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發 악재 불똥… 경기 수축기 진입?
한국은행이 내년 경제성장률에 대해 우울한 전망치를 내놓았다. 한은은 올해 내내 “내년은 올해보다 경제가 좋아질 것”이라고 밝혀온 터여서 4.7% 성장 예상은 충격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민간경제연구소들이 최근 고유가와 서브프라임모기지 부실에 따른 세계경제 불확실성 등 대외 변수에도 불구하고, 내년 경제성장률을 5.0∼5.1%로 전망했기 때문에 상실감은 크다. 특히 내년에는 물가가 크게 오를 것으로 예상돼 벌써부터 서민들의 마음을 얼어붙게 하고 있다.
●왜 성장률 예상보다 낮아졌나
한은이 성장률 전망치를 낮춘 것은 세계경제성장률 둔화와 고유가 등 대외변수 때문이다. 한은은 내년 세계경제성장률을 4.6%로 올해 5.1%보다 낮게 봤다. 미국 경기는 1.8%, 중국은 10.5%로 올해에 2.1%,11.3%에 비해 둔화될 것으로 봤다. 국제유가는 연평균 81달러로 올해 평균 69달러보다 높여 잡았다.
한은 김재천 조사국장은 “미국 경제 성장률은 올 4·4분기부터 2%대 초반으로 꺾여서 내년 상반기까지 비슷한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하지만, 내년 하반기에는 조금 나아질 것으로 본다.”면서 “서브프라임 여파가 내년에도 계속되고, 실물경기에 큰 영향을 주는 주택경기도 내년까지 부진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즉 미국 경제성장률이 2%에 못 미치는 등 세계 경제의 성장세가 둔화되리라는 것이다.
금융연구원 하준경 연구위원은 “대외변수가 워낙 불확실하니까 한은이 전망치를 4.5∼5.0%사이에서 보수적으로 조절한 것 같다.”면서 “국제유가가 낮은 수준에서 안정되거나 세계경제 성장률이 조금만 개선되어도 성장률이 높아지게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삼성경제연구소의 황인성 수석연구원은 “한은의 성장률 전망이 민간연구소보다 낮지만 추세는 비슷하다.”면서 “새정부가 들어서면 경제에 긍정적인 변수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성장률은 개선될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한은은 정부지출이 연간 4.6%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는데 재정투입을 늘릴 경우 경제성장률 0.3%포인트 상승, 즉 5%대 성장은 어려운 일이 아니라는 것이다.
●경기 수축기로의 전환은 아닐까
경제성장률은 올 3·4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5.2%로 정점을 찍고 4분기에 5.1%, 내년 상반기에 4.9%, 하반기에 4.4%로 연속 3분기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즉 경기사이클이 확장기에서 수축기로 전환된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한은은 “전년동기 대비가 아니라 전분기 대비로 볼 때 경제성장률은 올 2분기 1.8%로 상승했다가 3분기 1.3%,4분기 1.0%를 유지하다가 내년 상반기에 약간 올라 1.1% 하반기에 1.0% 성장하며 속도를 조절하는 모습을 보일 것”이라면서 “경기수축기에 접어들었다고 보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금융연구원 하 연구위원도 “대외적 요인으로 인한 경제성장률 하향세를 경기사이클로 치환해서 보기는 어렵다.”고 했다.
문소영기자 symu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