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수입물가 50.6% 폭등
국제유가가 빠른 속도로 하락하고 있지만 기존의 가격 상승분이 중간재와 소비재 가격에 본격적으로 전가되면서 7월 수입물가 상승률이 50%를 돌파했다. 이는 1998년 2월 53.9% 상승 이후 10년 5개월 만에 최고치다.
이같은 가격 전가 현상이 지속될 경우 8,9월 소비자물가가 ‘만만치 않을’ 것으로 분석된다.
1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7월 수출입물가 동향’에 따르면 수입물가 상승률은 전년동월 대비 50.6%로 10년 5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7월 중 국제유가의 하락으로 수입 원자재 가격상승률은 전년동기 대비 89.9%로 6월 92.5% 상승률에 비해 소폭 하락했다.
그러나 중간재는 전년동월 대비 34.8%, 소비재는 20.1%로 2000년 2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중간재는 지난 3월 16.8%,4월 20.4%,5월 28.8%,6월 31.3% 등으로 꾸준히 상승했다. 소비재도 지난 3월 13.3%,4월 14.1%,5월 19.8%,6월 19.2% 등에 이어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
이병두 한은 물가통계팀 과장은 “국제 원자재 가격이 떨어지면서 수입원자재 가격 상승률은 다소 떨어졌지만, 중간재와 소비재로 가격전가가 일어나기 때문에 전체 수입물가는 상승 추세가 유지되고 있다.”고 분석하면서 “또한 전년동월 대비 상승률에는 환율상승분(전년동월대비 10.9%)이 반영되기 때문에 상승세가 지속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환율을 배제할 경우(계약 통화기준) 원자재물가 상승률은 71.2%이고 중간재 19.4%, 소비재 8.9% 등 이다. 환율은 지난해 7월 평균 918.85원에서 올 7월 1019.12원으로 상승했다.
품목별 전월비 상승률을 보면, 원자재에서 천연인산칼슘이 9.0%, 무연탄이 10.9%, 연광석이 4.0%의 오름폭을 보였다. 중간재에서는 비료 17.5%, 암모니아 10.0%, 열연강대 23.1%, 냉연강판 30.2% 등의 상승폭을 나타냈다. 소비재에서는 냉장기기가 7.2%, 디지털카메라가 2.9% 각각 올랐다.
문소영기자 symu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