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피플] 배구코트로 돌아온 김건태 심판부장
20년 동안 자로 잰 듯 엄정한 결정으로 오심률 1%도 용납하지 않으며 국내 배구 코트를 지켜온 심판,8년째 국제배구연맹(FIVB)이 인정한 세계 최고의 심판, 어지간한 선수만큼이나 팬들을 몰고다니는 심판. 강만수, 하종화, 김세진, 신진식 등 최고 스타들도 그 앞에서는 깍듯이 머리를 숙인다.
‘코트의 포청천’ 김건태(50) 심판이 백의종군을 위해 코트로 돌아왔다.
지난해까지 심판으로서 최고 권위인 한국배구연맹(KOVO) 심판위원장을 맡아 심판들을 교육시키고 까다로운 경기룰을 숙지시키는 등 배구 프로화에 없어서는 안될 존재로 활동하다 스스로를 심판부장으로 ‘강등’시키며 현장으로 돌아온 것이다.
심판위원장이라는 권위도, 세계에서 20여명밖에 되지 않는 ‘FIVB국제심판’의 명예도 훌훌 벗어버린 것이다. 심판의 숫자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탓도 있지만 무엇보다 심판 수준을 한층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후배들과 함께 현장에서 뒹구는 게 가장 나을 것이라는 판단이 그를 다시 코트로 이끌었다.
그는 세계 최고 수준의 심판이다. 그리고 ‘세계 최고’라는 그의 자부심 역시 대단하다. 실제 모든 심판 관련 기록이 그의 자부심을 뒷받침해준다.
지난 90년부터 국제심판 자격을 얻은 김 부장은 그동안 150여차례 국제 경기의 심판을 맡았고,98년부터는 각종 세계선수권대회, 월드리그 등 결승전 심판을 도맡아왔다. 국제 배구계에서 거의 없다시피 할 정도로 낮은 한국 스포츠외교력에도 불구하고 순전히 개인의 빼어난 능력과 성실함으로 얻어낸 값진 성과다. 하지만 지난해 아테네올림픽에서는 남자배구 결승전 주심으로 배정받았으나 경기 직전 외교력을 앞세운 일본 주심에게 밀려나는 아쉬움도 곱씹어야 했다.
김 부장은 리라공고 2학년 때 선수로서 처음 배구와 인연을 맺었다. 명지대를 거쳐 충주비료에서 선수생활을 마감했다. 그리고 평범한 직장생활을 하다 85년 김순길 원로국제심판의 강력한 추천으로 심판의 길에 들어섰다. 이때부터 그의 무서운 노력은 시작됐다.
엄정한 심판을 보기 위해 비디오 200여개를 보고 꼼꼼히 연구하기 시작했고,‘코트의 판관’으로서 권위를 갖기 위해 항상 양복에 넥타이를 갖춰 입으며, 술, 담배는 아예 입에 대지 않았다. 주말이면 등산과 조깅으로 체력을 단련하고 있다. 김 부장은 “이 길에 들어서면서 ‘세계 최고가 되겠다.’고 목표를 정했고 남다른 마음가짐이 지금의 나를 만들었다.”고 말했다.
그는 지금도 미래를 위해 준비하고 있다. 앞으로 FIVB 심판위원회에 들어가 국제적인 배구행정가로 변신하기 위한 준비와 함께 국내에 자신의 뒤를 이을 후배를 양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병행하고 있다. 그가 코트로 돌아온 또다른 이유이기도 하다.
“선수, 구단, 심판이 모두 한마음으로 노력한다면 떠났던 팬들은 반드시 돌아올 것입니다.”그의 복귀로 ‘배구 중흥의 청신호’가 켜지길 기대한다.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