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장관급회담/ 이산상봉 제도화 ‘줄다리기’
공동보도문 발표를 하루 앞둔 13일 남북은 제7차 장관급회담 제2차 전체회의와 다각적인 실무접촉 등을 벌여 기존 합의사항의 구체적 실천을 위한 ‘날짜 잡기’에 머리를 맞댔다.“잘되고 있다.진전이 있다.”는 양측 회담 대표들의 말은 계속됐다.이산가족 상봉과 적십자회담 개최,제2차 경제협력추진위,금강산관광 활성화를 위한 당국간 회담 일정 조율 작업은 일찌감치 마무리했다.그러나 서해교전 사태의 재발방지 등을 위해 남북 군사당국자간 회담을 상설화하자는 우리측 입장과,이에 소극적인 북한측 입장이 팽팽히 맞서 밤늦게까지 줄다리기가 계속됐다.
■공동보도문에 뭘 담나
◇이산가족 상봉- 가장 일찌감치 공동보도문 문안 조정에 들어간 분야는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제4차 적십자회담.다음달 5일쯤 적십자회담을 연다는 데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서신교환 및 면회소 설치 등 이산상봉 제도화는 북측이 원칙적인 입장에는 동의하면서도 구체적으로 들어가면 다소 소극적으로 나와 공동보도문에 넣을지 여부를 두고 막판까지 의견조율을 벌였다.
◇경의선 및 금강산 관광도로 연결- 경의선 연결은 우리측이 이번 회담에서 군사당국자회담 상설화와 함께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이다.북측 역시 장관급회담을 제의하면서 먼저 거론할 정도로 적극성을 보였지만 막상 회담에 임해서는 공동보도문에 ‘군부에 건의한다.’는 식으로 하자는 입장을 밝히는 등 소극적인 자세로 나와 진통을 겪었다.양측은 공동보도문에 실무회담을 이달말 열고 다음달중 군사분계선에서 개성에 이르는 12㎞ 구간의 경의선 연결 공사 착공에 들어간다는 내용을 담을 것으로 보인다.또 금강산 육로관광 활성화를 위한 임시도로도 다음달 착공한다는 내용을 담을 것으로 전해졌다.
◇쌀지원과 경제협력- 남북한은 오는 25일을 전후해 제2차 경추위를 재개,철도·도로 연결과 개성공단 착공,임진강 수해방지 사업,금강산(임남)댐 공동조사 등의 내용을 담기로 잠정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특히 쌀 30만t 지원시기와 관련해 경추위 이전을 요구하는 북측과 경추위에서 구체적으로 논의하자는 남측의 의견이 엇갈려 막판까지 진통을 겪었다.
◇부산아시안게임 등 민간교류- 부산아시안게임 등 남북 사회·문화·체육 행사에 대한 정부 당국 차원의 지원을 강화한다는 내용을 담기로 했다.여기에 지난 5차 장관급 회담때 제시된 9∼10월 남북 태권도 시범단의 순차 교환 등의 내용도 추가로 들어갈 전망이다.
김수정 박록삼기자 crystal@
■군사회담 상설화 입장
우리측이 제의한 남북한 군사당국자 회담의 ‘상설화’가 합의의 실천을 강조한 이번 회담의 성패를 좌우할 핵심 의제로 주목받고 있다.남북한은 14일 새벽까지도 이를 놓고 팽팽한 기싸움을 벌였다.
군사당국자 회담 상설화는 서해교전과 같은 남북한간 무력충돌의 재발 방지를 보장하고,나아가 한반도 신뢰구축에 필수적인 조치라는 점에서 우리측이 이번 회담에서 얻어낼 수 있는 가장 큰 성과로 기대하는 부분이다.
그러나 북한은 첫날부터 난색을 표한 것으로 알려졌다.오히려 지난 4일 실무협상때 이미 상당부분 논의가 진행됐던 경의선 철도·도로 연결 및 금강산 관광도로 건설을 위한 제6차 남북 군사실무회담 문제까지 “군부에 건의해야 한다.”며 뒷걸음치는 모습을 보였다.우리측이 단순히 군사 당국자회담일정을 잡자는 의제를 넘어서 ‘상설화’안까지 제의하자,사전 조율됐던 ‘군사실무회담’ 재개를 협상 카드로 돌려세운 것이다.
남측은 군사회담을 두 가지 차원으로 구분하고 있다.첫째는 경의선 철도 연결 등에 필요한 군사실무회담을 열어 ‘군사보장 합의서’를 발효시킨다는 것이다.이 부분은 북측의 소극적인 입장에도 불구,줄다리기 협상을 통해 이달 말 개최한다는 데는 남북이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군사실무회담이 열려 경의선이 연결되고 휴전선 일부가 개방된다면,그 자체로 북한의 신뢰구축의지와 연결해 평가할 수 있다.하지만 한반도 긴장완화를 위한 근본적 틀을 만든다는 점에서 군사당국자간 회담은 차원을 달리하는 문제다.남측은2000년 9월 제주도에서 한차례 열리고 중단된 국방장관회담을 정례화할 것을 북측에 요구하고 있다.북한은 군부 동의를 재차 얻어야 하고,군사문제를 남북간 논의대상으로 기정사실화한다는 점에서 난색을 표하고 있다.
남측은 미국과 일본 등 국제사회가 군사당국자 회담에 대한 북측 자세를 주시하고 있고 햇볕정책의 기반을 굳힌다는 의미에서도 이 안을 끝까지 밀어붙여보겠다는 입장이다.회담 관계자는 “의견이 많이 좁혀지고 있다.”고 말해 남북한이 14일 발표할 공동보도문에 이를 명시할 것이라는 기대를 배제하지 않았다.
김수정기자 cryst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