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사회약자 50% 할인 등 은행수수료 인하 압력 논란 “폭리 개선” vs “신관치 금융”
청와대에서 은행들의 수수료 인하를 직접 지시한 공문이 4일 확인돼 논란이 일고 있다. 시민들의 일차적 반응은 “폭리를 취하던 은행의 수수료 인하 환영”이었다.
하지만 금융시장에서는 “청와대가 시장에 압력을 가하고, 시장의 가격정책에 간섭한다.”는 비판이 나왔다.‘신관치’라는 것이다.
4일부터 소액송금 수수료를 최고 2000원까지 내린 우리은행을 제외하고, 나머지 은행들은 다음주 수수료 인하여부를 현장 부서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논의하겠다는 입장이다.
●사건 순서도
청와대 민정수석실의 한 국장은 지난 2일 은행연합회에 1장짜리 공문을 보냈다. 내용은 ‘수수료가 은행 자율사항임을 인식하고 있으나 민원을 담당하고 있어 C일보 보도는 고민되는 사항임. 이에 민원관련 자료를 제공하겠으니 급히 부서장 회의를 개최하여 여지가 있으면 수수료를 인하할 수 있도록 협조를 요청’한다는 내용이었다.
이에 은행연합회는 “금리·수수료는 공정거래법상 사업자단체인 은행연합회가 관여해서는 안 되는 사항이므로 BH(청와대·Blue House의 약자)의 요청을 단순 전달하고자 함. 즉시 회의 개최는 경험상 부서장들의 일정과 관련, 곤란할 것이므로 업무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우선은 메일 등으로 BH의 요청을 전달하고 4월8일 수신부서장 간담회에서 다시 한번 전달하고자 함”이라고 답신을 보냈다.
청와대 민정수석실의 한 국장은 이어 ‘은행 소액송금 수수료 인하 협조 요청’이란 5장짜리 공문을 보내고 “민원해소 차원에서 협조요청 드리는 것임을 꼭 자료 송부시에나 회의시에 전달하여 정부가 지도하거나 개입한다는 오해가 없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즉 청와대 개입이라는 흔적을 은폐하기 위해 노력했으나, 허사가 돼버리고 만 것이다.
은행연합회는 당일 곧바로 각 은행 실무자들에게 문제의 ‘은행 소액송금 수수료 인하 협조 요청’ 공문은 물론 청와대 민정수석실이 찍혀 있는 협조 공문을 모두 첨부해 전달했다.
●주요 내용
청와대의 ‘협조요청서’에는 단계적 인하 방안도 제시했다.▲1단계는 100만원 이하 송금 수수료 인하, 미성년자 등 사회적 약자는 50% 할인율을 적용하되 ▲2단계는 100만원 이상 고액 송금 수수료 인하 ▲3단계는 창구, 인터넷 등 전체 송금 수수료를 인하하는 방안이다.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고 우리은행이 4일부터 실시하는 송금수수료 인하의 내용과 몹시 흡사하다. 우리은행측은 “전산준비가 필요한 만큼 2주 전부터 준비했다.”고 하지만, 이미 청와대 정보를 입수해 먼저 움직였다는 인상을 지우기 어렵다.
협조 요청서에는 또한 ‘관치’의 흔적을 지우기 위해 ‘은행을 설득해 자율적으로 인하 유도’,‘은행연합회의 은행간 회의시에 자율 논의토록 하여 은행 스스로 판단할 사항임을 명백히 함’,‘금감원 당국자 참석 등 일체 오해의 소지는 사전 차단’이라는 지시를 일목요연하게 하고 있다. 또한 인하결정 시점을 4월8일로 거론해 총선을 앞두고 표를 의식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청와대가 계산한 바에 따르면 1단계 수수료 인하로 전 국민이 157억원 혜택을 보고,2단계에서 129억원,3단계에서 307억원 혜택을 본다. 문제는 공문에서조차 청와대가 “원가측면에서 볼 때 은행들의 수수료 인하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파악하고 있다는 것이다. 시장 프렌들리가 아니라 인기영합주의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주식시장에서는 청와대의 수수료 인하 압력 소식이 돌자, 은행주들의 주가가 최고 3.35%까지 하락했다.
문소영기자 symu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