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금금리 올려 시중자금 흡수한다
부동산담보대출 금리는 최대 7%까지 올리던 시중은행들이 마지못해 예금금리도 ‘찔끔’ 올리는 시늉을 하고 있다. 여론을 의식한 탓이다. 시중은행의 자체적인 수요도 있다.
하나은행과 기업은행이 지난 22일 예금금리를 0.1∼0.2%포인트 인상했고, 외환은행도 0.35∼0.6%포인트 올렸다. 이번 인상으로 일부은행의 예금금리가 4.9%대까지 상승했다. 고액 예금자에게는 5%대까지 보장한다. 국민, 신한, 우리은행 등 ‘빅3’는 인상폭과 시기를 저울질하고 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최근 은행에서 예금에 대한 지급준비율을 맞추기 위해 양도성예금증서(CD)를 발행하지만, 한정된 파이(돈)를 나눠먹는 제살갉아먹기나 다름없다.”면서 “현재로서는 부동산경기의 연착륙을 위해 대출금의 급격한 회수가 쉽지 않은 만큼 예금금리 인상을 통해 시중 통화를 끌어당길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하나,1억원 이상 5%대
하나은행은 이번에 ‘영업점장 우대금리’를 0.1∼0.2%포인트 올렸다. 고객에게 밝히는 고시금리는 아니지만, 신규로 예금을 하는 고객 모두에게 혜택이 간다.‘고단위플러스 정기예금’에 1억원 이상을 1∼2년 미만으로 예치했을 때 금리는 종전 연 4.8%에서 연 5.0%로 0.2%포인트 높아졌다. 예치기간이 2년 이상,3년 이상일 때는 각각 5.2%와 5.3%다. 예치기간이 1년 미만이거나,1000만∼1억원 미만일 때는 4.9%의 예금금리가 적용된다.
●외환, 예치기간 따라 최고 4.85%
외환은행은 만기별로 0.35∼0.6%포인트 수준의 큰폭 금리인상을 단행했다. 고시금리를 3.6%에서 4.2%로 0.6%포인트 인상했다.3개월 정기예금의 경우 우대금리를 종전 3.9%에서 4.4%로 0.5%포인트 높였다.1년제는 4.8%로,2년제와 3년제는 4.85%로 각각 0.35%포인트씩 인상했다.
기업은행은 지난 19일부터 정기예금 고시금리를 1년 이상은 0.1%포인트 올려 4.2%다.2년 이상에서 3년 미만은 4.6%다.3년만기는 4.7%다.1개월 이상 1년 미만은 0.2%포인트씩 인상했다고 밝혔다. 기업은행은 “영업장 전결인 우대금리가 아닌 고시금리의 인상인 만큼 신규 가입자들 모두에게 금리인상의 혜택이 간다.”고 말했다.6개월 이상 정기적금 고시금리도 0.1%포인트 올렸다. 정기적금은 6개월 이상 1년 미만이 3.6%이다.1년 이상 2년 미만이 3.8%,3년미만은 3.9%,3년짜리가 4.1%이다.
문소영기자 symu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