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국내파 ‘생존게임’
한국축구대표팀의 새 사령탑인 딕 아드보카트(58) 감독의 입국일이 다가오면서 ‘아드보카트 1기호’에 합류하려는 선수들의 긴장감도 높아지고 있다. 오는 29일 한국땅에 첫 발을 내딛는 아드보카트 감독은 사실상 옥석 고르기에 돌입한 상태. 추석 연휴 이전 축구협회 기술국으로부터 대표팀을 거쳐간 국내파 52명, 해외파 18명의 프로필 등 각종 데이터를 건네받고 꼼꼼히 검토하고 있다. 새달 12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릴 이란과의 평가전을 통해 데뷔할 아드보카트 감독은 우선 데이터에 나타난 평가자료만으로 25명의 ‘1기’를 꾸릴 예정이지만 한국선수들을 잘 알고 있는 핌 베어벡 수석코치의 의견이 크게 반영될 전망이다. 일단 박지성(24·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이영표(28·토트넘 홋스퍼), 설기현(26·울버햄프턴), 이을용(30·트라브존스포르) 등 일부 유럽파들은 ‘1기’ 승선이 유리한 입장이다. 프랑스 1부리그의 안정환(30·FC메스)과 독일 분데스리가의 차두리(25·프랑크푸르트)도 명단에 오를 가능성이 높다. 문제는 국내파. 특히 기존의 멤버들 외에 지난 2002년 월드컵 이후 새롭게 떠오른 ‘축구천재’ 박주영(20), 백지훈(20·이상 FC서울), 김두현(25·성남), 김정우(23·울산) 등 미드필더진과 ‘본프레레호의 황태자’ 이동국(26·포항)과 정경호(25·광주) 등은 새로운 시험대에 오를 전망이다.그 동안 부상으로 대표팀에서 제외됐거나 제몫을 못했던 이천수(24·울산 현대), 최태욱(24·시미즈 펄스) 등도 테스트 대상. 거듭된 실험 속에서도 여전히 안정되지 않은 수비진도 변화가 예상된다. 김진규(20·이와타) 김한윤(31·부천) 유경렬(27·울산) 등 2002월드컵 이후 새로 발탁된 이들 대신 유상철(34·울산) 김남일(28) 송종국(26·이상 수원 삼성)의 재기용도 점쳐진다. 한편 강신우 축구협회 기술위 부위원장은 “새 대표팀에 대한 지원내용은 선수단 구성, 코칭스태프 선발, 훈련 일정, 평가전 등 모든 부분을 망라해 ‘히딩크 시절’에 준하는 전폭적인 것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