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들 詩를 만나다
“인생을 새롭게 살 수 있는 용기를 얻은 느낌이랄까요? 공무원으로서, 아이 엄마로서, 아내로서 지나온 삶을 돌아보게 하고 새로운 희망을 품게 해주는 시간이었습니다. 시와 음악을 함께 음미했고, 지나온 삶의 기억과 기억 사이를 즐겁게 여행한 듯합니다.”(박선희·44·서울 성북구청 6급 주무관)
“늘 행정업무만 해 오다가 다른 분야를 슬쩍 넘겨볼 수 있었습니다. 절망 속에서도 잃지 않은 희망, 고통을 통한 성장의 가치는 물론, 부모님, 사랑하는 사람, 아이들, 친구 등 내 곁의 사람들이 얼마나 소중한지 새삼 깨닫게 해주셨네요.”(문연호·55·경기도 투자산업심의관)
시인의 강의를 들은 공무원들의 반응은 한결같았다. 말갛게 씻고 나온 아이 얼굴처럼 한껏 위로받고 격려받은 모습에서 행복함이 절로 넘쳤다.
시인은 ‘울지 마라/ 외로우니까 사람이다….’(‘수선화에게’)와 같은 아름다운 시편들로 등단 이후 40년 동안 뭇사람들을 다독거렸다. 바쁘고 복잡한 관계의 틈바구니에서, 혹은 세상 가장 낮은 곳에서 외로움으로 힘겨워하는 이들에게 던지는 위로다. 또한 외롭다고, 힘들다고 호들갑 떠는 이들에게는 차분히 자신의 삶과 사랑을 돌아보라며 다독거려 준 정호승(62)씨였다. 그는 내처 ‘사랑하다 죽어버려라.’라고 눈치보면서 이기적인 사랑만을 일삼는 이들에게 열정 바쳐 이타적으로 사랑할 것을 주문하기도 했다.
정씨가 13일 오후 공무원들 앞에 섰다. 그는 희미한 경상도 억양 속 예의 조용한 음색으로 시를 낭송했고, 삶의 어려운 순간마다 힘이 됐던 시, 그 시보다 더 힘이 됐던 사람들 얘기를 소곤거려 줬다. ‘우리가 어느 별에서’, ‘내가 사랑하는 사람’, ‘산산조각’ 등을 강의 중간중간 낭송했다. 행정안전부 산하 지방행정연수원에서 고위정책 과정, 고급 리더 과정, 중견 리더 과정, 여성 리더 양성과정 등을 밟고 있는 267명의 지방공무원들은 정호승의 말 한마디, 한마디에 때로는 고개를 주억거렸고, 때로는 뭔가를 공책에 적었다.
여기에 ‘책의 노래-서율(書律) 밴드’는 정호승의 대표적 시편인 ‘수선화에게’를 비롯해 존 레넌의 ‘이매진’, 인순이의 ‘거위의 꿈’ 등을 잔잔하면서도 유쾌하게 노래했다. 나이 지긋한 점잖은 지방자치단체 국장부터 모처럼 일깨워진 감성의 세례를 받은 여성 6급 주무관들까지 노래와 시에 푹 빠져들었음은 물론이다.
지방행정연수원 대강당을 나오던 박선희씨는 “늘 햇볕만을 바라는 사람은 결국 사막화되고 만다는 말이 귓전을 맴도는데 꼭 나 들으라고 한 말 같았다.”면서 “앞으로 작은 고통과 어려움도 기꺼이 즐겁게 품고 살아갈 것”이라고 수줍게 다짐했다.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