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 증시전망/ 대세 상승場…1,000포인트 간다
내년 국내 증시는 미국 경기와 세계 반도체시장의 회복기대감으로 ‘대세 상승장’이 도래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회복시기는 2·4분기가 가장 유력하다.3·4분기쯤에는국내 경기의 본격적인 회복과 맞물려 ‘주가 1,000포인트시대’도 가능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그러나 내년의 지방자치단체장 선거(6월)와 대통령 선거(12월)는 증시에 호재보다는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됐다. 국내 유력 증권사 14곳의 임원과 주식담당팀장 등을 대상으로 2002년 증시를 전망해봤다.
◆경기 전망은=증시전문가들은 대다수가 미국경기와 세계반도체시장의 회복시점을 2·4분기로 꼽았다.국내경기의회복시기는 미국경기에 이어 3·4분기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내년 상반기에 저점을 형성한 뒤 하반기부터 회복국면에 본격 진입할 것이란 분석이다.경제성장률은 상반기 3%,하반기 5%로 보는 시각이 우세했다.
미국·한국에 이어 4·4분기쯤에는 일본의 경기도 서서히 호전되면서 전 세계가 회복국면으로 전환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회복유형은 대다수가 U자형을 꼽았다.미국 테러사태 이후에 지속되는 경기침체를 들어 V자,혹은 U자와V자의 혼합형이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반도체시장 회복과 삼성전자 주가=반도체시장 회복 이유로는 ▲반도체 재고조정 마무리(수급호전) ▲D램반도체가격 상승 ▲디지털통신기기의 지속적인 성장 등을 들었다.
그러나 1·4분기까지는 반도체시장이 크게 호전되지 않을것으로 분석했다.
종합주가지수를 가늠하는 삼성전자의 주가는 적게는 30만원대,많게는 50만원대까지 대폭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상당수는 적정주가를 40만원 안팎으로 예상했다.
◆호재와 악재=3대 호재로는 ▲유동성 증가 ▲국내경기 회복 기대감 ▲월드컵 특수 등을 꼽았다.저유가,저금리,반도체가격 상승 등도 국내 경기의 호재로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도 적지 않았다.
악재로는 ▲엔화약세 ▲아르헨티나 사태 ▲미국경기 조기회복 불투명 등을 들었다.미국경기 전망에 대해서는 회복될 것이라는 기대감은 강하면서도 조기 회복에 대해서는확신이 서지 않는다는 이중적인 분석을 내놓았다.미국기업의 수익감소,미국의 대테러전쟁 확전 가능성,아랍권 불안,물가불안 등도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봤다.
◆주가 1,000포인트 시대=주가 전망은 증권사마다 다소 들쭉날쭉했다.그러나 상반기에서 하반기로 가면서 주가의 상승폭이 두드러지게 커질 것으로 예상한 점은 같았다.1·4분기에는 600∼750,2·4분기 750∼850,3·4분기 850∼1,000,4·4분기 850∼950 등으로 전망했다.
상당수는 3·4분기가 주가의 정점이 될 것으로 봤지만,일부 증권사는 근년의 연중 주가추이를 고려해 4·4분기를최대 정점으로 꼽아 분석이 엇갈렸다.
◆선거와 월드컵의 영향=주가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거나 부정적일 것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었다.지자체선거는 주가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답한 반면,대통령 선거의경우 불확실성이 정치적 불안으로 이어지면서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란 분석이 많았다.다만 선거가 끝난 뒤에는 불확실성의 제거로 호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신한증권은 ‘대통령 선거 연도와 주가’라는 분석자료를 통해 “87·92년 대선에서는연초 대비 연말주가가 상승했지만,97년에는 연초 대비 연말지수가 13.96% 하락해 섣불리 예단하기 어렵다”며 신중한 입장을 보여 눈길을 끌었다.월드컵특수와 관련해서는 내수경기의 진작으로 내수업종이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했다.
방송,항공,광고,호텔 등을 수혜주로 꼽았다.그러나 내수진작이 급격하게 이뤄질 경우 인플레이션을 유발,금리상승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경계했다.
◆외국인 참여도=우리나라를 여전히 매력적인 시장으로 보고,기존의 순매수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했다.그러나 올해의 7조5,000억원어치의 매수규모에는 미치지 못해 대략4조∼5조원대의 순매수가 이루어질 것으로 보았다.투자규모가 뚝 떨어져 1조∼2조원에 그칠 것이란 분석도 있다.
주병철 문소영기자 bcj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