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마당] 노래로 읽은 아시아의 시/방현석 소설가
지난 일요일 국립국악원 야외극장에서는 이색적인 다국적 공연이 있었다.
국립국악원 연주단이 ‘한국의 소리’를 들려준 다음,‘노래로 읽는 아시아의 시’를 들려주기 위해 한국과 베트남, 몽골의 가수들이 차례로 무대에 올랐다.
객석도 다국적이었다. 인도네시아, 베트남, 네팔, 중국, 방글라데시, 몽골, 태국, 필리핀, 러시아…. 사회를 맡은 배우 박철민이 나라의 이름을 호명할 때마다 용모가 조금씩 다른 관객들이 환성을 지르며 자리에서 박차고 일어나 인사를 했다.
베트남의 국가인민배우 짜아장이 자기 나라의 국민시인 쑤언지에우의 시를 낭송하고, 한국의 소리꾼 장사익이 등장하며 달아오른 무대는 베트남과 몽골의 가수들 차례에서 절정을 이루었다.
베트남 관객들의 열광적인 환호 속에 무대에 선 베트남 인민가수 탄호아는 무대를 압도하며 ‘관호 강가에 있는 사랑’을 불렀다. 베트남의 젊은 국가가수 당즈엉도 뛰어난 가창력으로 관객들을 사로잡았다. 거의 베트남으로 기울었던 공연장의 분위기는 몽골의 인기가수 바이살랑이 등장하며 반전했다.
몽골에서 ‘최고 젊은 가수상’을 지난 3년 연속 수상한 바이살랑이 ‘초원의 내 사랑이여’를 부르는 동안 몽골에서 온 이주노동자들의 볼에는 눈물이 흘러내렸다.
자기나라의 초원을 노래한 시에 곡을 붙인 노래를 모국에서 날아온 최고 가수로부터 들으며 그동안 한국에서 겪은 온갖 설움과 외로움이 복받쳤을 것이다.
뒤이어 등장한 몽골의 전통가수 네르기는 초원과 사막을 가로지르며 질주하는 몽골인의 모습을 통렬한 창법으로 노래하며 객석 속으로 들어갔고, 노래는 합창으로 바뀌었다. 몽골 대사와 이주노동자들이 자리에서 일어나 두 팔을 치켜들고 좌우로 흔들며 네르기를 둘러싸고 함께 노래를 불렀다.
마지막 ‘앙코르’ 순서에서 다시 한번 무대를 휘어잡으며 경연을 펼친 베트남과 몽골의 가수들은 공연이 끝난 다음에도 함께 사진을 찍으려고 몰려드는 사람들을 위해 끝까지 자리를 지켰다.
저녁을 겸한 뒤풀이 장소의 ‘공연’도 흥미로웠다. 한국과 베트남, 몽골의 가수들, 인도네시아와 필리핀을 비롯한 아시아에서 온 작가들이 시 노래를 불렀다.
특히 태국의 탓사니와 한국의 김형수 시인은 가수들로부터 ‘세미프로’라는 등급판정을 받았다. 소주잔이 돌고, 노래와 유쾌한 농담도 언어를 바꾸어가며 돌아갔다.
베트남 가수 탄호아는 이국에 나와 있는 자기나라 사람들과 만나고, 다른 아시아의 예술가들을 만날 수 있었던 시간을 잊지 못할 것이라고 했다.
베트남 배우 짜아장은 다른 장르의 예술가들이 어울려 힘겹게 일하고 있는 아시아인들을 위해 무대를 만든 한국을 놀라워했다.
뒤풀이 ‘공연’은 몽골 가수 바이살랑과 베트남 가수 당즈엉의 합창으로 끝이 났다. 바이살랑이 문학과 음악에는 국경이 없다며 ‘아베마리아’를 함께 부르자고 당즈엉에게 청했고, 두 사람은 오래된 혼성 듀엣처럼 멋지게 노래를 불렀다.
뒤풀이가 끝나고 자정이 넘어 숙소에 도착한 참석자들은 그래도 아쉬움이 남는 모양이었다. 몽골 가수들이 먼저, 나가서 소주 한 잔을 더 하자는 제안을 했다.
베트남과 몽골, 한국의 가수와 작가들이 함께 어울린 술자리는 새벽까지 이어졌다. 순댓국을 둘러싸고 앉은 그 풍경은 아시아문화연대의 실체를 떠올리게 했다. 내년을 기약하고 자리에서 일어서며 한 네르기의 말이 생각난다.“우리는 모두 한 하늘 아래 살고 있다.”
방현석 소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