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과여/ ‘늦깎이 신혼’ 가나아트센터 김종화 이사의 사는법
“오믈렛 만들 준비가 다 끝났어요.자,시작하기 전에 먼저…” 요리강습에 들어가기에 앞서 김종화(44) 가나아트센터 홍보이사는 부인 윤의정(37)씨에게 약속된 강습비 2만원을 요구했다.
“1만원으로 깎아주면 안 될까요?”
요리 재료까지 다 준비해 놓은 상태에서는 취소하면 손해인 김 이사.잠시 망설이다가 강습비를 절반 깎아주기로 작정하고, 대뜸 프랑스어로 요리 강습을 시작했다.그는 1985∼90년 프랑스 파리에서 요리를 전공한 프랑스요리 전문가다.부인 윤씨는 깜짝 놀란 듯하더니 이내 남편의 재치에 웃음을 터뜨렸다.오늘도 ‘흥정’하는 재미가 있었다.
혼기를 한참 넘겨 지난해 6월에 결혼한 김 이사 부부가 사는 모습이다.김이사는 전업주부인 부인의 가사 부담을 줄여주는 대신 늘 금전적 보상을 요구한다.이런 ‘삭막한’ 관계가 시작된 것은 임신한 아내에게 유산기가 나타나면서다.
빨래,집안 청소,수족관 청소,시장보기,요리 등을 해주는 대신 ‘적절한’요금을 매겼다.빨기 까다로운 와이셔츠를 포함해 모든 빨래는 한벌에 40원.물론 양말은한 켤레가 아닌 한짝으로 계산한다.청소기만 돌리면 1만원,걸레질은 2만원,소파를 들어내고 구석구석 먼지를 털고 화장실·베란다까지 청소하면 4만원이다.시장을 봐 오면 당연히 심부름값이 붙는데,생선·냉장고기 등이 포함된 시장 바구니를 차 트렁크에서 냉장고까지 옮기려면 배달료가 3000∼5000원이다.함께 장보러 갈 때는 무료다.얼마전 이사를 할 때는 집안정리를 턴키(일괄수주) 방식으로 15만원에 타결을 봤다.
이렇게 집안 일을 해 부인 지갑에서 그의 쌈지로 들어오는 액수는 쏠쏠하다.1주일이면 3만∼4만원,한달이면 10만∼15만원이나 된다.그는 장남이다.집안일? 어려서는 부모가 다 했고,커서는 남동생들을 부려먹어 40이 넘도록 해본 적이 거의 없다.그런 그가 집안일 하는 걸 친가에서 알면 속은 좀 상할 것이라고 짐작된다고.
“처음엔 아내에게 ‘명분 쌓기’를 해준 거죠.저도 ‘해주니까 버릇됐다.’는 우려를 벗어나고 싶었고요.모든 일을 돈으로 계량화하지는 않아요.이를 테면 아침 설거지는 공짜예요.아들(보겸)에게 하루종일 부대낄 것을생각하면 안쓰러워서 도와주고 싶어요.그러나 출근할 남자가 그러면 안된다고 아내가 못하게 하죠.”
그가 해 보니 힘 좋은 남자들은 청소·설거지·빨래까지도 부인보다 더 빨리,더 잘할 수 있다.비록 정갈함은 좀 떨어질지 몰라도.‘각시가 좋아서 결혼했으면,각시를 행복하게 해주는 것이 신랑’의 도리라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또 부인 입에서 “연애할 때보다 더 잘해준다.”는 말이 나오면 참으로 흐뭇하다.
그러나 일하기 싫을 때는 등을 떠밀어도 안 한다.부인에게도 말해두었다.“내가 하기 싫어할 때는 강요하지 말아달라.”고.부인의 행복이 중요한 만큼자신의 행복도 그는 소중하게 생각한다.아내와 잘 사는 남편이란,두 사람 모두 행복해지는 균형점을 잘 찾는 사람일 것이다.
신혼 부부들의 갈등 사항인 시댁·친정에 대한 대우 문제에서도 그는 원칙을 정했다.‘일상에서 동등하게 한다.’다.한 예로 그는 부인에게 “시댁이든 친정이든 아침 일찍 먹고 찾아가 뵙고,해 떨어지기 전에 집으로 돌아와라.늦어지면 아예 하룻밤 묵어라.”라고 말한다.어른들과 시간을 두고 대화도 하고 쇼핑도 같이하면서 친해질 기회를 가져보라는 의도와,밤 늦으면 위험하니 조심하라는 염려가 함께 들어 있다.
어느날인가 윤씨가 시댁에 다니러갔다가 시간이 그만 늦어졌다.윤씨는 “내심 시댁에서 어머님하고 있는데 원칙을 어긴들 문제가 있으랴 라고 생각했죠.그러나 남편은 저를 조금 나무라더니,기왕에 늦었으니 자고 오라고 하더군요.의외였어요.”라고 말한다.
귀가시간을 통제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친구들 모임에서는 늦어도 상관없다.대신 그가 부인을 마중나간다.
“아내나 저나 뒤늦게 결혼했으니 혼자 살아온 버릇들이며 각자 고집은 얼마나 세겠어요.저는 늘 5∼10% 양보하고 살아야 한다고 생각해요.물론 그걸 인식하면 피곤해지죠.다만 아내가 어떤 일을 부탁하기 전에 먼저 알아서 해줘야지 하고 각오하죠.먼저 하면 아내가 칭찬도 해주지만,떠밀려서 하면 고맙다는 말 한마디도 듣기 어렵잖아요.” 파리에서 유학생으로 6년여 살았고 화랑 업무로 미국·유럽 등지로 외국 출장이 잦은 그의 눈에 한국 남자는드러내지 않는 사랑이 깊은,진국들이다.
다만 서양 남자처럼 좀 가벼운 친절을 몸에 익힐 필요가 있어 보인다.
요즘 사회가,또 여자들이 그걸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문소영기자 sym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