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체증시 계속…주식형 펀드 베팅할 만
주가가 큰 폭으로 떨어짐에 따라 직접투자자들이 투신사의간접투자상품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투신사가 운용하고 증권사가 판매하는 간접상품들의 수익률이 평균 7∼10%를 웃돌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8월 설정,판매된 비과세 고수익고위험펀드의 경우수익률이 은행예금금리(세후 4%)의 2.5배 가량인 최고 10∼11%대의 상품들이 꽤 있다.또 고점(4월18일,937.61포인트) 대비 주가가 10% 가량 떨어져 전문가들은 “이제는 심리적 부담을 떨쳐내고 주식형 펀드에 과감히 들어갈 때”라고 조언한다.
지난해 8월 투기등급 채권(BB+∼B)의 원활한 유통을 위해 마련된 비과세 고수익고위험펀드는 1년 만기를 3개월 앞둔 현재 수익률이 최고 11.81%까지 나오고 있다.비과세 혜택을 주는 대신,투기채를 최소 30% 편입해야 했던 상품이다.개인의 투자한도는 3000만원으로 만기가 1∼3년이다.
현재 회사채 수익률이 7%대,국공채가 4∼5%대인 것과 비교하면 수익성이 훨씬 더 좋은 데다,안정성까지 갖춰 투자자에게는 딱좋은 상품이다.현대투신운용은 수익률이 11.81%,대한투신상품은 11.63%다.주식형 펀드 가운데 주은투신운용에서파는 주은비과세고수익고위험채권1의 수익률이 4.21%로 가장 낮다.
그러나 하이닉스 회사채의 편입비중이 높은 상품들의 수익률 하락이 우려되기도 한다.하이닉스 편입비중이 높은 한국투신(TAMS 비과세 고수익고위험혼합A-1 판매)은 “최근 기준가의 30%를 대손상각해 전체 수익률이 7%대로 전보다 1%포인트 남짓 떨어졌다.”고 말했다.공모주 편입을 통해 수익률이 떨어지는 부분을 보충했다는 설명이다.대신 하이닉스가 좋아질 경우 수익률이 올라갈 가능성이 있다고 말한다.
이들 상품은 올해 말까지 팔기로 돼 있지만,현재 물량이 거의 없다.주로 삼성증권과 LG증권에서 팔고 있다.삼성증권의‘삼성비과세고수익고위험혼합B2’ 등은 후순위채 편입이 많은 편이고,LG증권의 ‘비과세고수익고위험알파혼합1’ 등은공모주 편입비중에 신경을 쓰고 있다.양사에서 판매하는 상품 모두 하이닉스 회사채는 편입돼 있지 않다.8월 만기에 해약한 뒤 다시사면 3년동안 비과세혜택을 더 받을 수 있다.
지난 연말부터 주가가 급등하기시작하자 투신사에는 돈이 차곡차곡 쌓였다.주식형(주식비중 60% 이상) 수탁고는 연말 6조 6231억원에서 5개월만에 8조5488억원으로 늘었다.채권혼합형(주식비중 30% 미만)은 26조 3338억원에서 35조 9091억원으로 무려 9조 5753억원이 늘었다.채권혼합형에 기관투자자들의 돈이 몰렸다면 주식형에는개인투자자의 돈이 들어갔다.
그러나 최근 주식형의 수탁고는 주가조정과 함께 3개월째 8조원대에 머물고 있다.삼성투신운용 배재규(裵在圭) 주식2팀장은 “종합주가지수가 떨어지면 심리적으로 투자자들이 위축되지만,이때만큼 투자위험이 줄어드는 때도 없다.”며 “지금이 주식형에 자금을 넣을 시점”이라고 말한다.
배 팀장은 “주식에 6개월∼1년간 투자할 생각이라면 간접투자는 종합주가의 등락과 반대로,즉 ‘청개구리식’으로 해야 한다.”고 조언한다.9·11 테러 직후인 지난해 10월쯤 장기증권신탁에 가입한 투자자는 최근 주가하락에도 불구하고최소 12∼15%의 수익을 누리고 있다는 것이다.
지수 920선 전후로 들어온 투자자들은 10%의 손해를 감수해야 하지만,840선 부근에서 가입하는 투자자들은 조정 이후지수상승에 따른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문소영기자 sym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