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범죄 합동수사본부 추진
정부가 국내에 체류중인 외국인의 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최근 세 차례 범정부 대책회의를 열어 대응방안을 마련한 것으로 15일 확인됐다.청와대는 최근 민정수석실 주재로 법무부, 검찰, 경찰, 노동부, 관세청 등 정부 7~8개 부처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대책회의를 열어 급증하는 외국인 범죄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부처 관계자들은 최근 회의에서 외국인 범죄를 전담할 합동수사본부 추진과 정부 관련기관간 공조체제를 통한 신속한 대응시스템 마련 등 여러가지 방안을 건의했다고 한 참석자가 전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날 “외국인 범죄가 점증하고 있어 이에 대한 범정부적 대응을 해야 한다는 필요에 따라 부처 합동 회의를 열었다.”며 “외국인 범죄를 근절하기 위한 다양한 대책이 조만간 발표될 것”이라고 말했다.경찰 관계자도 “외국인 범죄가 조직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 외국인 범죄집단화와 관련해 실태파악에 착수했다.”며 “외국인 범죄의 심각성에 대한 검경 내부의 인식도 상당히 바뀌어 지난 1일부터는 외국인의 조직적인 성범죄 척결을 위한 집중단속을 벌이고 있다.”고 설명했다.경찰청이 최근 발표한 외국인 범죄현황에 따르면 지난 2004년 1만 2000여건이던 외국인 범죄는 지난해 3만 4000여건으로 5년 사이 3배 가까이 증가했다. 지난해 외국인이 저지른 살인은 전년에 비해 31명이 늘어난 85명으로 57.4% 증가했고, 폭력·강도·절도 등의 범죄도 10~40% 늘어났다. 강간은 114명으로 전년도와 비슷한 반면 마약사범은 전년 231명보다 3배 이상 증가한 694명으로 나타났다. 100만명을 넘은 외국인 거주자 범죄율도 100명당 3.9명인 것으로 조사됐다.외국인 폭력조직도 현재 14개국 65개파가 암약하고 있다. 군소조직을 빼고 규모가 제법 큰 외국인 폭력조직(6개국 22개파)의 행동대원도 무려 4600명에 이르는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에는 중국 조선족, 베트남, 필리핀, 태국, 방글라데시 등의 신흥조직들도 발호하고 있어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이종락 박성국기자 jrlee@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