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핵실험 파장] 국회, 진통끝 대북결의안 채택
국회는 12일 본회의를 열어 북한 핵실험을 규탄하고 핵폐기를 촉구하는 내용을 골자로 5개항의 결의안을 채택했다. 그러나 앞서 긴급 현안질문 도중에 의원들이 한때 퇴장하고, 사흘째 비슷한 질문과 답변만 되풀이되는 등 본회의는 ‘파행’적으로 진행됐다.
●비슷한 질문과 답변 반복
이날도 야당 의원들은 ‘내각 사퇴’를, 여당 의원들은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PSI) 반대’를 주장하며 전날과 비슷한 문답을 이어갔다. 국민중심당 이인제 의원은 “책임을 느끼면 (총리·장관직을)사퇴하라.”고 말했고, 한나라당 유승민 의원은 “책임이 가장 큰 대통령이 지금 어디에 숨어 있느냐. 국가 지도자 실종사태”라고 가세했다.
이에 한명숙 국무총리는 “책임 문제는 위기 대응을 철저히 한 뒤 대통령과 협의하겠다.”고 답했고,“(대북 포용정책의)일부 수정과 조정이 불가피하며 그 내용과 수위, 범위는 초당적으로 의견을 듣고 사회적 중지를 모아 조만간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회의장의 ‘반말성 나무람’…한나라당 반발 퇴장
이날 본회의는 임채정 국회의장의 발언을 문제삼아 한나라당 의원 전원이 퇴장하면서 1시간 남짓 중단되는 등 한때 파행을 겪었다.
한나라당이 의원총회를 열고 ‘대북 결의안’ 표결 여부를 논의하다가 1시간 늦게 본회의장에 입장하자, 임채정 국회의장이 다소 흥분섞인 목소리로 질타하면서 사태가 촉발됐다. 다른 의원들과 1시간째 기다린 임 의장은 날선 목소리로 “중차대한 사안의 긴박성을 감안해 국정감사를 연기하면서까지 실시하는 본회의가 어느 한 당의 의원총회 때문에 1시간이나 미뤄진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한나라당 의원석에서 고함이 터져나왔고, 이방호·김충환 의원 등이 의장석으로 달려가 설전을 벌였다. 임 의장은 “한 시간이나 늦었으면 얘기를 했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분통을 터뜨린 뒤 “의장이 체통을 안 지켰다고?”라고 반말성 반문을 하기도 했다. 한나라당 의석에서는 “의장이 담임선생이야 뭐야.”“의장이 뭐 이래”라고 고성이 터져 나왔다. 여당 의석에서는 “너희는 예의도 없어”“당신네 국회야?”라는 맞고함이 나왔다.
이에 한나라당 의원 전원은 퇴장해 2차 의원총회를 열었다. 김형오 원내대표가 “일단 현안질문은 유종의 미를 거두자. 임 의장의 본회의 사회는 거부했다. 이상득 부의장이 사회를 볼 것”이라고 설득해 한나라당 의원들은 1시간여 만에 본회의장에 돌아갔다. 그럼에도 한나라당 의원들 사이에선 “‘임핏대’”(김용갑 의원),“정치 10년 만에 처음”(김기춘 의원),“당적 없는 의장이 한나라당에 적대감을 드러냈다.”(주호영 의원),“임 의장의 도발적인 태도에 유감”(유승민 의원) 등 불만이 터져 나왔다.
●북한 핵실험 규탄 결의안
이날 통과된 북한 핵실험 규탄 결의안은 진통 끝에 처리됐다.
결의안은 ▲북한 핵실험과 핵보유 주장을 결코 용납할 수 없으며 향후 발생하는 모든 책임은 북한에 있다 ▲북한은 핵무기 관련 계획을 철폐하고 NPT(핵확산금지조약) 체제와 6자회담에 즉각 복귀하라는 내용 등을 담고 있다.
결의안은 재적의원 297명 중 184명이 출석해 찬성 150표, 반대 18표, 기권 16표로 가결됐다. 표결에 앞서 열린우리당 임종인 의원과 민주노동당 이영순 의원이 반대 토론했다.
한나라당은 통일외교통상위원회에서 금강산 관광과 개성공단 사업 중단·대북정책 기조 변경 등의 표현을 요구했으나, 결의안 채택이 무산위기에 이르자 양보해 결의안이 채택됐다.
문소영 박지연기자 symu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