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컵공원 깃발축제 25일까지
‘소리없는 아우성’을 들어봤는가.바람결에 따라 소용돌이치며 펄럭거리는 현란한 깃발의 자유를.
지난달 29일부터 ‘2002 깃발미술축제-바람의 시’가 열리고 있는 서울 상암동 월드컵공원.전세계 45개국 500여명의 세계적인 작가가 참여해 제작한 700여점의 깃발이 보는 이들의 눈길을 사로잡는다.그 형태도 회화,염색,오브제 등으로 다양하다.지난 21개월동안 기획 및 주관을 맡은 21세기 청년작가협회의 자유로운 예술혼이 휘날리는 곳이기도 하다.
총괄감독을 맡은 최문수 협회 상임이사는 “갇힌 전시공간이 아닌,열린 대안공간에서 세계적인 작가들을 만날 기회를 제공한 점에서 일차적인 의미가 있다.”고 말한다.
‘깃발’을 표현의 수단으로 내세운 의도는 만장,군기,의장기,민속기 등으로 생활속에서 활용돼 온 우리의 오랜 깃발 역사를 현대화하기 위한 것.덕분에 세계 어느곳에서도 유래가 없는 가장 독창적이고 대규모인 미술 전시회가 됐다.이런 독창성은 해외에서 더 호응을 얻어 해외작가들은 작업비를 거의 받지 않고 작품운반비용(DHL)을 받는것만으로 기꺼이 참여했다.
최감독은 “지금까지 서양미술의 새로운 사조를 받아들여왔지만,이번 깃발미술전은 한국의 미술을 아르헨티나 등 해외로 역수출하는 계기가 됐다.”고 자부한다.
공원내 난지천공원과 하늘공원,노을공원 주변에서 열리는 깃발미술은 창작깃발 560점과 전통깃발 100개,환경설치 30점,군집깃발 4개 등으로 구성했다.공원 초입에 2002개의 대나무 깃대에 꾸며진 수만개의 오방색(빨강·파랑·노랑·초록·흰색)깃발이 아름다운 ‘축제의 깃발’,이를 시작으로 1㎞ 남짓에 걸쳐 전시됐다.
창작깃발 전시는 모두 5개 권역으로 나뉜다.군집깃발과 축하휘호로 이뤄진 제1권역과 한국 전통깃발이 자태를 뽐내는 제2권역,외국 창작깃발로 구성된 제3권역,‘난지도’의 과거와 현재를 기억할 만한 환경설치작품으로 꾸민 제4권역,그리고 한국 창작깃발과 군집깃발로 장식된 제5권역 등이다.
최근 미술전시장이 텅텅 비지만,월드컵공원을 찾은 인파가 100만명을 넘어서는 등관람객 수에서는 여느 미술전시도 따라갈 수 없다.그러나 고민거리는 있다.오방기에 홀린 관객들이 공원 안쪽에 즐비한 작품들을 모두 구경하지 않고 그냥 돌아가지 않을까 하는 우려다.협회는 관람객이 참여할 수 있게끔 매일 벽화그리기,판화교실등을 운영해 적극적인 참여의 행사로 전환할 계획이다.25일까지.
문소영기자 sym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