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파 뒹굴던 고양이 강아지 축구코치 되다
고양이 ‘뒹굴이’는 이름처럼 소파 위에서 하루종일 뒹굴뒹굴하는 게으른 고양이다. 하지만 스스로는 잠시 쉴 틈도 없이 아주 바쁘게 지낸다고 착각한다. 뒹굴이의 일과표는 이런 식이다. 해가 중천에 걸린 오전 10시쯤 느지막하게 잠에서 깨어난 뒹굴이는 일어나는 데만 한 시간이 걸리고, 깨끗이 씻는 데는 30분이 걸린다. 체조는 겨우 4분만 한다. 뒹굴이가 먹고, 자고, 노는 곳은 모두 소파. 그래서 소파에는 뒹굴이가 몸을 누이고 있는 곳은 움푹 파여 연못이 생길 정도다. 뒹굴이는 작은 일, 큰 일 등 볼 일 볼 때만 잠깐 소파를 떠나는데, 정원 끝에 있는 ‘세상 끝’을 향해서 간다. 그러곤 정말 빠르게 돌아와 소파의 온기를 느끼는 것이 낙이다.
그런데 이 뒹굴이가 소파 밖으로 뛰쳐나가 기니피그의 미용사로 정성스럽게 머리를 말아주고, 왕눈이 암소를 귀찮게 하는 파리 잡는 사냥꾼이 되기도 하고, 강아지 루디의 축구코치로 열심히 일하기도 한다. 또한 고양이 또순이를 성악가로 키우기도 한다. 어떻게 이런 변화가 일어난 것일까?
‘게으른 고양이의 결심’(프란치스카 비어만 글·그림, 임정희 옮김, 주니어김영사 펴냄)은 친구의 가치와 삶의 진정한 즐거움이 어디에서 유래하는지를 알려주는 그림 동화다. 뒹굴이의 행동에 변화가 일어난 것은, 늘 짖어대는 데다 미친 듯이 정원을 돌아다니며 공을 차는 촌뜨기 축구선수 강아지 루디와 어느날 꽝하고 부딪친 이후이다. 그 순간 루디의 것이 뒹굴이에게 옮겨왔다.
벼룩! 40m는 눈감고 뛸 수 있고, 경주용 자동차보다 빠른 벼룩이다. 벼룩의 취미는 먹잇감을 바꾸는 것인데, 루디에게서 뒹굴이에게로 옮겨간 것이다. 벼룩은 뒹굴이의 다리를 다섯 방이나 물어뜯더니, 머리, 배, 등으로 옮겨가며 마구마구 물어댄다. 뒹굴이는 더이상 소파에 웅크리고 한가롭게 게으름을 피울 수 없다. 뒹굴이는 루디의 벼룩에게 ‘먹잇감 바꾸기’의 기회를 줘야 했다. 그래서 미용사로, 사냥꾼으로, 축구코치로 일한 것이다. 그 동기가 불순하고, 속임수가 통했다. 벼룩은 사라지고, 즐거운 생활을 기대하며 소파로 다시 돌아온 뒹굴이, 정말 즐거울까?
뒹굴이는 묻는다. “꼬마야, 혼자서 컴퓨터 게임하고 놀면 정말 즐겁니? 너에게도 내 벼룩을 나눠줄까? 벼룩에게 ‘먹잇감 바꾸기’를 해줄 수 있도록 말이야.”라고. ‘책 먹는 여우’로 국내에 잘 알려진 독일출신의 동화작가가 썼고, 교훈적인 이야기를 개구쟁이처럼 그려냈다.
곰같이 통통한 고양이 뒹굴이는 깜찍하고 또 재주도 많다. 마치 우리 꼬마들처럼. 8500원.
문소영기자 symu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