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는 사교육비 부담 소비·노후자금 옥죈다
사교육비 등 교육비 부담으로 개인소비가 위축되고, 개인저축률이 급격히 떨어지며 결과적으로 노후준비 자금 마련에 차질을 빚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원은 29일 ‘가계의 교육비와 저축간 관계분석’이라는 보고서에서 2003년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민간교육비 지출은 2.9%로 OECD회원국 중 최고 수준이고,OECD 평균(0.7%)보다 4배 이상 높은 수준이라고 밝혔다.
GDP 대비 총교육비(공공교육비+민간교육비) 비중도 7.5%로 미국(7.4%)과 비슷하다. 아이슬란드(8%)보다는 낮지만 아이슬란드는 공공부담 비중이 90%로 민간부담 비중이 10%에 불과한 반면 우리나라는 민간부담 비중이 40%로 OECD 평균(12%)의 3배를 넘는다.
특히 대학교육비의 경우 2004년 공공부담 대비 민간부담 비율이 3.7배로 OECD 평균(0.36배)은 물론 상대적으로 대학교 학비가 비싼 미국(1.8배)이나 일본(1.4)에 비해서도 월등히 높은 수준이라고 한은은 밝혔다.
이같은 사교육비 지출은 고스란히 국민들이 느끼는 실제 경제적 부담으로 나타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교육비가 부담’이라는 가계는 2000년 72.5%에서 2004년 77.2%로 4.7%포인트 높아졌다. 문제는 가구의 소비에서 교육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2005년 11.8%에서 지속적으로 확대돼 2020년에는 13.9%까지 상승한다는 예측이다.
우리나라의 개인 순저축률(순저축/처분가능소득)은 1995년 16.4%에서 2005년 4.2%로 12.2%포인트나 떨어졌다.
같은 기간 미국은 5.0%포인트, 일본은 8.1%포인트, 독일은 0.6%포인트, 영국은 5.8%포인트, 타이완은 4.1%포인트 각각 하락하는데 그쳤다.
2003년 기준 처분가능소득 대비 금융자산 규모도 우리나라는 2.8배(2005년)로 미국(4.2배,2004년)이나 일본(4.6배), 영국(4.4배), 타이완(4.9배)에 비해 크게 낮다.
유경원 금융연구실 과장은 “교육비가 1% 늘면 저축은 0.02∼0.04% 하락하고 기타 가계소비도 위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변수간 상호관계를 배제한 분석으로 수치 자체에 의미를 두기는 어렵지만 교육비가 늘면 저축 및 기타 소비가 마이너스가 된다.”고 설명했다.
유 과장은 “우리나라처럼 GDP대비 민간교육비 비중이 높은 미국(2.1%)은 상대적으로 저축률이 낮지만, 프랑스와 이탈리아, 스위스 등 민간교육비 부담이 낮은 유럽국가들은 높은 저축률을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유 과장은 “사교육비 부담이 금융자산 축적의 부진으로 가계의 경제적 취약성이 확대되고, 은퇴자금이 부족해지며, 때문에 소비수준이 저하될 수 있다.”면서 “현 세대에 치우쳐 있는 교육비 부담을 세대간 분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같은 방법으로 금융연구원의 하준경 박사는 2006년에 “교육자금 조달이 학생 중심으로 외부에서 일어날 수 있도록 교육관련 금융시장을 육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문소영기자 symu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