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수능] “외국어 시간부족… 점수 하락폭 클 것”
올 수능도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언어와 외국어는 시사성 있는 소재 등 범교과적 소재를 바탕으로, 수리탐구·제2외국어·한문영역은 개별 교과의 특성을 바탕으로 한 사고력 평가에 중점을 뒀다.
●언어 지난해와 비슷하거나 다소 어렵다는 평가를 받은 언어영역은 문학 40%, 비문학 60%의 비율로 출제됐다. 듣기·쓰기·문학(읽기)이 평이한 수준으로 출제된 반면 비문학(읽기)의 경우 기업 결합과 관련된 문제도 나오는 등 다소 어렵게 출제됐다는 평가다. 배점도 지난해보다 비문학에 2점이 더 추가됐다.
EBS 장희민(하나고) 강사는 “비문학에서 인문, 기술 제재의 경우 정보 양이 많아 학생들이 글을 독해하는 데 다소 어려움을 겪었을 것”이라고 전했다.
대성학원 이영덕 평가이사는 “문학의 경우 조지훈의 ‘승무’, 이문구의 ‘관촌수필’, 송순의 ‘면앙정가’ 등 대부분 교과서 등에서 접한 작품이라 쉽다고 느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듣기평가에서는 강연, 수업, 협상 등 다양한 유형의 담화를 활용한 문제가 출제돼 언어 사용의 실제성을 강조했다.
●수리 가·나형 모두 지난해보다 비슷하거나 쉽게 출제됐다는 평이다.
메가스터디의 송갑석 강사는 “가형의 경우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는 학생이라면 쉽게 풀 수 있는 유형의 문제가 다수 나왔다.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공간도형과 벡터 부분이 지난해보다 쉽게 출제돼 전반적으로 체감 난이도가 낮았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인문계생이 주로 치르는 나형의 경우 “수열과 수열의 극한과 관련된 문제는 어려웠지만 나머지는 익숙한 유형”이라고 평가했다.
종로학원은 “가형에서는 미분·적분법에서 그래프의 개형을 통한 풀이를 강조하는 문제가 출제됐다. 나형에서는 그간 경우의 수에서 경우를 나눠 구하는 문제가 출제됐지만 이번에는 한 번에 공식을 이용하는 문제가 많이 출제됐다.”고 설명했다.
서울 중대부고 이금수 교사는 “가형은 시간이 좀 걸렸고 나형은 무리가 없었을 듯하다.”면서 “가형이 지난해 평균 49.1점이었는데 올해는 51점가량으로 예상되고 나형은 지난해 38점에서 올해 41점 정도 예상된다. 표준점수 최고점은 가·나형 모두 155점 정도가 될 것 같다.”고 내다봤다.
●외국어 지난해 쉬웠다고 평가됐던 외국어 영역은 상대적으로 어려웠다는 반응이다. 대성학원은 “학생들이 쉽게 여기는, 심정을 묻는 문제가 빠진 반면 빈칸 추론 문제가 늘어나고 배점도 높아져 난이도를 높이는 요인이 됐을 것”이라면서 “지난해 1등급이 94점이었는데 올해도 94점가량 될 것”이라고 관측했다.
메가스터디 김진성 강사는 “새로운 유형의 문제는 없었지만 지문도 늘어나고 해석이 어려운 문장이 많아 최상위권을 제외한 나머지 학생들은 문제풀이 시간이 부족했을 것으로 보인다.”면서 “고배점 문항을 고난도 유형에 배치해 실제 점수하락 폭은 체감 난이도보다 클 것”으로 전망했다.
듣기 문제는 일상생활, 대인관계 등을 소재로 화자의 할 일, 심정 추론, 대화장소 추론 등의 문제가 출제됐다. 읽기에서는 문학·예술·실용문 등을 소재로 지칭어가 가리키는 내용 맞히기, 빈칸에 들어갈 단어 추론하기 등의 문제가 나왔다. 쓰기에서는 주어진 글에 이어질 내용의 순서 배열하기, 문단을 문장으로 요약하기 등의 유형이 나왔다.
●사회·과학탐구 전체적으로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의 난이도였지만 지난해 쉬웠다고 평가된 물리Ⅰ은 다소 어려워졌다.
종로학원은 “사회탐구의 경우, 한국지리는 자연지리 문제가 55% 정도였는데 올해는 인문지리가 많이 출제됐다. 경제는 환율, 생산가능곡선 등 기초개념 이해와 수리적 계산능력을 함께 묻는 문제들이 출제됐다.”고 분석했다.
새로운 유형의 문항도 선보였다. 위험에 처한 아이를 구하는 마음이 측은지심인 것을 아는지를 묻는 문항, 안중근 의거 100주년을 맞아 의거 이유를 밝힌 자료를 통해 사건에 대한 이해도를 묻는 문항 등이다.
과학탐구의 경우 “화학이 다른 과목보다 어려웠다. 화학Ⅰ 20번의 경우 수학의 벤다이어그램을 활용한 새로운 유형의 문제였다.”고 종로학원은 전했다.
김민희 박성국 유대근기자 haru@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