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단카이 세대 기술자 영입해야”
대일 무역 적자가 해가 거듭될수록 눈덩이처럼 늘어나고 있어 국가적 차원의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대일 무역 적자를 축소하기 위해 핵심부품 소재를 생산하는 중소기업에 대한 중장기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구체적으로 2009년까지 한시 적용하는 기업의 연구개발비에 대한 조세특례를 확대하고, 일본 단카이 세대(일본 고도성장기의 주역) 퇴직 기술자를 국내에 영입하는 등 방안도 제시됐다.
한국은행이 24일 펴낸 ‘대일 무역역조 고착화의 원인과 향후 정책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8월 대일 무역 적자 규모는 232억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연간 대일 적자 규모인 299억달러의 77%에 이르는 액수다.
1965년 한·일 국교 수립 이후 한국은 일본과의 무역에서 줄곧 적자를 내 왔으며 그 규모도 1990년 59억달러에서 2000년 114억달러,2007년 299억달러로 빠르게 늘어왔다.
따라서 대일 무역 역조를 근본적으로 개선하려면 중소기업의 양적인 발전 외에 기업의 원천 기술개발 등 질적 발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특히 대일 무역 적자액 가운데 부품소재 비중이 60%를 웃돌아 부품 소재를 중심으로 적자가 고착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IT산업의 핵심 부품 소재와 장비의 대일 수입 의존도를 보면 LCD용 유리가 82.5%,LCD·PDP 제조장비는 77.4%, 실리콘웨이퍼(반도체 부품)는 69.6%에 이르는 등 대부분 일본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한은 조사국의 김진용 차장은 대일 역조를 개선하기 위해 중소기업 활성화 등 10∼20년 이상 안목을 가지고 중장기 대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2009년까지 한시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기업들에 대한 연구개발(R&D) 조세지원 제도를 영구화하고, 선진국 기업과의 인수·합병(M&A)을 통해 핵심부품 소재의 기술을 확보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한 일본 단카이 세대의 퇴직 기술자를 국내 기업에 영입하는 문제도 고려할 것을 당부했다.
김 차장은 “중소기업 등 국내업계를 중심으로 일본 단카이 세대를 영입해 핵심부품의 기술수준을 한 단계 도약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활발하다.”면서 “이들을 국내에 영입할 때 어떻게 대우할까가 영입의 변수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단카이 세대는 제2차 대전 이후 일본의 경제부흥을 이끌었던 최첨단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세대로서,2007년부터 퇴직을 시작하는 약 700만명을 말한다. 일본 정부는 이들이 기업을 본격적으로 떠날 경우 젊은 세대로 기술이전이 이뤄지지 않을 것을 우려해 임금피크제 도입,65세로 정년연장 등을 통해 재취업 등을 알선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이공계에 대한 낮은 사회적 인식과 보수, 고용 불안정성 등으로 실업계·이공계 학생들이 급감하는 것에 대한 대책도 주문했다. 실업계 고등학생 수는 2000년 29만 1000명에서 2006년 16만 2600명으로, 공대학생들도 2001년 21만 1000명에서 2006년 14만 5000명으로 줄었다.
문소영기자 symu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