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몸길이
    2025-07-22
    검색기록 지우기
  • B
    2025-07-22
    검색기록 지우기
  • KADIZ
    2025-07-22
    검색기록 지우기
  • 강주리
    2025-07-22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2,184
  • 제주, 多 알고 있나요?

    제주, 多 알고 있나요?

    제주는 진화의 속도가 빠른 여행지입니다. 객들의 발걸음과 변화의 폭이 정비례하지요. 어제와 오늘이 달랐으니 내일도 필경 다른 풍경이 들어설 겁니다. 제주엔 새로 생겨 생경한 여행지도 있지만 낡아서 생경한 느낌을 주는 여행지도 있습니다. 제주 폭포의 맹주 격인 천지연 폭포와 현무암 돌담의 원형이 잘 살아있는 하가리 마을 등이 대표적이지요. 새로 생긴 볼거리라면 ‘한화 아쿠아플라넷 제주’를 앞세울 만합니다. 500여종 4만 8000마리의 물고기가 뛰노는 곳입니다. 이들 모두 장마철에 찾기 맞춤한 여행지이기도 하지요. 추적추적 비 내리는 날씨에 외려 잔잔한 감동을 주는 풍경들이기 때문입니다. ●‘명불허전’ 천지연 폭포 쉼없이 쏟아지는 폭포수, 수많은 생명을 품다 서귀포의 천지연(天地淵) 폭포는 오래된 여행지다. 워낙 명성이 떠르르한 곳이라 가 보지 않은 사람조차 알 정도다. 그런데 아는 사람은 많아도 직접 가 봤냐고 물으면 뜻밖에 고개를 외로 꼬기 일쑤다. 현지 관광 안내소에 따르면 내방객의 70~80%가 중국인 관광객이다. 내국인들의 발길이 갈수록 줄고 있다는 방증이다. 천지연 폭포는 22m 높이 절벽에서 쉼 없이 쏟아져 내리는 폭포수가 일품이다. 요즘 같은 장마철이면 폭포 주변에 물줄기가 여럿 생기고 내리꽂히는 물살도 한결 힘차다. 제주도 내 폭포 가운데 유일한 천연기념물(27호)이기도 하다. 서귀포시청의 김영관 문화재 담당은 “천지연 폭포 입구에서 폭포까지의 1㎞ 구간 전체가 천지연 난대림 지대(천연기념물 379호)로 지정됐다.”며 “무태장어(천연기념물 제258호)와 담팔수 군락지(제163호) 등을 비롯해 25종의 어류와 447종의 식물이 이 지역에 서식하고 있다.”고 전했다. 불과 1㎞의 비좁은 공간에 수없이 많은 생물이 깃들어 사는 셈이다. 천지연 폭포는 들머리부터 운치가 빼어나다. 듣도 보도 못한 난대 식물들이 짙은 숲 그늘을 이루고 사위를 둘러친 벼랑도 제법 장엄한 자태를 뽐낸다. 계곡 주변엔 담팔수(膽八樹) 군락지가 펼쳐져 있다. 담팔수는 제주에만 자생하는 희귀 수종이다. 연중 빨간색 잎이 드문드문 섞여 있는 것이 특징으로 7월에 흰색 꽃을 피운다. 나뭇잎이 여덟 가지 빛을 낸다 해서 담팔수라 부른다는 말도 전해 온다. 난대성 식물로 천지연 폭포가 북방한계지다. 담팔수 아래 계곡물엔 무태장어가 산다. 역시 천지연 폭포가 북방한계지인 열대성 어류로 길이가 2m 가까이 자란다. 1970년대 초엔 약 150㎝에 이르는 대물이 폭포 초입에서 잡히기도 했다. 야행성인 탓에 낮엔 자취를 찾기 어렵다. 무엇보다 신비로운 건 녀석의 일생이다. 강치균 문화관광해설사는 “무태장어는 치어 때 타이완 근해나 남태평양 등에서 천지연 폭포로 올라온 뒤 5~7년가량 폭포 주변에서 살다 산란을 위해 바다로 돌아간다.”며 “동남아, 뉴기니 등으로 추정되는 산란처에서 산란을 마친 뒤 생을 마감한다.”고 설명했다. 성어가 돼 강원 강릉 남대천으로 돌아오는 연어와 정반대다. 무태장어 치어는 이맘때 거슬러 올라온다. 강 해설사는 “10㎝ 길이의 실뱀장어만 한 치어들이 장마철에 구로시오 난류를 타고 천지연 폭포까지 올라온다.”고 전했다. 그 작고 어린 생명체가 수백, 수천㎞ 떨어진 바다를 헤엄쳐 건너온다는 사실이 믿기지 않을 만큼 경이롭다. 천지연 폭포를 찾았다면 새섬까지 둘러보는 게 당연한 수순이다. 초가지붕을 덮을 때 쓰는 ‘새’(띠의 사투리)가 많았다는 섬으로, 2009년 새연교가 놓이면서 서귀포항과 연결됐다. 새섬에는 1.2㎞ 남짓한 산책로와 경관 조명 등이 조성돼 있다. 섬 끝자락에 서면 문섬과 범섬 등이 한눈에 들어온다. 6~9월 성수기엔 밤 11시까지 출입할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LED) 조명시설을 갖춘 새연교는 연중 밤 11시 30분까지 개방된다. ●돌담길 어여쁜 하가리 마을 올레길 따라 꼬불꼬불 굽이도는 검은빛 수채화 구멍 숭숭 뚫린 현무암 돌담은 제주민의 삶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초가집의 ‘축담’에서 태어나 가축의 출입을 막고 밭 경계를 구분하는 ‘밭담’에서 일하다 ‘산담’ 둘러쳐진 무덤에 몸을 누인다. 오래전엔 읍성을 둘러싼 ‘성담’이나 외적의 침입에 대비해 쌓은 ‘환해장성’에서 전쟁을 치르기도 했다. 예전 제주에는 돌담이 지천이었다. 제주를 찾는 외지인들에게 깊은 첫인상을 남기는 것도 검은 돌담길이었다. 제주에서 아름다운 돌담의 원형을 만날 수 있는 곳으로는 제주시 애월읍 하가리(下加里)가 꼽힌다. 제주공항에서 30분 정도 떨어진 마을로, 제주올레 15코스(한림항~고내포구)에 속해 있다. 고려시대부터 화전민이 모여 살았던 것으로 알려진 하가리는 마을 어디에나 돌담이 있다. 하가리 돌담은 대부분 꼬불꼬불 굽었다. 담장이 세찬 바람에 맞서는 것을 피하고 밖에서 안이 보이지 않게 하려는 뜻이다. 마을 주민들에 따르면 돌담의 축조 시기는 무려 3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아울러 제주 전통 말방아와 초가집도 마을 한편에 잘 보존돼 있다. 하가리 마을에서 놓쳐선 안 될 또 다른 볼거리가 애월초등학교 더럭분교와 연화지다. 더럭분교는 도시에서 유입된 학생 수가 전체의 50%를 웃도는 특이한 학교다. 국내 휴대전화 광고에 등장하면서 더욱 유명해졌다. 연화지는 제주에서 가장 큰 연못으로 꼽힌다. 연못 주변에 적수련꽃이 활짝 피어 화사함을 더하고 있다. ●‘한화 아쿠아플라넷 제주’ 오픈 亞 최대 아쿠아리움, 바다를 그대로 옮겨놓은 듯 지난 14일 서귀포 성산읍 섭지코지에 ‘한화 아쿠아플라넷 제주’가 문을 열었다. 연면적 2만 5600㎡(약 7800평)에 수조 용적량 1만 800t으로 일본 오키나와의 쓰라우미 아쿠아리움(1만 400t)을 제치고 ‘아시아 최대 아쿠아리움’ 자리를 꿰찼다. 서울 여의도의 ‘63 씨월드’ 등을 운영하는 한화호텔&리조트가 30년간 운영한 뒤 주무 관청에 기부채납한다. 전시 동물은 500여종 4만 8000마리다. 멸종 위기종인 고래상어 두 마리와 자이언트 그루퍼 등 수많은 해양 생물을 만날 수 있다. 특히 국내에서 고래상어를 볼 수 있는 곳은 여기뿐이다. 건물은 지하 1층, 지상 2층의 구조다. 아쿠아리움과 공연장인 오션 아레나, 해양과학관인 마린 사이언스, 센트럴코트 등으로 구성돼 있다. 외부 공간에는 담장이 없다. 섭지코지를 찾은 관광객들이 무시로 드나들 수 있다는 뜻이다. 필요에 따라 아쿠아리움 등 시설을 나눠서 둘러볼 수도 있다. 하이라이트는 지하 1층의 메인 수조 ‘제주의 바다’다. 가로 23m, 높이 8.5m인 수조는 아이맥스(IMAX) 영화를 보는 것 같은 바다 풍경을 눈앞에 펼쳐 놓는다. 수조에 담긴 물 6000여t은 여의도 63씨월드 전체 수조 6개를 합친 것과 같은 크기다. 강우석 관장은 “약 60㎝ 두께의 수조 아크릴판 제작비만 100억원”이라며 “제주 바닷물을 끌어들인 뒤 수조 위아래 물이 순차적으로 빠져나가도록 하는 게 필수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제주의 바다’에는 50여종의 대형 해양 생물이 산다. 그중 돋보이는 건 현존하는 어류 가운데 가장 크다는 고래상어다. 온열대 바다에 사는 고래상어는 몸길이 최대 18m, 무게 20~40t까지 자란다. 현재 전시된 고래상어는 5m 크기의 어린 녀석들로 애월읍 앞바다에서 포획된 것으로 알려졌다. 덩치에 어울리지 않게 크릴새우 등 작은 새우와 플랑크톤 등을 먹는데 한끼에 3~4㎏씩 모두 2회에 걸쳐 7~8㎏을 먹는다. 당연히 고래상어의 취식 장면도 볼거리다. 김우중 홍보팀장은 “수면 위에 크릴새우를 쏟아부으면 고래상어가 물 밑에서 몸을 일직선으로 세운 뒤 어마어마한 양의 바닷물과 먹이를 동시에 빨아들이는 방식으로 먹이를 먹는다.”며 “하루 두 차례 이들의 식사 장면을 볼 수 있다.”고 전했다. 관람료는 어른 3만 7500원, 중고생 3만 5100원, 초등학생 이하 어린이 3만 2600원이다. 글 사진 제주 손원천기자 angler@seoul.co.kr ●여행수첩 →가는 길: 하가리 마을은 제주공항→노형로터리→1132번 도로→하가리 표지석 좌회전→하가리 순으로 간다. 천지연 폭포는 서귀포항 뒤편에, 한화 아쿠아플라넷 제주는 섭지코지 바로 앞에 있다. →잘 곳: 럭셔리 캠핑 바람이 불고 있는 제주에 또 하나의 명물이 들어선다. 롯데호텔제주가 오는 8월 1일 호텔 내 300평 규모의 천연 잔디 정원에 최고급 캠핑 트레일러 6대를 도입한다. 차체 길이 11m, 높이 3m, 너비 2.4m에 달하는 대형 캠핑 트레일러로 고급 가구와 플레이스테이션 등을 갖췄다. 메뉴는 한우 꽃등심과 흑돼지 오겹살, 랍스타 등으로 구성됐다. 점심은 8만원(어른 기준), 저녁은 11만~12만원이다. 어린이 세트 메뉴는 4만~5만원(세금 별도)이다. (064)731-4261.
  • 몸길이 15cm… ‘몬스터 달팽이’ 침략’에 英 몸살

    몸길이가 15㎝가 넘는 ‘몬스터 달팽이’가 영국서 발견돼 네티즌들의 눈길을 사로잡고 있다. 영국 일간지 데일리메일의 보도에 따르면 데번주에 사는 돈 프록터는 최근 자신의 집 마당에서 몸길이 6인치의 대형 달팽이를 발견하고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프록터는 “아내가 어느 날 자신이 심어놓은 채소들에서 무엇인가에 뜯어먹힌 흔적들을 발견했지만 가족 모두 원인을 찾지 못했었다.”면서 “연일 쏟아진 비 때문에 습기를 머금은 토양이 달팽이 성장에 영향을 준 것 같다.”고 말했다. 데일리메일은 올 들어 영국 전역의 온화한 기후와 지난 5월의 이상더위, 최근 내린 비로 인한 습기가 많은 날씨 등이 달팽이 성장을 촉진시키고 개체수를 급증하는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영국 전국농민연합(National Farmers Union)의 조사에 따르면 1m²당 평균 1000마리의 달팽이를 관찰할 수 있으며 영국 전역에만 150만 마리의 달팽이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로 인한 농작물 피해도 상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국농민연합 대변인은 “‘달팽이 침략’이 가져온 피해가 매우 크다.”면서 “달팽이들은 하룻밤 새에 땅에 심은 밀 씨앗 50개가량을 씹어 먹을 수 있다.”면서 “달팽이 개체수가 급증한 것은 그다지 좋은 소식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개똥지빠귀나 찌르레깃과의 검은새 등 일부 조류에게는 반대로 희소식일 수 있다.”면서 “어미 새가 새끼에게 주는 먹이(달팽이)가 풍부해지면서 성체로 살아남는 새들이 늘고 있다.”고 덧붙였다. 송혜민기자 huimin0217@seoul.co.kr
  • 죽은 새끼 데리고 돌아가는 돌고래 포착 ‘뭉클’

    돌고래 한 마리가 죽은 새끼를 입에 물고 깊은 바다로 돌아가는 장면이 관광객들의 카메라에 포착돼 뭉클한 감동을 주고 있다. 지난 13일 중국의 한 인터넷 게시판에는 ‘사람을 감동시킨 돌고래’ 라는 제목의 사진 몇 장이 올라왔다. 사진을 올린 네티즌에 따르면 배를 타고 광시성의 바다를 관광하던 중 죽은 새끼 돌고래를 만났는데, 얼마 지나지 않아 큰 돌고래가 다가와 새끼를 머리에 얹고 깊은 바다로 돌아갔다는 것. 깊은 바다로 돌아가는 동안 새끼의 사체는 몇 번이고 큰 돌고래 머리에서 떨어졌지만, 큰 돌고래는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이를 보호하는 모습을 보여 보는 이들의 마음을 뭉클하게 했다. 큰 돌고래의 몸길이는 약 3m, 새끼 사체의 몸길이는 1.5m 가량이었으며, 새끼의 복부에는 약 30㎝가량의 상처와 혈흔이 남아있었다. 당시 돌고래조차 헤엄치기 어려울 만큼 파도가 강했지만, 큰 돌고래가 끝까지 새끼를 책임지는 모습을 본 사람들은 감동과 슬픔을 감추지 못했다. 이 해안가에서 약 60년 간 살아왔다는 한 노인은 “돌고래가 사람을 구한다는 이야기는 들어봤지만, 동족을 저렇게까지 아끼는 모습은 처음 봤다.”면서 “당시 이를 지켜본 많은 관광객들이 눈을 떼지 못하고 그 장면을 지켜봤다.”고 전했다. 네티즌들은 돌고래가 죽은 새끼를 데리고 심해로 돌아가는 모습의 사진에 “우리, 이제 집으로 돌아가자.”라는 제목을 붙이고 감동과 애도를 표하고 있다. 송혜민기자 huimin0217@seoul.co.kr
  • 전설의 괴물 ‘빅풋’ 흔적, 베트남서 발견

    전설의 괴물 ‘빅풋’ 흔적, 베트남서 발견

    초자연적인 현상을 카메라에 담는 외국의 한 TV프로그램이 베트남에서 전설의 괴물 ‘빅풋’(Bigfoot)을 연상케 하는 흔적을 찾아냈다고 주장해 눈길을 모으고 있다.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을 추적하는 미국 프로그램인 ‘데스티네이션 트루스’(Destination Truth)는 최근 진행자 조쉬 게이트와 취재진이 ‘베트남판 빅풋’으로 알려진 ‘바투툿’(Batutut)을 탐색하는 과정을 방영했다. 베트남과 라오스 등지의 신화·전설에 등장하는 바투툿은 주로 숲속에 살며, 사람과 매우 흡사한 외형을 가져 ‘동남아판 빅풋’으로 알려져 있다. 몸길이는 약 2m에 달하며 무릎과 손발, 얼굴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신체가 털로 뒤덮여있다. 털은 회색 또는 검은색, 갈색 등을 띠며 두 다리로 걷고 과일이나 날아다니는 파리 등을 잡아먹는다. 프로그램 팀은 열상 이미지(thermal imaging) 장비를 이용, 한밤중 전설의 생명체를 찾기 위한 탐사를 시작했다. 그 결과 깊은 산 속의 우거진 나무와 깊은 동굴 인근에 다다른 촬영팀은 동물의 것으로 보기 힘든 엄청난 크기의 발자국을 발견한 뒤 흥분을 감추지 못했다. 촬영팀이 실제로 바투툿을 목격하지는 못했지만, 현장에서 발견한 단서가 이전에 빅풋의 것으로 추정되는 발자국들과 매우 유사하다는 점에서 눈길을 끌기에 충분했다. 한편 바투툿과 유사한 전설의 빅풋은 미국·캐나다의 록키산맥에서 목격된다는 미확인 동물로, 몸집이 크고 털로 뒤덮여 있다고 알려져 있다. 사진=위는 ‘동남아판 빅풋’ 바투툿의 발자국으로 추정되는 흔적, 아래는 열감지 장비에 잡힌 미스터리 생명체 송혜민기자 huimin0217@seoul.co.kr
  • 몸길이 5.5m 초대형 악어vs영양 ‘서바이벌 전쟁’ 포착

    몸길이 5.5m 초대형 악어vs영양 ‘서바이벌 전쟁’ 포착

    몸길이가 5.5m에 달하는 초대형 악어가 자신의 몸집만한 영양과 결투를 벌이는 생생한 장면이 포착돼 네티즌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최악의 포식자’로 불리는 나일악어(Nile crocodile)는 아프리카 케냐의 마라강 표면에 ‘잠복’해 있다 풀을 찾아 이동하는 영양 무리 중 한 마리를 집중 공격했다. 이 악어는 거친 물살의 강을 건너는 어린 수컷 영양의 목덜미를 단번에 노렸으며 큰 몸집에서 나오는 엄청난 힘으로 먹이의 몸을 짓눌렀다. 나일악어는 아프리카악어라고 부르기도 하며, 하천이나 호수에 살면서 작은 물고기부터 큰 포유류를 먹거나 사람을 습격하기도 한다.다 자란 것은 몸무게가 1t에 이르기 때문에 얼룩말이나 물소 따위도 잡아먹는 등 아프리카 최강 포식자 중 하나로 꼽힌다. 동아프리카에서는 우기가 끝나는 5월에서 6월이면 습한 지역을 찾아 떠나는 영양 무리를 쉽게 볼 수 있다. 수 백 마일을 이동하던 중 나일악어 등 초대형 포식자의 공격을 받아 목숨을 잃기도 한다. 이를 포착한 뉴질랜드 출신의 사진작가 데이비드 로이드(41)는 “엄청난 몸집의 악어와 영양의 결투를 직접 본 뒤 놀라움을 감출 수 없었다.”면서 “영화 속 서바이벌전쟁을 보는 듯한 느낌이었다.”고 전했다. 사진=자료사진(나일악어) 송혜민기자 huimin0217@seoul.co.kr
  • 암컷 차지하려 ‘여장’하는 갑오징어 포착

    짝을 차지하기 위해 스스로 암컷으로 ‘변장’한 채 또 다른 수컷에게 혼란을 주는 갑오징어의 비상한 능력이 공개됐다. 호주 시드니 매쿼리대학교의 쿨럼 브라운 박사 연구팀 지난 6년 간 수컷 138마리를 포함한 갑오징어(cuttlefish) 그룹 108개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수컷 갑오징어는 자신의 피부 절반을 ‘변신’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것으로 확인했다고 전했다. 이 수컷 오징어는 암컷, 그리고 경쟁자인 또 다른 수컷과 함께 있으면 왼쪽에는 수컷만이 가진 선명한 줄무늬가, 오른쪽에는 암컷을 뜻하는 점박이 무늬가 나타난다. 특별한 피부 세포덕분에 ‘여장’이 가능한 이 수컷 오징어는 암컷의 피부를 드러내 잠재적인 경쟁 수컷들을 혼란스럽게 하는 한편, 환하게 빛나는 진짜 수컷의 피부로 다른 암컷들을 유인한다. 갈색 반점을 가진 암컷의 몸은 깊은 바다 속 배경에 가려 잘 보이지 않을 수 있지만, 수컷의 선명한 검은색과 흰색 줄무늬는 쉽게 암컷들의 눈길을 받을 수 있다. 몸길이는 약 15㎝정도이며, 이 갑오징어 수컷이 ‘여장’을 하고 나타나면 경쟁 수컷들이 모여 서로를 물어뜯거나 밀쳐내는 등 싸움을 벌인다. 브라운 박사는 “이러한 행동은 맹렬하게 암컷을 찾아 헤매는 다른 수컷들을 견제하기 위함이며, 수명이 비교적 짧은 동물들 사이에서 주로 나타나는 패턴”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암컷과 단 둘이 있거나 너무 많은 갑오징어들이 주위에 있으면 이 ‘능력’을 쓸 수 없다.”면서 “오직 한 두 마리의 경쟁 수컷들과 함께 있을 때에만 피부를 변화시키는 능력을 발휘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생물학 저널(journal Biology Letters)에 실렸으며 라이브사이언스 등 과학전문매체가 5일 보도했다. 송혜민기자 huimin0217@seoul.co.kr
  • 거대 뱀장어?…‘세계서 가장 이상한 고래’ 브리칭 포착

    ▶원문 및 사진 보러가기 마치 거대한 뱀장어처럼 몸이 매우 길쭉해 세계에서 가장 이상한 고래로 불리는 ‘브라이드 고래’의 모습이 카메라에 포착됐다. 4일(현지시각) 영국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브라이드 고래’는 뚜렷한 이유도 없이 방향을 바꾸는 이상한 행동을 해서 바다 위로 뛰어올라 수면을 때리는 ‘브리칭’ 동작을 카메라로 촬영하기가 매우 어렵다. 하지만 캐나다의 사진작가 앤디 머치(45)는 최근 이 같은 ‘브라이드 고래’의 멋진 모습을 카메라에 담는 데 성공했다. 공개된 사진은 멕시코 라파스 앞 코르테즈 해의 보트 위에서 촬영된 것으로, 고래의 길고 길쭉한 몸통이 브리칭 당시 고래를 하늘로 솟아오른 거대한 뱀장어처럼 보이게 했다. ‘브라이드 고래’의 몸길이는 보통 12m 정도이나 최대 14m에 이른다고 알려졌다. 머치는 “고래들이 보트 밑에서 빠르게 헤엄치다가 그중 한 마리가 브리칭을 시도했다.”고 말했다. 이어 머치는 “고래 한 마리가 보트의 움직임이 만든 수압을 즐기는 듯 보였다.”면서 “1~2분 정도 보트를 뒤따르다가 우측에서 갑자기 브리칭을 시도한 뒤 사라졌다.”고 덧붙였다. ‘브라이드 고래’는 수염고래과에 속하며 다른 수염고래들처럼 플랑크톤이나 갑각류, 물고기 떼를 큰 입으로 빨아들여 먹는다. 이들은 다른 수염고래들처럼 열대에서 아열대 해양에 주로 서식해 대서양과 태평양, 인도양 등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또한 이들 고래는 단독 또는 쌍을 이뤄 다니는 것이 일반적이며 먹이를 먹는 해역에서는 20여 마리의 무리를 이루는 때도 있다. 한편 ‘브라이드 고래’는 지난 1908년 노르웨이의 포경업자 요한 브라이드가 남아프리카공화국 앞바다에서 발견해 그의 이름을 따 명명됐다. 윤태희기자 th20022@seoul.co.kr
  • 개미 머리 파먹고 사는 ‘초소형 파리’ 최초 발견

    태국에서 소금 알갱이보다 작은 초소형 파리가 발견됐다고 디스커버리뉴스 등 해외언론이 3일 보도했다. 몸길이가 0.4㎜에 불과한 이 파리(학명 Euryplatea nanaknihali, 벼룩파리과)는 집파리의 15분의 1, 초파리의 5분의 1크기여서 육안으로 관찰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 파리는 개미의 몸 안에 알을 낳으며, 알에서 깨어난 유충은 개미의 몸과 체액을 빨아먹으며 성장한다. 성장 과정에서 개미의 머리로 올라가 뇌까지 모두 먹어치운 뒤 떨어져 나간 머리에서 다시 번데기 형태로 돌아가 개미의 몸에 기생하며 성장한다. 이번 발견은 매우 작은 곤충도 기생충의 사냥감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특히 이 파리는 크기가 불과 0.5㎜밖에 되지 않는 개미의 머리를 뚫고 나와 죽음에 이르게 하는 섬뜩한 기생충이다. 미국 LA카운티 자연사박물관의 브라이언 브라운 박사는 “이전까지는 몸집이 가장 작은 곤충 중 하나인 개미는 주위 환경으로부터의 공격을 용케 피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겼지만, 더 작은 호스트 기생의 공격은 피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파리들은 아마 세계에서 가장 작은 크기의 개미도 머리를 잘라 죽일 것”이라면서 “파리의 숙주가 되는 개미의 몸집이 작아지면서 파리의 크기도 매우 작게 변화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곤충학회지(Annals of the Entomological Society of America)최신호에 실렸다. 송혜민기자 huimin0217@seoul.co.kr
  • 98% 완벽 보존된 ‘아기 공룡’ 화석 공개

    독일에서 척추 뼈 하나까지 완벽하게 ‘살아있는’ 새끼 공룡의 화석이 공개돼 학계의 관심을 한 몸에 받고 있다. 1억 3500만년 전 유럽에서 살았던 것으로 추정되는 이 공룡의 화석은 지난 2009년 독일 남부의 한 채석장에서 발견됐으며 보존 비율이 98%에 달해 학자들을 놀라게 했다. 이 화석의 주인 이름은 시우루미머스(Sciurumimus)로, 육식성에 두발로 보행한 수강아목의 공룡으로 추정된다. 몸에 난 잔털까지 확인할 수 있는 만큼, 유럽에서 발견한 공룡화석 중 가장 완벽한 보존 상태를 보인 이 공룡은 몸길이가 72㎝에 불과하며 생김새는 티라노사우르스와 유사하다. 알에서 깨어난 지 1년 정도 후에 죽었으며, 큰 두개골과 안쪽으로 숨겨진 짧은 다리, 부드러운 피부가 특징이다. 크게 벌리고 있는 입 사이로 작고 날카로운 이빨이 보이며, 긴 꼬리와 배 등을 보아 온 몸이 털로 뒤덮여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를 발견한 독일 바이에른 고생물·지질학 수집연구소의 올리버 라후트 박사 연구팀은 “지금까지 가장 완벽하게 보존된 티라노사우르스의 화석 보존비율은 80%정도였지만, 이 화석은 98%에 달한다.”면서 “몸에 난 털로 보아 실러러소르(coelurosaurs)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새의 조상으로 여겨지는 작은 공룡인 실러러소르는 티라노사우르스 등 육식 공룡으로부터 진화했으며, 몸에 난 털이 훗날 새의 깃털로 진화했다고 알려져 있다. 라후트 박사는 “이 화석의 발견은 고생물학적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가치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 화석과 관련한 연구결과는 미국국립과학학술원회지(PNAS·Proceeding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 최신호에 실렸다 송혜민기자 huimin0217@seoul.co.kr
  • 콩고괴물 ‘모켈레 므벰베’ 실존?…美탐사대 전격 파견

    콩고괴물 ‘모켈레 므벰베’ 실존?…美탐사대 전격 파견

    미국의 탐험가들이 중앙아프리카 콩고에 산다고 알려진 괴물 ‘모켈레 므벰베’를 찾아 나선다고 지난달 30일 영국 일간 메트로가 전했다. ‘모켈레 므벰베’는 지난해 초 국내 공중파 방송사의 한 프로그램에서도 ‘오지의 괴물’이란 주제로 소개된 바 있다. 이 괴물은 콩고강 상류분지에 있는 텔레호라는 호수에서 목격된 것으로 알려져 ‘텔레호의 괴물’로도 알려졌다. 원주민들의 이야기에 의하면 ‘모켈레 므벰베’는 오늘날까지 살아남은 초식 공룡이거나 커다란 왕도마뱀으로도 추정되고 있다. 만약 ‘모켈레 므벰베’가 공룡이 아니라도 그 괴물의 몸길이는 9m 이상으로 전해지고 있어, 왕도마뱀이라면 세계에서 가장 큰 코모도왕도마뱀보다도 클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하지만 소문만 무성할 뿐 정작 ‘모켈레 므벰베’에 대한 명확한 증거는 찾지 못했다. 이는 콩고 국토의 80%가 여전히 미개척지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신비한 전설에 주목한 미국의 탐험가 조 마레로(28)는 탐사대 리더 스티븐 맥컬라(21), 생물학자 샘 뉴턴(22)과 함께 이달 콩고의 수도 브라자빌에 도착, 오지 탐험에 나설 예정이다. 이에 대해 탐사대 대변인은 “우리는 촬영장비와 함께 총기를 소지할 계획이다. 총기 없이 오지를 여행하는 것은 현명하지 못하다.”면서 “모켈레 므벰베와 또 다른 미지의 종을 찾기 위해 3개월간 정글을 탐험할 것이며 많은 식량을 지참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모켈레 므벰베’에 대한 이야기는 지난 1976년 악어 연구가 제임스 파월 박사가 콩코의 한 원주민에게서 듣고 세상에 알려졌다. 이후 이 괴물을 찾기 위해 많은 탐험가가 콩고를 찾았고 마셀린 아냐냐 박사가 텔레호수 위에 모습을 드러낸 그 괴물을 목격한 적 있다고 전해졌다. 사진=모켈레 므벰베 이미지 윤태희기자 th20022@seoul.co.kr
  • 해안가 고래 공격하는 100마리 상어떼 포착

    해안가 고래 공격하는 100마리 상어떼 포착

    해안가로 떠밀려 온 고래를 공격하는 100여 마리의 무시무시한 상어떼가 포착됐다. Sharks attack whale from Rachel Campbell on Vimeo. 22일(현지시각) 영국 데일리메일 보도에 따르면 최근 호주 북서부 와룰라 역 인근 해변에서 고래 사체를 무자비하게 뜯어먹는 100여 마리의 상어떼가 한 서퍼의 카메라에 촬영됐다. 서퍼 레이첼 켐벨은 자신의 블로그를 통해 “모친과 함께 해변을 따라 걸으며 조개를 줍고 있었다.”면서 “불과 400m 앞에 무언가 우글대는 무시무시한 장면을 보고 깜짝 놀랐었다.”고 회상했다. 공개된 영상을 보면 거의 해안 끝자락까지 밀려온 거대한 고래 주위로 등지느러미만 수면 밖으로 나온 상어떼가 주위를 헤엄치고 있다. 고래가 상어의 공격에 상처를 입고 해안가로 떠밀려 왔는지 수명이 다해 좌초된 것인지 알려지지 않았지만 얕은 바닷물까지 달려드는 상어떼의 모습은 그야말로 무시무시해 보인다. 또한 이를 지켜보던 한 여성은 상어떼가 몰려 있는 곳으로 가까이 접근했다가 이내 자리를 피한다. 이에 대해 레이첼은 “상어떼는 신선한 고래 고기를 먹는데 거의 미쳐 있었다.”면서 “우리는 상어를 잘 알고 있기에 공격 범위를 벗어나 있었다.”고 말했다. 상어는 이처럼 죽은 먹이를 먹을 때 서로 처음 본 사이라도 가장 커다랗고 힘이 센 녀석부터 서열을 지켜가며 먹이를 먹는 것으로 알려졌다. 레이첼의 설명을 따르면 대부분 뱀상어로 보이는 30여 마리의 상어가 죽은 고래와 불과 몇 피트 떨어진 곳에서 유영하고 있으며 몇 마리는 고래를 뜯어 먹고 있었다. 또한 전체적으로 100여 마리가 넘는 상어가 해안가로 몰려들었는데 이들의 몸길이는 대략 4m에 육박했다고 한다. 한편 좌초된 고래를 따라 상어떼가 출몰한 와룰라 해변은 풍광이 뛰어나 서퍼들 사이에서 유명한 곳으로 알려졌다. 사진=데일리메일 캡처 윤태희기자 th20022@seoul.co.kr
  • 곰 먹는 그린란드상어, 세상에서 가장 느린 물고기?

    북극곰까지 잡아먹는다고 알려진 그린란드상어가 세상에서 가장 느리게 헤엄치는 물고기로 밝혀졌다. 일본과 노르웨이 극지연구소, 캐나다 윈저대학 공동 연구진은 그린란드상어가 세상에서 가장 느린 어류인 개복치보다 유영 속도가 느리다고 8일 국제적인 해양과학지 ‘실험 해양생물학 및 생태학 저널’(JEMBE)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지난 2009년 6월 노르웨이 앞 북극해에서 몸길이 3m 안팎에 체중 204~343kg인 그린란드상어 6마리를 포획해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장치를 부착한 뒤 다시 풀어주고 24시간 동안 헤엄치는 속도를 조사했다. 그 결과, 그린란드상어의 평균 유영 속도는 초속 34cm(시속 약 1.2km) 정도로 나타났으며, 이는 우리 인류가 태어나 걸음마를 시작할 때의 속도라고 한다. 가장 빨랐던 상어의 속도도 시속 2.6km 정도밖에 나타나지 않았다. 또 이 상어가 유영 시 꼬리지느러미를 움직이는 속도를 데이터로부터 추정하면 좌우로 한 차례 왕복하는데 무려 7초나 걸렸다고 한다. 이러한 수치를 신체의 크기와 체중 비율, 종류(계통)의 차이 등을 고려해 타 어류와 비교하면 기존에 알려진 청어와 연어, 대구, 넙치, 개복치, 철갑상어, 그리고 다른 상어들보다도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에 참여한 일본극지연구소의 와타나베 유우키 조교수에 따르면 동물 근육의 수축 속도는 온도의 저하와 함께 급격히 느려진다. 와타나베 조교수는 “북극해 찬물의 영향으로 꼬리지느러미의 움직임이 둔해지는데 이에 따라 수영 속도도 떨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면서도 “이상한 점은 이 ‘세상에서 가장 느린 물고기’가 헤엄치는 속도가 빠른 포유류인 바다표범을 덮쳐 먹는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와타나베 조교수는 “북극의 물개는 북극곰을 피하려고 물 위에서도 잘 수 있다.”면서 “이때를 노려 그린란드상어가 바다표범에 접근해 덮치는 방식으로 사냥했을지도 모른다.”고 덧붙였다. ▶200년 사는 심해 그린란드상어 기사 보러가기 윤태희기자 th20022@seoul.co.kr
  • 동족 새우 잡아먹는 팔뚝 만한 거대 ‘괴물 새우’ 충격

    최근 미국언론이 ‘아시아의 침공’(?)으로 호들갑을 떨고 있다. ‘침략자’는 다름아닌 새우다.지난 15일(현지시간) 뉴욕데일리뉴스는 “멕시코만과 남대서양 인근 해역에 거대 새우가 등장해 동족 새우는 물론 작은 게 까지 닥치는 대로 먹어치우고 있다.”고 보도했다. 언론이 밝힌 이 새우의 이름은 ‘아시안 타이거 새우’(Asian Tiger shrimp). 몸통에 호랑이 처럼 줄무늬가 있어 타이거라는 이름이 붙었다. 호주 해역 인근을 고향으로 하고 있는 이 새우는 몸길이가 무려 30cm에 육박해 미 해역의 동족 새우는 물론 굴, 게 등 자기 몸집보다 작은 것은 모두 먹어치우며 토종들의 씨를 말리고 있다. 급기야 미국 언론들은 ‘아시아의 침공’이라는 거창한 제목까지 달며 이를 부각시키고 있는 것. 미국 해양 대기 관리처 해양 생태학자 제임스 모리스는 “이 괴물 새우가 우리의 해양 생태계를 파괴하고 있다.” 면서 “식욕과 번식력도 너무나 왕성하다.”고 밝혔다. 결국 현지 해양 생물학자를 중심으로 이 새우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됐다. 미국 해양 대기 관리처 측은 “아직 이 새우를 미국의 새로운 새우 종으로 포함할 지 결정하지 못했다.” 면서 “보다 많은 연구를 위해 이 새우를 잡은 사람들은 냉동 후 연구소에 보내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 블랙 드래곤피시 등 ‘심해 괴생물’ 대거 발견

    뉴질랜드 심해에서 블랙 드래곤피시 등 잠재적 신종 생물이 대거 발견됐다. 14일 미국 내셔널지오그래픽 뉴스는 뉴질랜드 수자원 대기 연구소(NIWA)가 최근 3주간에 걸쳐 뉴질랜드 북부 케르마데크 해령 일대를 탐사한 결과 심해생물을 대거 발견했다면서 16종의 생물을 공개했다. 탐사대는 해저 화산이 많은 케르마데크 해령 4곳의 심해 지역(약 1만 ㎢)을 3주간에 걸쳐 조사하고 다양한 생물의 모습을 기록했다. 해저에는 산맥과 대륙 사면, 협곡이 펼쳐져 있으며 다수의 열수 구멍에서는 화산으로부터 열수와 가스가 방출되고 있었다. 탐사대를 이끈 생물학자 말콤 클락 박사는 “이번 탐사를 통해 자루 따개비와 거대 홍합 등 기존 종 이외에 잠재적 신종도 여럿 발견했다.”면서 “이 4곳의 심해 영역에는 다양한 생물 군집이 서식하는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지만 이번 조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클락 박사는 “이번 탐사는 어느 정도 눈으로 접할 기회가 적어 관심 밖이었던 심해를 좀 더 조명하기 위한 것”이라면서 “저인망 어업이나 광물 채굴 같은 인간 활동에 의한 심각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도 어떤 생물이 살며 그들이 환경의 변화로부터 받는 영향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다음은 케르마데크 해령 일대에서 발견된 심해 생물들이다. ▲다모류(Polychaete Worm) 이 생물은 수심 약 1200m의 진흙 바닥에서 발견됐다. 무지개색으로 빛나는 몸통과는 대조적으로 입가는 사나운 육식 동물 그 자체로, 마치 영화에 등장하는 외계 생물을 연상시킨다. ▲새우아재비과(Uroptychus Squat Lobster) 수심 650~1400m에서 발견된 새우아재비과 동물(Uroptychus). 이전부터 확인되고 있지만, 아직 정식으로 신종 인정을 받지 못했다. 심해의 새우아재비는 거의 산호 근처에 서식한다. 이번에도 대나무 산호에 붙어 있었다고 한다. ▲뱀거미불가사리(Snake Stars) 6개의 발을 사용해 산호에 붙어 사는 뱀거미불가사리 일종(학명: Asteroschema bidwillae). 뉴질랜드 북부 해안, 수심 약 12​​00m에 있는 탄가로아 해산에서 발견됐다. ▲귀오징어(Mickey Mouse Squid) 수심 약 900m 계곡 사면에서 발견된 귀꼴뚜기과. 이 생물은 몸이 약해 양호한 상태로 채취한 것은 드물다고 한다. ▲털 게(Hairy Crab) 뉴질랜드 바다의 수심 900m 해산 정상 부근에 있는 바위에 서식하는 작은 게(학명: Trichopeltarion janetae). 2008년 처음 발견된 털난 게는 뉴질랜드와 호주 남부 해역 해산에 살고 있다고 한다. ▲블랙 드래곤피시(Black Dragonfish) 해령에서 발견된 블랙 드래곤피시 암컷. 이디아칸서스(Idiacanthus) 속의 잠재적 신종으로, 작은 물고기를 먹이로 하는 무서운 육식동물이다. 암컷은 몸길이 50​​cm에 달하지만, 수컷은 10cm 미만이다. 흥미롭게도 수컷은 이빨과 소화 기관이 퇴화돼 있어 생식을 끝내면 죽는 종도 있다고 한다. 윤태희기자 th20022@seoul.co.kr
  • “3억년 전 상어가 인류로 진화했다”

    ▶원문 및 사진 보러가기 인류가 약 3억년 전 바다를 배회한 선사시대 상어로부터 진화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13일(현지시각) 영국 데일리메일이 보도했다. 세계적인 과학지 네이처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아칸토데스 브론니(이하 아칸토데스·Acanthodes bronni)라는 학명을 지닌 원시 어류가 인류를 포함한 지구 상의 모든 유악류(턱이 있는 척추동물)의 공통 조상이다. 미국 연구진은 2억 9000만년 전의 아칸토데스 두개골을 재 분석한 결과, 어류와 조류, 파충류, 포유류, 그리고 인류가 해당하는 유악류의 초기 모습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리스어로 ‘가시를 가진’이란 의미를 지닌 아칸토데스는 최초의 경골어강과 연골어류에 속하는 원시 상어로 분할되기 이전에 존재한 종이다. 아칸토데스의 화석은 유럽과 북미, 그리고 호주 일대에서 발견되고 있다. 다른 가시를 가진 상어(극어류)와 비교할 때 이 상어는 몸길이가 약 30cm 정도로 상대적으로 크다. 아칸토데스는 이빨이 없는 대신 아가미와 커다란 눈을 갖고 있으며 플랑크톤을 먹고 살았다. 연구를 이끈 마이클 코츠 시카고대학 교수는 “예기치 않게도 아칸토데스가 경골어강과 연골어류에 속하는 상어의 마지막 공통 조상의 조건을 가장 잘 갖추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말했다. 오늘날의 상어와 은상어, 그리고 가오리와 같은 연골어류는 약 4억 2000만년 전 경골어강에서 갈라졌다. 하지만 인류가 포함된 최후의 공통 조상이 어떻게 생겼는 지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이 극어류는 약 2억 5000만년 전까지 나타났으며 일반적으로 화석에는 작은 비늘과 정교한 가시 지느러미 만이 남겨진다. 이에 대해 연구진은 초기 경골어강과 상어가 어떻게 생겼는 지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얻기 위해 가장 보존이 잘된 아칸토데스의 화석을 재조사했다. 코츠 교수는 “아칸토데스가 특히 해부학적으로도 매우 풍부한 정보를 갖고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면 두개골 조사를 하길 원했었다.”면서 “이는 모든 새로운 맥락을 설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태희기자 th20022@seoul.co.kr
  • 혀가 키보다 1.5배 긴 희귀 박쥐, 초근접 포착

    혀가 자신의 키보다 1.5배나 긴 희귀 박쥐가 꿀을 빠는 모습이 고해상도(HD) 카메라에 초근접 촬영됐다. 지난 2005년 에콰도르 안데스 지역 운무림에서 첫 발견된 이 박쥐는 학명 ‘아노우라 피스툴리타’로 몸길이는 6cm 정도지만 혀 길이는 9cm나 돼 신장 대비 가장 긴 혀를 가진 포유류다. 인간으로 치면 혀의 길이가 3m가 넘는 셈. 이 박쥐는 ‘켄트로포곤 니그리칸스’라는 학명을 가진 도라짓과 식물의 꽃에서 꿀을 빨 때 자신의 혀를 사용한다. 이때가 아니면 평소 혀는 몸속으로 넣고 있다. 이번 촬영을 주도한 미국 네브래스카대학 링컨캠퍼스의 생물학자 네이선 머찰라 박사는 “이 박쥐는 공중에 정지할 수 있다. 그런 면에서는 벌새를 닮았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촬영된 고화질 영상을 보면 이 박쥐는 공중에서 날갯짓을 하며 꿀을 핥아 먹는다. 확대된 영상을 보면 박쥐의 혀가 긴 통 모양의 꽃 속으로 뱀처럼 미끄러지듯 내려간다. 혀가 꽃 밑동에 쌓인 꿀에 도달하면 그 끝은 머리카락처럼 많은 돌기를 가진 구조로 신속하게 변한다. 이에 대해 머찰라 박사는 “이 박쥐의 혀는 바닥에 닿기 직전 수평으로 뉘여져 마치 걸레처럼 바닥을 닦아내듯 가능한 많은 꿀을 훑어낸다.”고 밝혔다. 특히 이 통 모양의 꽃은 이 긴 혀를 가진 박쥐에 의해서만 수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쥐가 꿀을 핥는 동안 꽃가루가 머리털에 붙어 그다음 꿀을 빨기 위해 찾아간 꽃에 전달되기 때문이다. 머찰라 박사는 “꽃의 관이 길면 길수록 박쥐는 꿀을 핥는 동안 머리를 꽃에 단단히 고정한다.”면서 “이 두 생물이 서로 경쟁하듯 길이를 늘여 공(共)진화 상태에 접어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이 영상은 미국 내셔널지오그래픽 채널의 다큐멘터리 시리즈인 ‘언테임드 아메리카즈’에서 방영될 예정이다. 윤태희기자 th20022@seoul.co.kr
  • [환경플러스] 덕유산 ‘금강모치’ 보호 캠페인

    국립공원관리공단은 깃대종으로 지정된 금강모치 보호를 위해 외래 어종 퇴치 작업과 치어 3000마리 방사를 할 계획이다. 깃대종이란 국립공원별로 생태·지리·문화적 특성을 살려 보호하고 있는 야생 동식물을 말한다. 금강모치는 한강과 임진강의 최상류 지역, 북한의 대동강과 압록강 등에 분포한다. 산소가 풍부하고 수온이 낮은 물속에서만 서식해 2010년에 기후변화 생물지표종으로 지정됐다. 덕유산 구천동계곡에서 금강모치의 서식을 위협하는 가장 큰 천적은 무지개송어와 산천어 등 어린 금강모치를 잡아먹는 외래 어종이다. 공단은 포식자를 퇴치하기 위해 작살과 투망을 이용한 포획 작업에 돌입했다. 또 금강모치 개체 수를 늘리기 위해 무주군과 함께 치어 3000마리를 10월경 방사할 예정이다. 금강모치는 잉어과에 속하며 몸길이 7~8㎝로 등지느러미 아랫부분에 검정색 반점이 있다. 주로 물속의 작은 곤충이나 갑각류, 동물성 플랑크톤을 먹고 사는데 1급수를 나타내는 지표종이다.
  • 日방사능 오염 참다랑어 美서 발견

    미국 서부 태평양에서 잡힌 참다랑어가 지난해 3월 일본 후쿠시마 원전에서 누출된 방사능에 오염된 것으로 밝혀졌다. 방사능 물질이 참치에 의해 멀리 이동한 첫번째 사례로 기록됐다. 미국 스토니브룩스대 연구진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 5개월 뒤인 지난해 8월 샌디에이고 부근 해역에서 잡힌 참다랑어 15마리를 조사한 결과 모두 체내 함유 세슘-134와 세슘-137 수치가 전년보다 10배가량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고 28일 미국립과학원회보(PNAS)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이는 미국과 일본 정부가 정한 식품 안전 기준치보다는 훨씬 낮은 것으로 사람이 먹어도 인체에 해를 끼칠 수준은 아니다. 태평양 참다랑어는 몸길이 3m, 무게 450㎏까지 나간다. 이들은 일본 근해에서 산란하고 동쪽으로 이동해 미국 캘리포니아주와 멕시코 바하 칼리포르니아주 근해의 무리에 합류한다. 학자들은 몸집이 큰 참치가 물질대사로 방사능을 제거할 수 없었던 것에 놀라움을 표했다. 연구진은 참다랑어 몸에서 나온 방사능 물질을 비교하기 위해 후쿠시마 사고 이전에 캘리포니아 남부로 이동한 참다랑어를 잡아 분석했다. 그 결과 세슘-134 성분은 검출되지 않았고 1960년대 이후 두 차례 실시된 핵무기 시험의 잔류물인 세슘-137이 바탕준위(background level)로 검출됐을 뿐이다. 우즈홀 해양연구소 관계자는 “이 방사능의 출처는 의심의 여지 없이 후쿠시마”라고 말했다. 연구진은 참다랑어들이 방사능에 오염된 해역의 크릴 새우나 오징어 등을 잡아먹으면서 방사능 세슘을 흡수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이기철기자 chuli@seoul.co.kr
  • 몸길이 25㎝ ‘몬스터 쥐’ 희귀 조류 학살 충격

    몸길이 25㎝ ‘몬스터 쥐’ 희귀 조류 학살 충격

    몸길이가 약 25㎝에 달하는 대형 쥐들이 섬의 희귀 조류들을 ‘학살’하고 있다는 주장이 나와 충격을 주고 있다. 영국 일간지 데일리메일의 25일자 보도에 따르면, 세계에서 가장 큰 물새들의 집단 서식지로서 1995년 유네스코가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한 남대서양 아프리카 남쪽의 고프섬(Gough Island)의 생태계는 일명 ‘킬링 쥐’또는 ‘몬스터 쥐’로 불리는 동물군에 의해 위협을 당하고 있다. 고프섬에는 약 1000만 마리의 새가 살고 있으며 이중 20종은 희귀종으로 알려져 있지만, 150여년 전 이 섬에서 서식하기 시작한 ‘킬링 쥐’는 매년 125만 마리에 달하는 새끼새를 ‘학살’하고 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대학의 로스 원레스 박사는 내셔널지오그래피와 한 인터뷰에서 “이 섬은 매우 귀중한 조류들이 수없이 서식하고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곳이지만 현재는 ‘킬링 쥐’에 의해 심각한 위험에 처해있다.”면서 “‘킬링 쥐’가 고프섬 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에도 해를 끼치고 있는 실정”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쥐 한 마리가 혼자 바다제비속 새끼 6마리를 먹어 치우는 것을 보기도 했다.”면서 “새끼 새들이 대형 쥐의 습격으로 죽고 있으며 다 큰 새 역시 생존율이 점차 낮아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원레스 박사 연구팀은 고트섬의 미래를 컴퓨터로 시뮬레이션 해 본 결과 이 같은 상황이라면 섬의 미래는 더욱 암담해질 것이라며, 당장 쥐들을 몰살할 수 있는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송혜민기자 huimin0217@seoul.co.kr
  • ‘악어를 한입에’ 초대형 고대거북 발견

    ▶원문 및 사진 보러가기 약 6000만년 전 남미 일대에 초대형 고대 거북이 존재했던 것으로 확인돼 화제가 되고 있다. 17일(현지시간) 과학전문매체 사이언스데일리에 따르면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 연구진이 지난 2005년 콜롬비아 석탄광산에서 발굴한 화석은 거대 거북의 것이었다고 고생물분류학 저널에 발표했다. 이 고대 거북은 세레존 지층에 있던 한 탄광에서 발견됐다 하여 ‘석탄 거북(coal turtle)’이라는 의미로 학명은 카보너미스 콘프리니(Carbonemys cofrinii)로 명명됐다. 석탄 거북은 약 24cm 너비 두개골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미식 축구공 크기 정도로 매우 크다. 또한 등껍질 폭 역시 172cm에 달해 완벽하게 복원할 시 소형차 이상의 몸집을 갖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연구진은 이 석탄 거북이 가로목거북에 속한다고 밝혔다. 가로목거북은 일반 거북과 달리 머리를 등껍질 안으로 집어넣는 대신 양옆으로 목을 꺾는 특징이 있다. 이 거북의 조상은 공룡들이 활동했던 시기에도 존재했으나, 거대화된 석탄 거북은 공룡이 사진지 500만년 후에나 출연한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이 거북의 천적은 거의 없었으며 커다란 몸집답게 식욕 또한 엄청났을 것이라고 연구진을 보고 있다. 연구진의 댄 크셉카 박사는 “석탄 거북은 아주 강력하고 큰 턱을 갖고 있어 달팽이를 포함한 연체동물부터 작은 거북이나 심지어 악어까지도 잡아먹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 거대 고북은 호수 한가운데 살면서 먹이를 놓고 경쟁하는 주변 생물들을 모조리 잡아먹음으로써 생존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그는 그 증거로 주변에 비슷한 크기의 거북이가 발견되지 않았다는 점을 들었다. 이는 한 서식처에 여러 마리의 석탄 거북이 있었다면 먹이 경쟁으로 인해 생존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연구진은 석탄 거북이 거대한 몸집을 가질 수 있었던 배경으로 풍부한 먹이와 적은 포식자, 넓은 서식지, 기후 변화 등을 꼽았다. 한편 지금까지 알려진 세계에서 가장 큰 거북은 몸길이는 약 2.74m, 무게는 약 914kg이었다. 윤태희기자 th20022@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