 정보통신(IT)분야는 좀처럼 회복기미를 보이지않고 있다. LG경제연구원 김성식(金聖植) 연구위원은 “미국 경제가 경쟁력이 저하되거나 근본문제가 있는 게 아니라 과속성장에따른 조정기로 볼 수 있다”면서 “조정기를 지나면 경기가회복될 것이라는 견해가 우세하다”고 지적했다. 일본 경제는 장기적인 침체국면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올성장률이 1% 안팎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유력하다.고이즈미 내각이 새로 출범하면서 변화가 예상되지만 현재까지는생산이 수요를 초과한 상태이며,투자의욕도 급격히 저하돼있다.다만 워낙 실물경제가 튼튼해 일각에서 우려하는 대로급격한 붕괴는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국제금융센터 이희두(李熙斗) 연구위원은 “일본 경제가 급속히 회복세를 나타내지는 않겠지만,한국경제가 하반기 회복하는 데 지장을 주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성수기자
  • 한진해운등 10여개사 ‘부채비율 200%’ 적용 안받아

    한진해운,현대상선,삼성물산,SK상사,LG상사 등 10여개 기업이 부채비율 200%요건을 충족시키지 않아도 되는 대상기업으로 파악됐다.이들 업체는 지난해말 현재 이자보상배율이 1 이상으로,영업이익으로 금융비용을 부담할 수 있는 우량기업들이다. 1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건설,해운,항공,종합상사 등 4개 업종의 경우,60대 계열소속 기업이라도 이자보상배율이1이상이고 주채권은행이 미래채무상환 능력이 있다고 인정하는 경우,부채비율 200% 적용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도록하고 있다. 현대건설은 지난해 243억원의 영업이익을 냈으나 금융비융이 5,105억원이나 돼 이자보상배율이 0.01에도 못미치고 있다. 항공업종의 경우 아시아나와 대한항공의 이자보상배율이 1이하로 드러나 부채비율 200%를 지켜야 한다. 한편 금감원은 신용공여 규모 산정 때,수출환어음(D/A)을제외해 달라는 전경련의 요구는 받아들이지 않기로 했다.한 관계자는 “결합재무제표 대신 연결재무제표를 적용하자는 등 금융정책의 기본틀을 바꾸라는 요구는 받아들일 수 없다”면서 “그러나 운용의 묘를 살릴 수 있는 것은 긍정적으로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박현갑기자 eagleduo@
  • 위험직종 종사 고지의무 위반해도 사고와 인과관계 없으면 전액보상

    보험에 가입하면서 위험직종 종사 고지의무를 위반해도그 직종이 보험사고와 인과관계가 없으면 보험금을 전액지급받을 수 있다. 금융분쟁조정위원회는 15일 하모씨(59)가 모생명보험을상대로 신청한 금융분쟁조정 사건에서 하씨의 청구를 받아들여 해당보험사에 보험금 8,100만원을 추가 지급할 것을결정했다. 분쟁조정위는 “보험사가 분류한 위험등급 2급의 건설현장 잡부인 하씨는 보험가입시 3급의 벽돌공으로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밝혔으나 그후 3급 장해를 일으킨 화재사고는하씨의 직업과 별다른 인과관계가 없다”며 이같이 결정했다. 관계자는 “사고발생으로 인한 보험금 지급시 보험사가 고지의무제도를 남용하는 것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며 “위험직종 고지의무 위반과 보험사고간 인과관계가 없을때 보험금을 감액해 지급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말했다. 박현갑기자 eagleduo@
  • 60대 대기업 금융사 빚 111兆

    금융회사로부터 빌려쓴 빚(대출금 지급보증 회사채 등 포함)이 많은 60대 주채무계열에 현대자동차,포항제철,대우건설,대우인터내셔널,대우통신,오리온전기,현대산업개발,두루넷,하나로통신,대한해운,대우기계,대우조선,현대백화점,일진,고려제강 등 15개 계열이 신규 선정됐다. 새로 선정된 15개 계열은 주채권 은행과 재무구조개선약정을 체결해야 한다.이 약정에는 주채무계열의 차입금 상환계획을 포함한 부채비율 감축계획,주채무계열 전체의 구조조정,기업 지배구조개선 등의 내용이 포함된다. 금융감독원은 14일 지난해 말 현재 금융회사로부터 받은신용공여 규모가 큰 60대 계열을 선정한 결과,이같이 파악됐다고 밝혔다. 현대자동차 계열은 지난 해 별도 계열을 형성했고,포항제철 계열은 공정위에 의해 정부투자기관 지정에서 제외돼 신규 주채무계열로 선정됐다.또 대우인터내셔널 등 대우 관련6개사는 해외 현지법인과 계열을 형성해 주채무계열로 선정됐다. 반면 법정관리를 신청한 동아,우방,해태와 단일법인만 존속한 대우,에쓰-오일,소규모 신용공여 업체인 아남,대우자동차판매,신원,세풍,화성산업,일동제약,대한펄프,농심,조양상선,동방 등 15개사는 제외됐다. 5대 계열 중 삼성은 순위가 2위에서 3위로 떨어진 반면,LG는 4위에서 2위로 껑충 올랐다.또 현대자동차가 새로 5위로진입했다. 공정거래위원회 지정 30대 대규모기업집단 중 신세계 계열,태광산업 계열은 신용공여규모가 60위에 미달해 이번 주채무 계열에 포함되지 않았다. 한편 60대 그룹이 금융권에서 빌려쓴 빚이 99년 124조989억원에서 지난 해 111조8,349억원으로 12조2,640억원 줄었다.정부의 대기업 부채비율 감축유도에 따른 결과다. 5대 계열의 신용공여 금액은 99년 62조843억원에서 지난해 53조3,409억원으로,30대 계열은 99년 109조4,026억원에서 지난 해 96조9,976억원으로 각각 줄어 들었다.LG의 경우,데이콤계열 인수로 데이콤의 기존 신용공여7,000억원을 추가로 산입하는 등 인수 및 합병 등으로 인해 99년에 비해 2조3,553억원이 증가했다. 5대 계열 빚이 금융권 총여신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2.4%로 지난 99년의 14.5%보다 2.1%포인트 낮아졌다.30대 계열도 99년의 25.5%에서 22.5%로,60대 계열은 28.9%에소 26.0%로 각각 줄었다. 박현갑기자 eagleduo@
  • 무분별한 단타매매 제동

    빠르면 오는 6월부터 주식거래 수수료 체계가 현행 정율제에서 정액제와 정율제를 병행해 적용하는 체제로 바뀐다.무분별한 데이트레이딩(단타매매)을 억제하기 위해서다. 또 지금처럼 개별 주식에 대한 매도·매수의 전체적인 수량은 공개되지 않는다.대신 개별호가 공개범위가 현행 5단계에서 10단계로 확대된다. 금융감독위원회는 14일 “금융정책협의회에서 논의된 시장건전성 제고 방안의 후속조치로 이같은 대책을 추진 중”이라면서 “증권거래소 및 증권업협회 규정을 개정하는대로 시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금감위는 정액제와 정률제를 병행해 적용하기 위해 주문건당 일정금액을 수수료를 내게 할 방침이다.현재 주식거래 수수료는 체결된 대금의 0.4∼0.45%이다. 금감위 관계자는 “총호가 수량을 공개함으로써 실제로 매도·매수주문할 의사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매도·매수세가강하게 있음을 보여주는 등 왜곡된 정보를 제공하는 측면이강해 앞으로 이를 공개하지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박현갑기자 eagleduo@
  • 돈 투신권으로 ‘U턴’

    투신권을 빠져 나갔던 자금이 증시상황이 호전되면서 다시투신권으로 유입되고 있다. 13일 투신업계에 따르면 환매사태를 겪으며 한때 설정잔고가 20조원대로 떨어졌던 MMF(머니마켓펀드)자금이 지난 4일29조5,936억원에서 10일에는 30조2,707억원으로 6일동안 6,771억원이 증가했다. 이어 11일에는 하룻만에 4,940억원이 들어와 30조7,650억원을 기록했다. 이같은 증가추세는 기관들이 다시 MMF를 찾고 있어 다음주에도 계속 이어질 전망이다.주식형펀드 수탁고도 지난 10일현재 4조6,590억원으로 지난 연말의 4조615억원에 비해 5,975억원 늘었다. 특히 이달 들어 10일만에 수탁고가 746억원이나 늘어나는 등 자금유입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이같은 현상은 주가가 바닥을 다지고 있다는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주식형펀드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있기 때문으로 풀이됐다.대한투신운용의 주순극 투신영업추진팀 차장은 “최근 주식형펀드 가입과 상품내용을 문의하는 투자자들이 부쩍 늘어나고 있다”고 밝혔다. 최인규 한국투신운용 마케팅팀장은 “직접 주식투자를 하기 어려운 투자자들은 주식형펀드를 통한 간접투자를 하는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이에따라 투신권 전체 설정잔고도 지난 4일 145조1,720억원에서 11일 146조130억원으로 8,410억원이 증가했다. 회사별로는 지난 11일 현재 삼성투신 17조5,172억원,현대투신운용 15조9,850억원,대한투신 15조6,861억원,한국투신운용 15조3,398억원 등이다. 박현갑기자 eagleduo@
  • 동시호가 ‘시간우선원칙’으로 바뀐다

    오는 21일부터 외자유치나 주가조작,합병 등 주가에 영향을 끼칠만한 상장기업 관련 각종 풍문이 사실인지 여부를지금보다 빨리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 오는 9월3일부터 주식거래에서의 동시호가제도가 현행 ‘수량우선원칙’에서 ‘시간우선원칙’으로 바뀐다. 금융감독위원회는 11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유가증권상장규정 개정안을 심의,의결했다. 개정안은 풍문 등과 관련해 증권거래소에 조회공시를 요구할 경우 개별기업의 답변시한을 요구 시점이 오전이면그날 오후까지,오후이면 다음날 오전까지로 앞당겼다.지금은 조회공시를 요구한 다음날까지가 답변 시한이다.금감원 관계자는 동시호가제도의 시간우선원칙 도입과 관련,“오전 9시 개장에 앞서 주문을 미리낸 사람들의 경우,나중에주문을 내는 사람보다 위험(리스크)을 더 떠안는 만큼 먼저 주문을 낸 것에 대한 인센티브를 줄 필요가 있다”고배경을 설명했다. 한편 금감원은 상장 전 대주주에게 시가보다 훨씬 싼 가격으로 신주인수권부사채(BW)를 발행하는 예가 많은 점을감안,기존 주주들의 이익보호를 위해 상장 전 최대주주 등에게 부적정한 가격으로 BW를 발행하지 못하게 했다. 박현갑기자
  • “증권사 기업금융 규제 해제 검토”

    앞으로 증권사들의 기업인수·합병(M&A) 등 기업금융 업무관련 규제가 대폭 풀릴 전망이다. 이근영(李瑾榮) 금융감독위원장은 11일 서울 수유리 동양화재 연수원에서 열린 자본시장 발전방향 워크숍에 참석,“증권사의 투자은행화에 가장 큰 제약인 기업금융 업무관련 제한과 규제를 보다 과감히 푸는 문제를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위원장은 “증권업계에 선도회사가 출현하기 위해서는외국증권사에 비춰 가장 취약한 분야인 투자은행 업무에대한 경쟁력 제고가 필요하다”며 “현재 국내 증권사는유가증권 인수 등 단발적 금융서비스만을 제공하는 데 그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투자은행은 종합증권회사로 기업 자금조달 지원,구조조정 컨설팅,다양한 상품설계 등을 통해 자본시장에서 실질적조정역할을 수행하는 금융회사라고 이 위원장은 설명했다. 그는 또 “선도자로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증권사의 대형화가 이뤄져야 한다”며 “업계 스스로 합병,유상증자 등 방안을 놓고 전략적 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최근 현안이되고 있는 증권거래소,코스닥,선물거래소 등 3개 시장 통합문제와 관련해서는 국제적으로증권시장의 글로벌화가 진행되면서 거래소간 업무제휴,연계상품개발 등 환경변화가 계속되고 있는 데도 국내 시장은 결제기능의 분리,전산 중복투자 등 비효율적 요소로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시장 인프라의 국제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도적 환경을 구축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고,현재 정부는경쟁력 강화를 위한 종합방안을 마련중”이라고 밝혔다. 박현갑기자 eagleduo@
  • 동양현대·리젠트 종금 합병

    동양현대종합금융과 리젠트종합금융은 11일 오후 서울 을지로 동양현대종합금융에서 합병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두 회사는 6월 7일 이전까지 합병 승인 주주총회를 열어본 계약서 승인과 합병에 필요한 사항을 결의한다.합병일은 6월 20일로 정했다. 리젠트종금의 보통주 1주당 동양종금의 보통주 0.8512주의 비율로 신주를 받는다.합병으로 총자산 2조8,374억원,자본금 3,906억원에 전국 지점 10개를 보유한 대형 종금사가 탄생하게 됐다. 박현갑기자 eagleduo@
  • 현대건설 출자전환 지연 경제회복 ‘최대 걸림돌’로

    현대건설의 출자전환 문제가 경제위기 해소의 최대 걸림돌로 재부상하고 있다.금융감독원은 10일 “현대건설에 대한채권단의 출자전환 문제가 오는 18일 임시 주주총회의 특별결의 안건으로 상정된다”면서 “주총에 앞서 투신권과 채권단의 출자전환 참여문제가 매듭지어져야 한다”고 밝혔다. ■투신권의 출자전환이 관건 채권단은 1조4,000억원의 출자전환과 7,500억원의 유상증자에 투신권이 참여해야 한다는원칙적인 입장을 투신권에 전달했다.출자전환과 관련,채권단은 투신권의 펀드에 편입된 회사채 5,400억원 가운데 절반인 2,700억원을 출자전환해야 한다는 의견을 투신권에 제시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채권단은 투신권이 출자전환과 유상증자 참여가 어렵다면보유 회사채 금리를 대폭 낮추고 회사채 상환을 3년정도 연기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투신권은 NO 투신권은 고객의 자금으로 운용하는 회사채를 출자전환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한 투신운용사 관계자는 “현대건설 회사채 5,400억원은신탁계정에 편입돼 있어 출자전환은 불가능하고 유상증자참여도 힘들다”고 강조한다. ■소액주주 설득도 난제 출자전환이 되려면 현대건설 임시주주총회에서 감자결의 안건이 통과되어야 한다. 현행 상법과 증권거래법의 규정에 따르면 주식회사의 주식감자를 위해서는 전체 발행주식의 3분의 1 이상이 참석해참석주식의 3분의 2가 동의해야한다.이와함께 주총에 참석(의결권 위임 포함)해 감자에 동의한 주식이 전체 발행주식의 3분의 1(33.3%)을 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채권단이 보유한 지분은 현대건설과 대주주로부터 양도받은 지분과 정몽헌(鄭夢憲)씨 일가지분을 합쳐모두 24.8%.나머지 75.2%를 지닌 소액주주의 감자동의가 없이는 감자결의가 불가능하다. 현대건설은 지난 8일 감자동의를 얻기 위해 직원 4∼5명이소액주주를 찾아 다니며 협조요청과 위임장을 받는데 주력하고 있다.게다가 ‘현대건설 소액주주 투쟁위원회’측은채권단이 보유하고 있는 현대건설 자사주 5,000여만주에 대해 ‘의결권 행사금지 가처분신청’까지 법원에 제기한 상태다.금감원 관계자는 “감자결의가 안될 경우 시가출자 전환 등비상대책을 강구하고 있다”고 밝혀,어떤 식으로든지출자전환을 할 것임을 시사했다. 박현갑기자 eagleduo@
  • GM, 대우자동차 인수 이르면 내주 제안서 제출

    제너럴모터스(GM)가 빠르면 다음주 대우자동차 인수제안서를 채권단에 제출,매각협상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인수협상팀 관계자는 10일 “이달초 열린 GM 이사회에서대우차의 조건부 인수를 승인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채권단이 GM측으로부터 인수제안서를 건네받는대로 본격적인 협상을 벌일 전망”이라고 밝혔다. 박현갑기자
  • 퇴출기업 200~300개 판정

    상시퇴출 심사대상 기업 가운데 실제로 퇴출될 기업은 200개 이상이 될 전망이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9일 “지난해 11·3 잠재부실기업 심사때,모두 287개 기업을 심사해 52개 기업을 퇴출대상으로판정했는데 이번 심사대상 기업도 이와 비슷한 비율로 퇴출조치를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전체 1,187개 심사대상 기업 가운데 215개 정도가퇴출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금감원이 22개 은행에 퇴출심사 대상기업에 추가할것을 지시한 법정관리·화의기업까지 포함할 경우, 퇴출심사 대상기업수는 1,700여개로 늘어나 실제 퇴출기업도 300개 이상 될 것으로 예측된다. 관계자는 “은행이 자율적으로 판단할 사항이어서 퇴출기업수를 일률적으로 말하기는 어렵다”고 전제한 뒤,“부실정도가 심한 기업부터 먼저 심사에 들어가기 때문에 이달안으로 퇴출기업이 나올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퇴출대상 기업으로 선정된 곳은 법정관리,화의,매각 등으로 정리되며 법정관리기업 중 회생이 어려울 것으로 판정된곳은 은행이 법원에 법정관리 취소를 요청하게 된다. 박현갑기자 eagleduo@
  • 금감위·금감원 인사 ‘D高’ 약진

    최근 단행된 금융감독위원회 및 금융감독원 인사에서 ‘D고교’ 동기들이 약진,화제가 되고 있다. 이달 초 단행된 금융감독원의 부서장 인사에서 대전고 50회 졸업동기 3명이 나란히 1급으로 승진했다.정성순(鄭成淳) 신용감독국장,백수현(白壽鉉) 은행검사2국 부국장,김치중(金致中) 기획조정국 부국장이다.동기인 김인섭(金寅燮) 공보실장까지 합쳐,졸업동기 4명이 1급을 맡고 있다. 금융감독위원회에서도 1급 이상 4 자리 가운데 2자리를서울 동성고 선·후배가 나란히 차지하고 있는 것도 이채롭다. 유지창(柳志昌) 부위원장과 강권석(姜權錫) 증권선물위원회 상임위원은 동성고 68년 및 69년 졸업생이다. 한편 금감원에는 서울고 동기생 국장도 4명이 있다.문홍순(文弘淳) 비은행검사2국장·이성로(李成魯)기획조정국장·이갑수(李甲洙) 자본시장감독실장·정진규(鄭珍圭) 법무실장 등은 서울고 19회 졸업생들이다. 박현갑기자 eagleduo@
  • 카드 연체이자 7월부터 제한

    오는 7월1일부터 신용카드의 연체이자율이 금융기관과 고객간의 당초 계약금리의 1.5∼1.7배를 넘지 못하게 될 것으로보인다. 9일 재정경제부에 따르면 오는 6월중 금융이용자 보호법이국회에서 통과되면 카드·금고·은행 등 제도권 금융기관과사채업자에게 동시에 적용되는 연체이자율 최고수준과 사채이자율 최고수준,소액대출 한도 등을 담은 시행령을 6월말까지 마련,7월부터 시행하게 된다. 관계자는 “제도권 금융기관중 은행이나 금고 등은 별 문제가 없고 연 25∼29%의 높은 연체이자율로 사회적 지탄을 받고 있는 신용카드사가 주요 제한대상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카드사의 연체이자율은 구체적인 수치로 상한선을 정하지는 않고,카드사와 고객간 당초 계약금리의 1.5∼1.7배로 최고수준을 제한하는 방안이 유력하다.지난달 30일 공청회에서거론됐던 방안으로,현재 카드사의 대출금리가 연 15∼20%인점을 감안하면 2배에 약간 못미치는 수준에서 결정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이에 앞서 지난 3월 오는 27일까지 BC,LG,삼성 등 3개 신용카드사에 대해 연체이자율을 인하하도록명령했었다. 그러나,신용카드업계는 연체이자율을 비롯,공정위의 수수료인하 명령과 과징금 부과에 이의를 제기하고 나선 상태다.카드사는 연체이자율이 연평균 29%대이고 현금서비스 수수료도 18.3∼29%로 높다는 지적과 관련,조달금리가 9.3%로 다른금융기관에 비해 훨씬 높은데다 소액신용대출로 단기운용하는 만큼 리스크가 상대적으로 높다는 점을 내세우고 있다. 재경부 관계자는 그러나 “카드사의 연체이자율이 높다는인식이 널리 퍼져 있는 만큼 장기적으로는 연체이자율의 인하가 불가피할 것”이라고 지적했다.특히 현재처럼 연체기간에 관계없이 같은 수준의 연체이자율을 적용하는 점도 개선될 전망이다.상대적으로 적은 액수에,단기연체자가 불이익을 보고 있기 때문이다.따라서 금액이 적거나 기간이 짧은 연체자에게는 낮은 연체이자율을 적용하고,반대의 경우 높은연체이자율을 적용하는 식으로 차등규정하는 방안도 도입될것으로 보인다. 금융감독원은 이를 위해 업계·소비자단체·전문가 등이 참여하는특별팀을 조만간 구성,카드사의 원가 및 마진수준 등을 분석,가격인하를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카드회사 경영공시 항목에 각종 수수료율을 포함시키는 한편 여전협회 등을 통해 카드수수료 현황을 인터넷에 게시하는 등 공시방법도 다양화시킬 계획이다. 박현갑 김성수기자 sskim@
  • 상시퇴출 대상 1,187개社

    올 상반기에 금융권으로부터 퇴출여부를 심사 받아야 하는기업이 1,187개인 것으로 파악됐다. 금융감독원은 8일 “지난 4월 16일부터 5일간 22개 은행들을 대상으로 기업 신용위험 상시평가시스템의 운용실태를점검한 결과,올 상반기 퇴출심사 대상으로 모두 1187개 기업이 선정됐다”고 발표했다.이 가운데에는 법정관리기업 59곳과 화의업체 67곳 등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원은 은행들이 이들 기업에 대한 평가·퇴출심사를 오는 8월말까지 끝내도록 할 방침이다. 퇴출심사 대상기업은 ▲최근 3년간 연속해 이자보상배율 1.0배 미만 ▲자산건전성 분류기준에 의한 요주의 상당등급이하 ▲은행내규에 따라 부실징후기업 등으로 관리중인 업체들 중 한가지 요건이라도 포함된 업체들이다. 금감원은 외부감사 결과,한정·부적정·의견거절 업체 및적자전환 업체 등을 대상에 포함시키도록 각 은행에 지시했으며,이들을 포함할 경우 퇴출심사를 받아야 하는 기업수는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평가는 1년에 2차례 하며,유동성 위험에 직면한 기업은 수시로한다.평가기준은 산업위험,경영위험,영업위험,재무위험 및 채무상환 능력 등이다.각 은행별 평가 결과에 대한의견 조정 등을 위해 채권은행 상설협의기구를 6월말까지설치한다. 박현갑기자
  • 금감원, 금융권 IT과다투자 점검

    금융감독원이 은행·증권 등 금융기관들의 정보기술(IT)부문 투자실태 파악에 나섰다. 인터넷뱅킹 등 금융의 전산화 추세에 따라 IT부문에 대한대규모 투자가 확대되면서 중복투자 가능성 등 낭비요인이적지않기 때문이다. 금감원 이만식(李萬植) 정보기술국장은 8일 “모든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정보기술부문의 투자현황에 대한 실태조사에들어갔다”면서 “과다투자나 낭비요인이 없는지 여부를 점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투자실태] 은행권의 IT부문 투자액은 해마다 늘고있다.외환위기 때인 98년을 제외하고 99년 전체 예산의 8.8%를 IT투자에 배정하는 등 예산의 8%이상을 전산투자에 쏟아붓고있다.사이버거래가 60∼80%를 차지하는 실정에서 차별화된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전산부문투자가 필수적이라는것이다. 이같은 막대한 투자에도 불구하고 은행의 사무자동화는 아직 낙제점 수준이라는 게 중론이다.지난해 국민·주택은행파업때 수기방식으로 결제한 점이 단적으로 보여준다. 증권사는 이미 전체예산 가운데 전산부문 예산이 20%에 육박할 정도다.대부분의 증권사가 증권전산에 시스템 개발과관리를 맡기고 있는 가운데 삼성 현대 등 13개 대형증권사들은 독자적인 전산시스템 구축을 완료했거나 추진중이다. 고객의 다양한 수요에 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다. 그러나 최근 발생한 동원증권 전산사고에서 드러나듯 백업시스템 구축은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독자적인 시스템개발이 낭비라는 지적도 끊이질 않고 있다.한 증권사 관계자는“개별금융기관들이 IT부문에 수백억원∼수천억원씩 따로따로 투자하는 것은 국가적으로 엄청난 낭비”라고 지적했다. [개선방안] 금감원은 지난해부터 경영관리실태 평가때 전산분야의 중복투자 요인이 없는지 점검하고 있다. 이만식국장은 “한빛 등 우리금융지주회사 편입은행들과국민·주택 등 합병대상 은행들에게 정보기술부문 투자를지양하도록 권고한 바 있다”고 밝혔다.합병이나 지주회사로 편입될 예정인 상황에서 기존사업을 독자적으로 계속 추진하는 것이 낭비이기 때문이다. 금감원은 또한 은행의 CD공동망,타행환 공동망,증권의 공동전산망 등을 은행·증권사들이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해 낭비요인을 최소화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금감원은 금융산업 차원에서의 낭비요인 제거 필요성과 개별 금융기관의 독자적인 경영판단에 따른 전산부문투자를 조화시키되,과연 어떻게 낭비요인을 줄일지에 대해서는 고민하고 있다. 박현갑기자 eagleduo@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