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생산자물가 10.5%↑… 10년만에 최고
6월 생산자물가가 고유가의 직격탄을 맞으면서 외환위기 이후 10년 만에 최고치를 이어갔다. 또한 5월의 통화량은 15.8%로 폭증,8년 11개월 만에 돈이 가장 많이 풀렸다.
생산자물가가 고공행진을 지속하고, 시중 통화량이 늘어나 인플레이션 상승 압력은 더 커지게 됐다.10일 열리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10개월째 5.0%로 동결하고 있는 기준금리를 어떻게 할지 주목된다.‘동결이냐, 아니냐’보다는 금리인상 신호를 시장에 던져줄 것인지에 금융계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6월 생산자 물가 ‘착시현상’ 제거시 13.1% 추정
한국은행이 9일 발표한 ‘6월 생산자물가’에 따르면 지난달 생산자물가는 전년 동월보다 10.5% 폭등했다. 전년 동월대비로는 2002년 9월부터 연속 5년 10개월째 상승 중으로,6월 생산자물가는 전월대비로도 1.6% 상승했다. 그러나 이 같은 수치는 6월부터 생산자물가의 기준연도가 2000년에서 2005년으로 변경하면서 기준물가가 상향조정되어 비교 시점의 물가가 다소 낮아진 것이다. 즉 이번 달부터 물가가 하락한 듯한 ‘통계의 착시현상’이 적용됐다.
즉 2000년 기준을 사용한 지난 5월 생산자물가는 전년 동월대비 11.6% 오른 것으로 지난달 발표됐으나, 기준년이 변경되자 9.0% 상승으로 2.6%포인트 하향 조정됐다. 따라서 6월 생산자물가를 2000년도 기준이란 연속선상에서 살펴볼 경우 현재 10.5% 상승률은 2.6%포인트가 추가된 13.1%가 상승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고 한은은 밝혔다.1998년 6월 13.4% 증가율 이후 만 10년 만에 최고 상승률이다. 생산자물가 기준년을 2005년으로 바꾸면서 생산자물가의 전년 동월대비 상승률은 3월 6.0%(2000년 기준으로 8.0%),4월 7.6%(11.6%),5월 9.0%(11.6%)로 모두 하향조정됐다.
2005년 기준년으로 품목별로는 농림수산품이 전년 동월대비 1.2% 하락했으나 공산품은 지난 1년 사이에 무려 15.2% 폭등했다. 원유와 고철의 국제가격이 큰 폭으로 오른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됐다. 또 전력수도가스와 서비스부문은 전년 동월대비 각각 4.4%와 2.3% 올랐다.
한편 한은은 생산자물가의 물가지수에 현실 반영도를 높이기 위해 5년마다 조사대상품과 가중치를 개선해 발표하는데 기준년을 변경할 때마다 기준물가가 올라가고 반대로 비교시점의 물가는 하락해 ‘통계의 착시현상’은 불가피하다.
●광의통화 증가율 15.8%
한은이 같은 날 발표한 ‘5월 중 통화 및 유동성 지표 동향’에 따르면 2년 미만의 정기 예·적금 등을 포함한 광의통화(M2·평잔기준)는 지난해 5월에 비해 15.8% 증가했다. 이 증가율은 1999년 6월의 16.1% 이후 8년 1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M2 증가율은 올들어 1월 12.5%.2월 13.4%,3월 13.9%,4월 14.9% 등으로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2년 이상의 정기 예·적금 등을 포함한 금융기관 유동성(Lf) 증가율도 전달보다 0.4%포인트 상승한 13.1%를 기록했다.2002년 12월 13.3% 이후 5년 5개월 만의 최고치다.
시중의 유동성이 빠른 속도로 늘고 있는 이유는 기업 및 가계 대출이 높은 증가세를 유지한 데다 2년 미만 정기예적금과 머니마켓펀드(MMF) 등 수익 증권에 돈이 계속 몰린 탓이다. 광의유동성(L. 말잔 기준) 증가율은 전달의 14.6%보다 0.4%포인트 하락한 14.2%를 기록했다.
이와 함께 한은이 이날 발표한 ‘6월 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6월 중 M2의 증가율은 전달보다 낮은 15% 안팎으로 추정됐다. 한은 관계자는 “금융기관의 대출이 꾸준히 늘어났으나 경상수지 적자 등으로 국외부문에서 통화가 환수되면서 증가율이 둔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문소영기자 symu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