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 부정사용 카드사 책임 ‘미미’
지난해 카드 도난과 분실,위·변조 등으로 인한 부정사용액 455억원 가운데 카드사가 41%(188억원)만 책임진 것으로 파악됐다.
금융감독원이 최근 국회 정무위원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삼성·LG·국민 등 7개 전업카드사의 카드 부정사용 규모는 455억 7000만원이었으며,이 중 카드사가 보상한 액수는 188억원으로 전체 41.2%였다.나머지는 카드사가 회원(88억 2000만원)이나 가맹점(78억 3000만원)에 떠넘기거나 구상권 청구(101억 2000만원)를 통해 부정사용행위자로부터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사용액을 회원에게 떠넘긴 비율은 동양카드가 43.3%로 가장 높았다.이어 BC 39.6%,국민 10.2%,LG 9.7%,삼성 7.8%,현대 6.8%의 순이었다.카드 부정사용 규모는 99년 245억원,2000년 422억원 등으로 계속 늘고 있다.
지난해 카드 부정사용을 사유별로 보면 도난·분실 329억 1000만원(4만 4901건),카드 위·변조 23억 8000만원(2375건),명의도용 69억 9000만원(6490건),카드 미수령 22억 7000만원(1955건),전표 위·변조 4억 3000만원(612건) 등이다.금감원 관계자는 “지난해까지 적용됐던 약관에는 카드소지자 본인의 중대한 과실은 본인이 책임진다고 돼있어카드사와 회원간에 부정사용 금액의 분담주체를 놓고 분쟁이 적지 않았다.”면서 “때문에 지난 1월부터 회원이 부정사용금액을 책임져야 하는 과실사유를 미서명,비밀번호유출,대여·양도,담보제공 등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명시했다.”고 밝혔다.예컨대 도난·분실의 경우,카드사에 신고한 날로부터 25일전까지의 부정사용금액에 대해서만 보상받을 수 있었으나 지난 1월부터는 60일전까지의 부정사용금액도 카드회사가 보상해 주도록 하고 있다.
박현갑기자 eagledu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