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자물가 10년만에 최고치
국제유가 상승세가 주춤했지만, 생산자물가는 10년만에 최고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는 이성태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 7일 전망했듯,8월과 9월 소비자물가가 만만치 않을 것임을 보여주는 지표다.
한국은행이 8일 발표한 ‘7월 생산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총지수는 작년 같은 달에 비해 12.5%가 올라 1998년 7월 12.8% 이후 가장 높은 오름폭을 나타냈다. 총지수의 전년동월대비 상승률은 4월 7.6%,5월 9.0%,6월 10.5% 등이었다. 총지수의 전월대비 상승률은 1.9%로 6월의 1.6%에 비해 높아졌다
분야별 전년동월대비 상승률은 공산품이 17.9%로 전월의 15.2%보다 올라갔고 전력수도가스는 4.4%에서 4.6%로, 서비스는 2.3%에서 3.2%로 각각 높아졌다.
윤재훈 한은 물가통계팀 과장은 “국제유가가 지난달 중순 이후에 떨어지기 시작했으나 지난달 평균 유가는 전월보다 2.7%,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서는 88.4% 올랐기 때문에 생산자물가가 높았다.”면서 “8월에는 국제유가 하락세가 반영돼 생산자물가 상승률이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품목별 전월대비 상승률을 보면, 서비스 분야에서 국내항공여객료가 31.8%나 됐고 연안여객료 17.9%, 국제항공여객료 11.7%, 항공화물운임 17.1% 등이었다. 여관숙박료는 5.0% 올랐고 건축설계감리비는 3.1% 상승했다.
음식료품에서는 사이다 11.4%, 맥주 5.9%, 참기름 12.9% 등의 상승률을 나타냈고 금속제품에서는 열연강대 21.5%, 냉연강대 23.1%, 아연도강판 22.1% 등의 오름폭을 각각 보였다. 채소류는 더운 날씨로 출하가 줄어들면서 비교적 높은 가격 상승률을 나타냈다. 상추가 전월보다 51.2%나 뛰었고 오이 28.9%, 양파 19.0%, 토마토 14.2% 등의 폭으로 올랐다. 수산식품에서 넙치는 51.8%, 조기는 21.1% 각각 상승했다.
문소영기자 symu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