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과 조화·소통하는 작품 고민… 전통·첨단 공존 세계적 수도 표현”
“다른 분들 작품도 아주 좋았는데, 제 작품이 좀 더 공간과 조화를 이루지 않았나 싶습니다.”
현대설치작가 전수천(64) 한국예술종합대학 교수는 20일 작품 ‘메타서사-서벌’(조감도)이 서울시 신청사 공공미술 당선작으로 결정된 이유에 대해 이렇게 자평했다.
한국의 대표적인 설치작가인 전 교수는 서울시가 지난 5월 ‘지명경쟁작가 선정위원회’에서 선정한 국내 유명 작가 7명 중 한 명으로 신청사에 들어갈 공공미술 작품을 만들었다. 지난 8월 말 시민 선호도 조사를 거쳐 지난 2일 최종 당선작으로 결정됐다는 통보를 받았다고 한다. 이번 경쟁에는 강영민, 문경원, ‘뮌’(김민선&최문선), 안종연, 육근병, 이상진 등의 작가가 참여했다.
메타서사-서벌에서 서벌은 수도를 뜻하는 말로, 다시 말해 ‘대서사 서울’이란 뜻이다. 작품은 길이 50m에 높이 27.5m의 녹색식물이 벽을 가득 채운 에코플라자 로비에 설치된다. 전 작가의 작품은 이 위압적인 공간에 눌리지 않도록 크기를 길이 40m, 높이 24m로 확대했다. 크기만 생각하면 압도적일 것 같지만 작품을 구성하는 형태는 물방울, 공기방울, 빗방울을 연상시키는 직경 30~50㎝의 우윳빛 반투명 방울들이다. 이 방울이 방울방울 나선형으로 하늘거린다.
전 교수는 “많게는 백제의 수도로 2000년, 적게는 조선의 수도로 700년 된 한반도의 중심을 역사와 전통, 첨단이 공존하는 세계적인 수도로 표현했다.”면서 “눈으로만 감상하는 것이 아니라 터치하고, 교감하고, 소통하는 ‘열린 작품’”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청사를 찾는 시민들이 컴퓨터에서 자신의 소원이나 잡담을 올리면, 그 문자들이 대형 발광다이오드(LED) 파이프를 타고 올라가도록 했다. 재미를 주고, 신문고 같은 역할도 기대한 것이다. 에스컬레이터로 연결된 로비와 2, 3층 등에 대형 LED 파이프가 휘감아 돌아가도록 한 것도 서울과 대한민국의 역동성을 강조한 것이다.
그는 “좋은 작가들이 많이 참여해서 포기할까 했는데, 서울의 상징인 청사에 모든 시민들이 보고 즐기는 예술품을 설치할 수 있으면 얼마나 즐거울까 생각해서 석 달 동안 밤잠을 설치며 만들었다.”면서 “내년 4월에 완성되며 서울시민이 사랑하는 작품이 됐으면 좋겠다.”고 했다. 올해 정년을 맞는 전 교수는 “당선이 올해 개인적으로 큰 의미를 가진다.”고 덧붙였다.
글 사진 문소영기자 symu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