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의 이상한 KIKO 분석
포스코강판은 지난달 27일 주가가 하한가까지 추락했다. 이 회사는 지난 11일 2·4분기 실적 발표에서 ‘영업이익 260억 3000만원(전년동기 대비 885.9% 증가), 단기순이익 88억 2700만원(169% 증가)’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보름만인 25일에 포스코강판은 공시를 번복했다.‘환헤지 파생상품(KIKO·키코) 거래로 545억 4000만원 규모의 평가손실이 발생해 순손실이 223억 7000만원’이라는 내용이었다.
포스코강판처럼 수출 중소·대기업들이 키코에 가입한 뒤 환율 급등으로 크게 피해를 봤다는 2분기 실적 공시들이 줄을 잇고 있는 가운데,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 등 금융당국이 피해를 본 회사측과 다른 조사결과를 내놓아 논란이 예상된다.
금융위와 금감원은 1일 ‘키코거래현황 및 대책’이라는 보도자료를 통해 6월말 현재 원·달러 환율 1046원에서 키코거래손익은 수출대금 환차익을 감안할 때 2조 1950억원의 이익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키코가입으로 인한 손해가 5103억원이고 평가손이 9678억원이지만, 환율 상승으로 수출대금의 환차익이 손실보다 훨씬 큰 3조 6731억원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 가운데 중소기업만을 보더라도 키코 가입후 손실액이 1조 1387억원이지만, 수출대금의 환차익이 2조 4656억원으로, 결과적으로 1조 3269억원이 이익이라는 설명이다. 다만 수출대금을 초과해 헤지한 중소기업들만 2533억원의 손해를 봤다는 것이다.
금감원에 따르면 국내은행의 키코계약잔액이 101억달러로 거래업체가 519개사로, 이중 중소기업의 비중은 480개사,75억달러(전체의 74.3%)규모에 이른다. 금감원은 “키코가입 기업들이 수출대금의 환차익을 고려하지 않고 키코 거래에서 발생한 손실만을 인식하고 있다.”고 지적한뒤 “수출대금을 넘어서는 헤지를 한 경우에는 손실발생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경제전문가들은 금감원의 ‘고환율이 키코가입의 손해를 상쇄하고도 남는다.’는 식의 분석에 대해 “고환율은 수출대금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지만, 원자재 등 수입대금에 대한 지출도 늘린다.”면서 “금감원의 분석이 정확하려면 수출대금뿐 아니라 수입대금에 대한 환율효과도 같이 계산했어야 한다.”고 지적한다. 포스코강판에서 보듯 영업이익이 약 8∼9배가 증가해도, 순이익이 마이너스가 되는 것은, 키코에 가입한 기업들의 피해를 금융감독당국이 책상 앞에서 환율상승을 계산기를 두드리는 식으로는 파악할 수 없다는 의미다.
한편 금감원은 키코 관련 기업피해 사례를 접수하고, 관련 거래 은행 전체에 대한 일제검검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문소영기자 symu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