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몸길이
    2025-07-10
    검색기록 지우기
  • 총기 사고
    2025-07-10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2,182
  • 고래 사체 뜯어먹는 백상아리 무리 포착

    고래 사체 뜯어먹는 백상아리 무리 포착

    고래 사체를 뜯어먹는 백상아리 무리의 모습이 포착돼 눈길을 끈다. 지난 3일(현지시간) 호주 언론 시드니모닝헤럴드가 기사와 함께 공개한 영상에는 뉴사우스웨일스주 콥스하버 연안에서 죽은 향유고래를 뜯어먹는 백상아리의 모습이 담겨 있다. 영상을 촬영한 브레트 베르코이에 따르면, 몸길이 약 4.2에서 4.5미터에 이르는 백상아리 다섯 마리는 물 위로 떠오른 거대한 몸집의 향유고래를 3시간 동안 천천히 먹어치우는 여유를 보여줬다. 베르코이는 “믿을 수 없는 광경이었다. 정말 손에 땀을 쥐게 했다”며 당시 목격담을 전했다. 지난 3일 유튜브에 올라온 해당 영상은 현재 141만 건이 넘는 조회 수를 기록하고 있다. 사진·영상=Brett Vercoe/유튜브 영상팀 seoultv@seoul.co.kr
  • 두꺼비 수천마리 中도심 출현…자연재해 전조?

    두꺼비 수천마리 中도심 출현…자연재해 전조?

    중국 하얼빈의 한 도심 도로에 두꺼비 수 천 마리가 갑자기 모습을 드러낸 가운데, 지역 주민들은 자연재해의 징조가 아니냐며 두려움에 떨고 있다고 현지 언론이 보도했다. 하얼빈신원망 등 현지 언론의 12일자 보도에 따르면 지난 11일 오전 10시 경 하얼빈의 한 도로 위로 갑자기 두꺼비떼 수 천 마리가 뛰어올랐다. 몸길이가 불과 5㎝ 정도인 이 두꺼비들은 보도블럭 너머 차들이 쌩쌩 지나다니는 차도까지 넘어왔고, 이들 상당수는 미처 피하지 못한 자동차에 깔려 죽기도 했다. 몸집이 매우 작은 이 두꺼비들은 평소 이 지역에 서식해오다 이날 오전 비가 그치자마자 도로로 모습을 드러내 주민과 운전자들을 놀라게 했다. 주민뿐만 아니라 도로를 지나던 운전자들이 차를 세우고 이를 넋 놓고 바라봤을 정도로 수많은 두꺼비 무리가 도로를 ‘점령’했고 이 수는 수 천 마리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지역에 오랫동안 거주한 한 주민은 “살면서 이런 장면은 처음 본다. 발에 치일 정도로 많은 두꺼비떼가 몰려나왔다”면서 “혹시 자연재해의 징조가 아닌지 모두들 염려하고 있다”고 전했고 또 다른 주민은 “날씨가 갑자기 더워지면서 수온이 상승했는데, 물이 마르면서 먹이가 없어져 도로로 나온 것이 아닌가 추측된다”고 전했다. 실제로 7만 명이 넘게 희생된 2008년 쓰촨대지진 당시, 지진 발생 직전 두꺼비들이 떼로 출몰했다는 목격담이 나왔고, 영국 생물학자 레이첼 그랜트 박사는 연구를 통해 “두꺼비가 지진을 알리는 전조 동물”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주민들의 우려가 깊어지는 가운데 현지 전문가들은 “기후변화가 두꺼비 떼 출몰의 원인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동북임업대학 야생동물자원과의 왕화이 교수는 현지 언론과 한 인터뷰에서 “자연재해 전조가 아닌 기후 변화로 인한 현상 같다”면서 “현재 이곳 환경이 두꺼비가 생존하기에 적합하지 않게 변하자 ‘대규모 이주’를 하려 한 것으로 추측된다”고 설명했다.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
  • 울타리에 끼인 채 죽은 ‘긴부리꼬치고기’ 발견

    울타리에 끼인 채 죽은 ‘긴부리꼬치고기’ 발견

    9일(현지시간) 온라인 미디어 더 도도(The Dodo)는 지난 5월 25일 발생한 미국 텍사스주의 홍수로 인해 댈러스 트리니티 강 철조망에 끼인 채 죽은 ‘긴부리꼬치고기’가 발견됐다고 보도했다. ‘긴부리꼬치고기’는 과학자이자 내셔널 지오그래픽 탐험가 안드레스 루조(Andrés Ruzo)에 의해 포착됐다. 2피트(약 61cm) 길이의 ‘긴부리꼬치고기’는 홍수로 인해 강이 범람해 수위가 상승하자 강 철조망에 끼인 채 죽음을 맞이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긴부리꼬치고기’는 몸길이 최대 1.75m까지 자라는 대형 민물고기로 다이아몬드 모양의 단단한 비늘과 긴 부리에 큰 이를 가지고 있다. 1억 년 전부터 지구에서 생존해 살고 있는 살아있는 화석으로도 유명하다. 사진= Andrés Ruzo / National Geographic 영상팀 seoultv@seoul.co.kr
  • 형형색색 무지개 빛깔 내뿜는 혹등고래

    형형색색 무지개 빛깔 내뿜는 혹등고래

    물과 함께 형형색색의 무지개를 내뿜는 혹등고래의 모습이 포착돼 화제가 되고 있다. 8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폭스뉴스에 따르면, 이 진귀한 장면은 마크 지라도(Mark Girardeau)란 남성이 드론 카메라를 이용해 지난 5일 캘리포니아주 남부의 뉴포트비치 해안에서 포착한 것이다. 포착한 영상에는 물 위로 모습을 드러낸 혹등고래가 바다 위로 힘껏 물을 내 뿜는 모습이 담겨 있다. 고래 머리의 분수 구멍에서 솟아오른 물은 뜨겁게 내리쬐는 태양과 만나 아름다운 무지개를 만들어낸다. 한편 고래의 이러한 행동을 ‘분기’(噴氣)라 하는데 사실은 물을 뿜는 것이 아니라 물속에서 참았던 숨을 내쉬고 다시 새로운 공기를 마시는 행동이다. 혹등고래는 몸길이 최대 16m에 최고 40톤까지 육박하는 거대한 크기를 자랑하며 지구 상에서 가장 큰 포유류로 꼽힌다. 사진·영상=MGmedia/유튜브 영상팀 seoultv@seoul.co.kr
  • 친구 잡아먹은 ‘식인악어’ 쏴 죽인 남성, 벌금형

    친구 잡아먹은 ‘식인악어’ 쏴 죽인 남성, 벌금형

    곰이란 뜻의 베어(Bear)란 이름을 가진 한 남성이 최근 자신의 친구를 잡아먹은 식인 악어를 사살해 복수에 성공했다. 6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텍사스주(州) 오렌지에 있는 ‘버크하츠 마리나’(Burkhart‘s Marina)라는 이름의 호수에서 이 남성은 몸길이 3.4m짜리 악어를 총으로 쏴 죽였다고 미 지역방송 12뉴스가 7일 보도했다. 사살된 악어 뱃속에는 지난 3일 같은 곳에서 악어에 잡아먹힌 것으로 알려진 토미 우드워드(28)의 시신 일부가 발견됐다고 관리당국은 밝혔다. 토미 우드워드는 당시 호수에 ‘수영 금지 - 악어 있음’이라는 경고문을 무시한 채 한 여성과 함께 물에 뛰어들었다가 악어에 물려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지 매체들은 토미가 당시 악어 흉내를 내며 악어를 무시하다가 입수 후에 바로 공격을 받고 도와달라는 소리를 쳤다고 상황을 설명했었다. 친구를 죽인 악어에 깊은 원한을 품은 것으로 알려진 베어라는 이름의 이 남성은 “악어는 죽어 마땅하다. 이는 식인 악어의 결말”이라고 당시 총성을 듣고 현장에 출동한 관리원에게 말했다. 한편 이 남성은 면허 없이 악어를 사살했다는 이유로 3급 경범죄로 기소돼 500달러(약 57만원)의 벌금형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12뉴스, 페이스북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 동물농장 아자와크, 한국에 딱 한 마리 ‘모델견+몸짱견’ 체지방량은? 경악

    동물농장 아자와크, 한국에 딱 한 마리 ‘모델견+몸짱견’ 체지방량은? 경악

    ‘동물농장 아자와크’ 아프리카 출신 희귀견 아자와크가 화제다. 5일 오전 방송된 SBS ‘TV 동물농장’ 721회에서는 한국에 딱 한마리뿐인 아자와크가 출연했다. 이날 방송에서는 ‘모델견’으로 불리는 국내 유일의 아자와크 TJ의 일상이 공개됐다. 평소 맨바닥에 앉는 것을 싫어해 자꾸만 주인의 소파를 탐낸다는 TJ는 극세사 이불을 깔아줘야만 소파를 포기할 정도로 우아한 취향을 뽐냈다. “아프리카 유목민이 키우던 사냥개인 아자와크 견종은 추위에 매우 약한 편”이라며 유별난 행동의 이유를 알려준 견공 주인은 “다들 너무 말랐다고 이야기하는데 그렇지 않다. 원래 이 견종이 가진 특징이 그렇다”는 설명도 잊지 않았다. TJ는 남은 닭고기를 자꾸만 바닥에 떨궈놓는 모습으로 궁금증을 자아냈고, 이에 대해 주인은 “먹을 만큼만 먹고 남기는 등 스스로 식단관리를 한다”고 말해 놀라움을 안겼다. 제작진은 우리나라 전통견 진돗개처럼 주인에 대한 충성심이 강하다는 아자와크 견종의 신체 구조를 살펴봤고, TJ의 다리와 몸통 길이는 각각 73cm와 63cm로 밝혀졌다. 몸길이보다 다리 길이가 더 긴 독특한 외형으로 눈길을 끈 TJ는 달리기에 적합한 신체 조건을 갖고 있었고, 사막에서의 장거리 사냥에 최적화된 견공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다른 견공들보다는 말과 더 비슷하다는 게 주인의 설명이다. 또 수의학 전문의는 “TJ는 체지방량 17% 정도로 적은 편이지만 근육을 많이 키우는 사람처럼 근육으로만 이뤄져 있다”며 ‘몸짱견’이라는 별명을 붙여주기도 했다. 동물농장 아자와크, 동물농장 아자와크, 동물농장 아자와크, 동물농장 아자와크, 동물농장 아자와크, 동물농장 아자와크 사진 = 서울신문DB (동물농장 아자와크) 연예팀 seoulen@seoul.co.kr
  • [문화 유랑기] ’엘 콘도르 파사’에 서린 잉카의 슬픈 꿈

    [문화 유랑기] ’엘 콘도르 파사’에 서린 잉카의 슬픈 꿈

    - 닮은 꼴 전봉준과 잉카 콘도르칸키의 운명 70년대를 풍미한 전설의 포크록 듀오 ‘사이먼 앤 가펑클’이 부른 노래 중 '엘 콘도르 파사'라는 노래가 있었다. 70년대라는 불확실하고 궁핍한 현실 앞에 가난과 불안 속으로 내동댕이쳐졌던 이 땅의 젊은이들 치고 이 노래에 귀 기울여보지 않은 사람이 없었으리라. 하지만 그 시대에는 인터넷도 휴대폰도 없던 때인지라 대개는 조그만 라디오로 지직거리는 채널을 맞춰가면서 들을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노래는 우수에 찬 선율로 듣는 이의 가슴을 흠뻑 적셨을 뿐만 아니라, 가사가 전하는 메시지 역시 대중가요답지 않게 꽤나 철학적인 분위기를 풍기는 것이었다. 이 노래의 한국말 제목은 뜬금없게도 '철새는 날아가고'였던 것으로 기억한다('엘 콘도르 파사'의 엘(Eㅣ)은 정관사 the와 같고, 파사(pasa)는 pass라는 뜻이다). 하지만​ 그 노래가 사실 잉카의 토속음악을 뿌리로 한 것이라는 사실은 아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은 것 같다. 게다가 그 노래에는 명곡에 걸맞은 슬픈 내력이 있는데, 우리와 영 무관하지만도 않은 그 사연을 간단히 풀어보자. 알다시피 빛나는 문명을 자랑하던 잉카는 1533년, 천하의 몹쓸 스페인 악당, 전직 돼지치기인 프란시스코 피사로에게 허망하게도 하루아침에 멸망당하고 말았다. 1년의 길이를 365.2420일이라고 정확히 계산해낸 놀라운 천문학 지식을 가지고 있었던 인구 2백만의 제국이 고작 6백 명의 서양 악당들에게 망하고 만 것이다. 500년 역사를 자랑하던 조선왕조가 일제의 몇 개 사단 병력에 멸망당하고 만 것과 흡사한 꼴이다. 피사로는 기습작전으로 잉카 황제 아타우알파를 사로잡고, 몸값으로 방 하나 가득 채울 금을 요구한 끝에 금을 다 받고도 반역죄를 뒤집어씌워 아타우알파의 목뼈를 부러뜨려 처형해 버렸다. 그러한 악행으로 천벌을 받았는지, 피사로 역시 비참하게 부하의 칼에 목이 베여 세상을 하직했다. 그래도 죽을 때는 자기 목에서 흘러나온 피로 바닥에 십자가를 그린 후 그것에 입맞추고 죽었다고 한다. 스페인 악당들에게 나라를 잃은 후, 인디오들은 스페인의 압제 아래 수백 년 동안 노예의 삶을 살아갈 수밖에 없었다. 그들의 슬픔과 분노가 폭발한 것이 1780년 페루의 농민반란이었다. 그러나 이 반란은 정복자에 의해 잔혹하게 탄압되고, 그 중심인물이었던 호세 가브리엘 콘도르칸키(투팍 아마루 2세)는 체포되어 처형당하고 말았다. 어쩌면 우리네 동학혁명의 전봉준의 운명과 그리도 닮았는지 놀라지 않을 수 없다. (잉카 족이 한민족과 같은 뿌리라는 설도 있다.) 사람 사는 동네의 흘러가는 꼴들은 대략 비슷한가 보다. 농민혁명을 일으킨 콘도르칸키는 체포되어 사지가 잘려나가는 방법으로 잔혹하게 처형당했지만, 민중의 원망(願望)을 끌어안고 일어섰던 그의 존재는 스페인의 압제로부터 해방을 상징하는 빛나는 징표가 되었다. 그리하여 잉카의 후예들은 영웅이 죽으면 콘도르가 된다는 그들의 전설처럼 그도 역시 죽어서 콘도르가 되었다고 믿고 있다. -'무엇에도 얽매이지 않는 자유' 뜻 콘도르(condor)’는 잉카 말로 ‘무엇에도 얽매이지 않는 자유’라는 뜻의 새 이름으로, 하늘과 인간을 이어주는 매개체이기도 하다. ​잉카 인들은 영웅이 죽으면 콘도르로 부활한다는 사상을 믿었다고 한다. 이 새는 중남미, 안데스 산맥 등에서 서식하는 매의 일종으로, 몸길이는 1.3m 이상이며 매과 중에서도 가장 큰 종으로 알려져 있다. 콘도르는 한번 사냥에 실패한 먹잇감은 다시 공격하지 않는다고 한다. ‘엘 콘도르 파사’의 원곡은 페루의 클래식 음악 작곡가인 다니엘 알로미아스 로블레스가 잉카의 토속음악을 바탕으로 해서 1913년에 작곡한 오페레타 '콘도르칸키'의 테마 음악이다. 그는 이 음악 속에 정복자의 무자비한 칼날을 피해 마지막 은거지 마추픽추를 떠날 수밖에 없었던 잉카 인들의 슬픔과 콘도르칸키의 운명을 표현해냈던 것이다. 원래 이 노래에는 가사가 없었지만, 후에 사람들이 구전되어 내려오던 콘도르칸키의 이야기를 노랫말로 만들어 붙인 것이다. 따라서 가사의 내용은 '나는 달팽이가 되기보다 참새가 되겠어' 운운하는 사이먼-가펑클의 것과는 전혀 다르다. 또 대개는 가사 없이 페루의 전통악기인 케냐와 삼포냐로 연주한 것이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가사는 잉카의 언어인 ‘케추아’ 어이며, 내용은 콘도르칸키의 절절한 마음을 담은 것으로, 대략 다음과 같다. 오, 하늘의 주인이신 전능한 콘도르여,우리를 안데스 산맥의 고향으로 데려가 주오.잉카 동포들과 함께 살던 곳으로 돌아가고 싶습니다.그것이 나의 가장 간절히 바람입니다, 전능하신 콘도르여. 잉카의 쿠스코 광장에서 나를 기다려 주오.우리가 마추픽추와 와이나픽추를 거닐 수 있게 해주오. (페루 전통악기로 연주하는 '엘 콘도르 파사' 동영상...피리 같은 게 케냐, 팬플룻 같은 게 삼포냐) https://www.youtube.com/embed/CtUZzCe6-bk?feature 이광식 통신원 joand999@naver.com 
  • 동물농장 아자와크, 체지방량 17%..대단해

    동물농장 아자와크, 체지방량 17%..대단해

    ‘동물농장 아자와크’ 아프리카 출신 희귀견 아자와크가 화제다. 5일 오전 방송된 SBS ‘TV 동물농장’ 721회에서는 한국에 딱 한마리뿐인 아자와크가 출연했다. 이날 방송에서는 ‘모델견’으로 불리는 국내 유일의 아자와크 TJ의 일상이 공개됐다. 평소 맨바닥에 앉는 것을 싫어해 자꾸만 주인의 소파를 탐낸다는 TJ는 극세사 이불을 깔아줘야만 소파를 포기할 정도로 우아한 취향을 뽐냈다. TJ는 남은 닭고기를 자꾸만 바닥에 떨궈놓는 모습으로 궁금증을 자아냈고, 이에 대해 주인은 “먹을 만큼만 먹고 남기는 등 스스로 식단관리를 한다”고 말해 놀라움을 안겼다. 제작진은 우리나라 전통견 진돗개처럼 주인에 대한 충성심이 강하다는 아자와크 견종의 신체 구조를 살펴봤고, TJ의 다리와 몸통 길이는 각각 73cm와 63cm로 밝혀졌다. 몸길이보다 다리 길이가 더 긴 독특한 외형으로 눈길을 끈 TJ는 달리기에 적합한 신체 조건을 갖고 있었고, 사막에서의 장거리 사냥에 최적화된 견공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다른 견공들보다는 말과 더 비슷하다는 게 주인의 설명이다. 또 수의학 전문의는 “TJ는 체지방량 17% 정도로 적은 편이지만 근육을 많이 키우는 사람처럼 근육으로만 이뤄져 있다”며 ‘몸짱견’이라는 별명을 붙여주기도 했다. 연예팀 seoulen@seoul.co.kr
  • 새 닮은 신종 공룡 발견…韓 공룡박사 참여

    새 닮은 신종 공룡 발견…韓 공룡박사 참여

    백악기 말기 중국 남부에 살았던 새를 닮은 신종 공룡이 발견돼 학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 공룡의 발견으로 당시에는 새를 닮은 오비랍토르(Oviraptor)류의 공룡이 아시아 대륙에 걸쳐 서식했을 것이라고 학자들은 설명하고 있다. 신종 공룡은 중국 장시성(省) 간저우에 있는 백악기 후기(약 8360만~6600만 년 전) 지층인 난슝 지층에서 발견돼 ‘후아난사우루스 간저우엔시스’(Huanansaurus ganzhouensis)라는 학명을 갖게 됐다. 후아난사우루스는 중국지질학연구소 뤼준창 박사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이 발견했다. 연구팀에는 한국 최고의 공룡화석 권위자이기도 한 이융남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 박사도 참여했다. 연구팀은 간저우 철도역 공사부지 등 중국 남부 7곳에서 이 공룡의 일부 골격과 거의 완벽한 두개골을 발굴해냈다. 이들은 이 신종 공룡이 얼마나 큰지 정확하게 밝히지 않았지만 발톱 등 구조를 분석해 같은 시기에 살았던 키티파티(Citipati)의 근연종으로 추정하고 있다. 몸길이 3m, 높이 1.8m인 키티파티는 신종 공룡이 발굴된 지역에서 3000km 이상 떨어진 오늘날의 몽골에 살았으며 오비랍토르과(科) 가운데 가장 큰 육식공룡이다. 연구팀은 “두 종 사이 비슷한 점 때문에 서식지가 약 3000km나 떨어졌음에도 중생대 말에는 오비랍토르류가 번성할 수 있는 유사한 서식지가 아시아에 걸쳐 존재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이 신종의 두개골 위에는 오비랍토르의 근연종 임을 알수 있는 조류의 볏이 있었지만 턱 구조가 달랐다. 이는 두 종의 식습관이 확연하게 달랐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적인 학술지인 네이처(Nature)의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 최신호(7월 2일자)에 실렸다. 사진=자오추앙(위), 사이언티픽 리포츠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 [문화 유랑기] 너무나 닮은 전봉준과 잉카 콘도르칸키의 운명

    [문화 유랑기] 너무나 닮은 전봉준과 잉카 콘도르칸키의 운명

    -’엘 콘도르 파사’에 서린 잉카의 슬픈 꿈 70년대를 풍미한 전설의 포크록 듀오 ‘사이먼 앤 가펑클’이 부른 노래 중 '엘 콘도르 파사'라는 노래가 있었다. 70년대라는 불확실하고 궁핍한 현실 앞에 가난과 불안 속으로 내동댕이쳐졌던 이 땅의 젊은이들 치고 이 노래에 귀 기울여보지 않은 사람이 없었으리라. 하지만 그 시대에는 인터넷도 휴대폰도 없던 때인지라 대개는 조그만 라디오로 지직거리는 채널을 맞춰가면서 들을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노래는 우수에 찬 선율로 듣는 이의 가슴을 흠뻑 적셨을 뿐만 아니라, 가사가 전하는 메시지 역시 대중가요답지 않게 꽤나 철학적인 분위기를 풍기는 것이었다. 이 노래의 한국말 제목은 뜬금없게도 '철새는 날아가고'였던 것으로 기억한다('엘 콘도르 파사'의 엘(Eㅣ)은 정관사 the와 같고, 파사(pasa)는 pass라는 뜻이다). 하지만​ 그 노래가 사실 잉카의 토속음악을 뿌리로 한 것이라는 사실은 아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은 것 같다. 게다가 그 노래에는 명곡에 걸맞은 슬픈 내력이 있는데, 우리와 영 무관하지만도 않은 그 사연을 간단히 풀어보자. 알다시피 빛나는 문명을 자랑하던 잉카는 1533년, 천하의 몹쓸 스페인 악당, 전직 돼지치기인 프란시스코 피사로에게 허망하게도 하루아침에 멸망당하고 말았다. 1년의 길이를 365.2420일이라고 정확히 계산해낸 놀라운 천문학 지식을 가지고 있었던 인구 2백만의 제국이 고작 6백 명의 서양 악당들에게 망하고 만 것이다. 500년 역사를 자랑하던 조선왕조가 일제의 몇 개 사단 병력에 멸망당하고 만 것과 흡사한 꼴이다. 피사로는 기습작전으로 잉카 황제 아타우알파를 사로잡고, 몸값으로 방 하나 가득 채울 금을 요구한 끝에 금을 다 받고도 반역죄를 뒤집어씌워 아타우알파의 목뼈를 부러뜨려 처형해 버렸다. 그러한 악행으로 천벌을 받았는지, 피사로 역시 비참하게 부하의 칼에 목이 베여 세상을 하직했다. 그래도 죽을 때는 자기 목에서 흘러나온 피로 바닥에 십자가를 그린 후 그것에 입맞추고 죽었다고 한다. 스페인 악당들에게 나라를 잃은 후, 인디오들은 스페인의 압제 아래 수백 년 동안 노예의 삶을 살아갈 수밖에 없었다. 그들의 슬픔과 분노가 폭발한 것이 1780년 페루의 농민반란이었다. 그러나 이 반란은 정복자에 의해 잔혹하게 탄압되고, 그 중심인물이었던 호세 가브리엘 콘도르칸키(투팍 아마루 2세)는 체포되어 처형당하고 말았다. 어쩌면 우리네 동학혁명의 전봉준의 운명과 그리도 닮았는지 놀라지 않을 수 없다. (잉카 족이 한민족과 같은 뿌리라는 설도 있다.) 사람 사는 동네의 흘러가는 꼴들은 대략 비슷한가 보다. 농민혁명을 일으킨 콘도르칸키는 체포되어 사지가 잘려나가는 방법으로 잔혹하게 처형당했지만, 민중의 원망(願望)을 끌어안고 일어섰던 그의 존재는 스페인의 압제로부터 해방을 상징하는 빛나는 징표가 되었다. 그리하여 잉카의 후예들은 영웅이 죽으면 콘도르가 된다는 그들의 전설처럼 그도 역시 죽어서 콘도르가 되었다고 믿고 있다. 콘도르(condor)’는 잉카 말로 ‘무엇에도 얽매이지 않는 자유’라는 뜻의 새 이름으로, 하늘과 인간을 이어주는 매개체이기도 하다. ​잉카 인들은 영웅이 죽으면 콘도르로 부활한다는 사상을 믿었다고 한다. 이 새는 중남미, 안데스 산맥 등에서 서식하는 매의 일종으로, 몸길이는 1.3m 이상이며 매과 중에서도 가장 큰 종으로 알려져 있다. 콘도르는 한번 사냥에 실패한 먹잇감은 다시 공격하지 않는다고 한다. ‘엘 콘도르 파사’의 원곡은 페루의 클래식 음악 작곡가인 다니엘 알로미아스 로블레스가 잉카의 토속음악을 바탕으로 해서 1913년에 작곡한 오페레타 '콘도르칸키'의 테마 음악이다. 그는 이 음악 속에 정복자의 무자비한 칼날을 피해 마지막 은거지 마추픽추를 떠날 수밖에 없었던 잉카 인들의 슬픔과 콘도르칸키의 운명을 표현해냈던 것이다. 원래 이 노래에는 가사가 없었지만, 후에 사람들이 구전되어 내려오던 콘도르칸키의 이야기를 노랫말로 만들어 붙인 것이다. 따라서 가사의 내용은 '나는 달팽이가 되기보다 참새가 되겠어' 운운하는 사이먼-가펑클의 것과는 전혀 다르다. 또 대개는 가사 없이 페루의 전통악기인 케냐와 삼포냐로 연주한 것이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가사는 잉카의 언어인 ‘케추아’ 어이며, 내용은 콘도르칸키의 절절한 마음을 담은 것으로, 대략 다음과 같다. 오, 하늘의 주인이신 전능한 콘도르여,우리를 안데스 산맥의 고향으로 데려가 주오.잉카 동포들과 함께 살던 곳으로 돌아가고 싶습니다.그것이 나의 가장 간절히 바람입니다, 전능하신 콘도르여. 잉카의 쿠스코 광장에서 나를 기다려 주오.우리가 마추픽추와 와이나픽추를 거닐 수 있게 해주오. (페루 전통악기로 연주하는 '엘 콘도르 파사' 동영상...피리 같은 게 케냐, 팬플룻 같은 게 삼포냐) https://www.youtube.com/embed/CtUZzCe6-bk?feature 이광식 통신원 joand999@naver.com 
  • 9살 소년이 잡은 3m짜리 거대 흰철갑상어

    9살 소년이 잡은 3m짜리 거대 흰철갑상어

    어린 소년이 자신보다 훨씬 큰 거대 흰철갑상어를 낚시로 잡았다. 2일(현지시간) 미국 허핑턴포스트는 ‘그레이트 리버 피슁’을 인용해 지난달 29일 9살 소년 미국 뉴저지의 키건 로스만(Kegan Rothman)이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프레이저 강에서 길이 3m, 몸무게 272kg에 달하는 거대 흰철갑상어를 낚시로 잡았다고 보도했다. 아빠 단 로스만(Dan Rothman)과 프레이저 강 낚시 체험을 하기 위해 이곳을 찾은 키건은 오후 1신 30분께 강물 속의 거대 흰철갑상어를 낚는다. 자신 키보다 몇 곱절 큰 흰철갑상어를 잡기 위해 혼신의 노력을 다하고 있는 키건을 아빠와 가이드, 낚시 트레이너가 도와 약 1시간 45분 만에 잡는데 성공한다. 키건이 잡은 흰철갑상어는 몸무게 600파운드(약 272kg), 길이 10피트 1인치(약 3m)로 올 들어 잡힌 흰철갑상어 중 가장 큰 기록이다. 키건은 “처음 물고기를 낚았을 때 매우 흥분 했으며 낚싯대를 잡고 있는 것이 너무 힘들었어요”라며 “물고기가 나를 물속으로 끌어당기는 줄 알았어요. (이번 낚시는) 내 인생 최고의 여행”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낚시 트레이너 밴(Ben)은 “11년 동안 프레이저 강에서 전문 낚시 가이드를 하는 동안 내가 도움을 줘 잡은 가장 큰 물고기 중 하나”라며 “키건이 잡은 흰철갑상어는 대략 75년 이상 된 것”이라고 전했다. 키건은 약 2시간의 사투 끝에 힘겹게 잡은 흰철갑상어를 사진 촬영 후 방생해 준 것으로 알려졌다. 흰철갑상어는 몸길이 6m에 무게 800㎏까지 자랄 정도로 담수어류 가운데 가장 크며 최대 수명은 150년에 달한다. 흰철갑상어는 2억 년 전 공룡시대부터 번성한 어종이지만 캐비아를 위한 무분별한 포획 결과 최근 10여 년간 보호어종으로 관리받고 있다. 사진·영상= Great River Fishing Adventures / BreakingNews!! youtube 손진호 기자 nasturu@seoul.co.kr
  • 낚싯줄에 걸린 물고기 뜯어먹는 상어 포착

    낚싯줄에 걸린 물고기 뜯어먹는 상어 포착

    낚싯줄에 걸린 대어를 낚아채는 상어가 카메라에 포착돼 화제다. 이 영상은 지난 29일(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에서 수상스포츠와 낚시가이드를 하는 ‘폴링 타이드 차터스’ 페이스북 계정을 통해 공개됐다. 영상을 보면 한 남성이 낚싯줄에 걸린 물고기를 힘겹게 끌어올리는 모습으로 시작한다. 부러질 듯 휘어진 낚싯대와 물 폭탄을 일으키며 거칠게 저항하는 모습에서 물고기의 크기를 예상할 수 있다. 이에 강태공은 물론, 지켜보는 이들조차 녀석에 대해 궁금증이 더해지는 순간 놀라운 광경이 벌어진다. 갑자기 상어가 등장해 낚싯줄에 걸린 물고기를 덥석 베어 물고 사라진 것. 잠시 후 피가 번진 물에서 건져 올린 물고기는 이미 몸통이 사라진 상태다. 영상 속 남성이 잡았던 물고기는 타폰(Tarpon)으로 몸길이 최대 2.4m, 몸무게 130kg까지 자라는 대형 어종인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영상=Falling Tide Charters(페이스북), Dean Stevens(유튜브) 영상팀 seoultv@seoul.co.kr
  • 관광객 탄 차량 접근한 거대 곰, 보인 반응이…

    관광객 탄 차량 접근한 거대 곰, 보인 반응이…

    호기심 많은 거대 곰의 모습이 차량 안에 있던 관광객의 카메라에 포착됐다. 2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데일리뉴스 등에 따르면, 미국 몬태나주에 사는 데이비드 피터는 지난 19일 가족과 함께 ‘옐로스톤국립공원’(Yellowstone National Park)을 찾았다가 깜짝 놀랄 경험을 했다. 가장 아름다운 도로로 유명한 ‘베어투스 하이웨이’(beartooth highway) 위에서 ‘그리즐리베어’(Grizzly bear)를 만나게 된 것이다. 피터의 아내가 당시 상황을 찍은 영상에는 호기심 많은 곰의 모습이 고스란히 담겼다. 영상 속 곰은 길가에 세워진 차량을 한번 훑어보더니 이내 곧 피터의 차량으로 슬금슬금 접근하기 시작한다. 가족들은 숨을 죽인 채 곰의 모습을 구경한다. 곰은 피터의 차량 구석구석을 유심히 살펴보더니 차 위에 올라타기를 반복한다. 약 5분간 차량을 관찰한 호기심 많은 곰은 다시 숲 속으로 모습을 감춘다. 피터는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재미있었다. 차가 못 쓰게 되는 거 아닌가 걱정되는 것 말고는”이라며 곰을 마주하고 긴장했던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한편 그리즐리베어는 코디액곰, 알래스카회색곰 등으로 불리며 몸길이 약 2.8m에 몸무게는 약 360~635kg 정도까지 나가는 등 곰 중에 가장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진·영상=David B/유튜브 영상팀 seoultv@seoul.co.kr
  • 70도 사하라 사막서 개미 생존비결은 ‘털’

    70도 사하라 사막서 개미 생존비결은 ‘털’

    뜨거운 사하라 사막에서도 개미가 살 수 있을까? 정답은 '그렇다'이다. 놀라운 일이지만 사하라 사막의 뜨거운 모래 위를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개미들이 있다. 사하라 은색 개미(Sahara silver ants, 학명 Cataglyphis bombycina)는 사막의 뜨거운 모래도 아랑곳하지 않고 분주히 먹이를 찾아 이동한다. 사하라 사막의 모래는 사막의 공기보다 더 뜨겁다. 때때로 한낮에는 70°C 이상의 온도를 기록한다. 그런데 이 개미가 견딜 수 있는 최대 온도는 53.6°C 정도다. 과학자들은 오랜 세월 동안 이 개미가 어떻게 이렇게 뜨거운 모래 위를 이동할 수 있는지 궁금해했다. 컬럼비아 대학의 난팡 유 교수(Nanfang Yu, assistant professor of applied physics at Columbia Engineering)와 취리히 대학, 워싱턴 대학의 동료들은 이 개미의 비밀이 바로 털에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사하라 은색 개미는 몸길이 10mm가 채 안 되는 작은 곤충이지만, 그 표면은 미세한 털로 덮여있다. 이 털을 전자 현미경으로 확대해서 보면 단면이 삼각형으로 된 독특한 모습을 하고 있는데, 놀라운 사실은 이 털이 가시광 영역과 적외선 영역에서 태양 빛을 반사한다는 것이다. 더 놀라운 사실은 이 털이 태양 빛을 반사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이미 흡수한 열을 중간 정도의 적외선 파장으로 열방사(thermal radiation) 한다는 것이다. 이 두 가지 메커니즘을 통해서 사하라 은색 개미는 태양 에너지를 반사함과 동시에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이 사실을 검증하기 위해서 연구팀은 다양한 실험을 진행했다. 예를 들어 개미의 털을 제거한 다음 열 감지 카메라로 열을 측정하면 섭씨 5-10도 이상 온도 차이가 관찰되었다. 이 개미는 털이 있는 상태에서는 열을 쉽게 방출했지만, 털이 없는 상태에서는 열을 방출하지 못한다는 사실이 분명히 드러났다. 연구팀은 이 놀라운 개미가 인간에게 매우 유용한 기술을 전수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개미의 털의 구조를 분석해서 이와 유사한 섬유를 만든다면 뜨거운 태양 아래서 냉각이 필요한 여러 분야에 응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태양 에너지를 흡수하지 않아서 시원한 옷이나 건물을 만드는 데 응용될 수 있다. 만약 적외선 영역에서만 태양에너지를 반사하거나 열에너지를 방출하도록 하면 빛을 반사하는 시각적인 문제도 해결될 수 있다. 인간의 과학기술이 아무리 발달했다고 해도 아직 자연계에는 이를 능가하는 기술을 지닌 생물체들이 많다. 사하라 은색 개미는 이 사실을 입증하는 좋은 사례일 것이다. 고든 정 통신원 jjy0501@naver.com
  • 과식이 부른 화?…산미치광이 먹다 죽은 구렁이

    과식이 부른 화?…산미치광이 먹다 죽은 구렁이

    과식이 부른 화(禍)일까. 아프리카에서 거대한 구렁이 한 마리가 커다란 산미치광이를 짐어삼켰다가 죽는 황당한 사고가 발생했다. 원래 이런 큰 뱀은 가시가 있는 설치류를 먹어도 괜찮다는 것이 전문가들 의견이다. 26일 AFP통신에 따르면, 최근 남아프리카공화국에 있는 민간 ‘일런드 호수 동물보호구’(Lake Eland Game Reserve)에서 몸길이 3.9m짜리 아프리카 비단구렁이(아프리카 비단뱀)가 몸무게 13.8kg짜리 산미치광이(호저)를 삼켰다가 6일 만에 죽는 일이 발생했다. 아프리카 비단구렁이는 아프리카에서 가장 큰 뱀으로 산미치광이보다 더 큰 영양 등의 동물도 집어삼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보호구역 관리자인 제니퍼 풀러는 “보통이라면 이 비단구렁이는 산미치광이를 소화해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런데 이 뱀이 어떤 이유에서인지 삼킨 것을 토해내려고 시도하다가 가시가 박혀 결국 죽고 말았다는 것이다. 이는 뱀이 스트레스를 받으면 자리를 피하려고 삼킨 먹이를 토해내는 습성이 있기 때문이라고 풀러는 설명했다. 즉 이 뱀의 몸이 크게 부풀어 오른 모습에 놀란 많은 관광객이 구경을 위해 한꺼번에 몰려들어 뱀이 스트레스를 받은 것일 가능성이 있다고 그는 추측하고 있다. 한편 죽은 비단구렁이에 잡아먹혀 질식사한 산미치광이는 야행성 설치류로 적을 만나면 가시털을 곤두세우고 적을 향해 가시를 쏘는 등 공격적인 성향이 강하다. 사진=ⓒAFPBBNEWS=NEWS1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 ‘기괴한 외형’ 고대 벌레 할루시제니아, 비밀 풀렸다

    ‘기괴한 외형’ 고대 벌레 할루시제니아, 비밀 풀렸다

    외형이 너무 기괴해 환각을 일으킬 듯하다고 해서 ‘할루시제니아’(혹은 할루키게니아, Hallucigenia)로 명명된 고대 벌레의 비밀이 연구 수십 년만에 풀렸다. AF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영국 케임브리지대와 캐나다 토론토대 등 고생물학 연구팀이 캄브리아기에 멸종한 할루시제니아(5억 500만년~5억 1500만년 전 바다에 살았던 길쭉하고 작은 벌레)에 관한 기존 이론이 모두 잘못되었다고 밝혔다. 수년 동안 다리로 간주된 부분은 등에 돋아난 굵은 가시며 7쌍의 촉수로 여겨진 부분은 다리였을 뿐만 아니라 머리로 여겨졌던 부분이 꼬리였던 것을 밝혀냈다고 한다. 이번 연구의 공동저자인 마틴 스미스 케임브리지대 연구원은 “화석 표본의 한 쪽에 있는 풍선처럼 크게 부풀어 오른 구형 부분은 모양이 무너져 지금까지 머리로 해석돼 왔다”며 “이번 연구로 이 부분이 실제로는 신체 일부가 아니며 이 생물이 흙에 묻혀 눌렸을 때 항문에서 흘러나와 부패한 체액이거나 소화기관 내용물이 어두운 얼룩으로 남은 것임을 입증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공동저자인 진 버나드 카론 토론토대 부교수는 이번 연구를 위해 전자현미경으로 박물관에 소장돼 있던 할루시제니아 화석 수십 점을 분석했다고 설명했다. 스미스 연구원은 “전자 현미경에 화석을 올려놨을 때 우리는 처음에 눈을 발견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고 기대했었다”며 “그런데 한 쌍의 눈뿐만 아니라 이빨을 보이며 건방지게 웃는 입도 발견해 매우 놀랐다”고 말했다. 이어 “늘어선 치아는 우리를 보고 웃고 있었다!”고 덧붙였다. ■ 진화의 단서 분석 결과, 할루시제니아의 머리에서 발견된 입은 고리 모양으로 늘어선 뾰족한 이빨로 둘러싸여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먹이를 흡수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또 식도에는 바늘 모양의 이빨이 한 줄로 있었다. 이는 먹은 것이 역류하는 것을 막기위한 것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몸길이 1~5cm 정도의 가시 갑옷을 입은 할루시제니아는 ‘캄브리아기 대폭발’(Cambrian Explosion)에 존재했다. 대부분의 주요 동물 종이 이 시대에 출현했다. 할루시제니아는 1970년대에 처음 존재가 알려졌다. 현존하는 가장 가까운 종은 이빨이 없는 우단벌레(velvet worm)와 같은 유조동물이다. 유조동물은 ‘탈피동물’(ecdysozoa)로, 탈피동물에는 곤충과 선충, 바다가재, 거미 등의 외골격을 탈피하는 동물 등이 있다. 할루시제니아의 '이빨'을 발견한 연구팀은 탈피동물의 조상도 이빨이 있는 입과 식도를 가지고 있었을 것으로 결론지었다. 스미스 연구원은 “만약 그렇다면,이는 탈피동물의 하위 분류군 모두가 지질학적으로 짧은 2000만 년 동안 빠르게 진화하는 기간 속에 분기한 것을 나타낸다”며 “급속히 진행한 ‘캄브리아기 대폭발’의 증거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성과는 세계적 학술지 네이처(Nature) 최신호(6월 24일자)에 게재됐다. 사진=ⓒAFPBBNEWS=NEWS1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 [영상]호주서 85년 만에 6.3m 초대형 돌묵상어 잡혀

    [영상]호주서 85년 만에 6.3m 초대형 돌묵상어 잡혀

    6m가 넘는 초대형 희귀종 돌묵상어가 포획돼 화제다. 23일(현지시간) 영국 데일리메일은 지난 21일 호주 빅토리아주 워남블 서쪽 포틀랜드 해안에서 조업 중인 저인망 어선 그물에 몸길이 6.3m, 무게 3t의 초대형 돌묵상어가 잡혔다고 보도했다. 돌묵상어(basking shark)는 몸길이 10m에 달하는 희귀 어류로 고래상어에 이어 두 번째로 크다. 거대한 덩치와는 달리 온순해 사람을 공격하지 않는 상어다. 피노키오처럼 긴 코를 가진 돌묵상어가 잡힌 것은 지금으로부터 85년 전인 지난 1930년 빅토리아 동쪽 레이크스 엔트랜스(Lakes Entrance) 입구에서 잡힌 돌묵상어가 마지막 기록이었다. 근 100년 만에 잡힌 돌묵상어를 안전하게 옮기기 위해 과학자들은 대형 크레인을 사용해 상어를 배에서 내렸으며 연구를 위해 상어를 부위별 작은 조각으로 자르는 데만 5시간이 소요됐다. 한편 X7Y호 선장 제임스 오웬과 그의 선원들은 실수로 잡은 희귀 돌묵상어를 진미로 각광받고 있는 중국에 판매하는 대신 희귀종에 대한 연구를 위해 멜버른 박물관에 기증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영상= James Owen, Melbourne Museum / join@hot youtube 손진호 기자 nasturu@seoul.co.kr
  • 선풍기 바람에 나는 시늉하는 날다람쥐

    선풍기 바람에 나는 시늉하는 날다람쥐

    최근 해외 온라인 커뮤니티인 데일리 픽스 앤 플릭스(daily picks and flick)는 지난 22일 유튜브에 게재된 10초가량의 날다람쥐 영상을 소개했다. 영상에는 주인의 손 위에 올라와 있는 날다람쥐 한 마리가 보인다. 잠시 뒤, 선풍기가 회전하며 날다람쥐 쪽을 향하자 날다람쥐가 날개를 활짝 펴며 중심을 잡는다. 윙슈트 모양의 날개를 편 날다람쥐의 모습이 매우 귀여워 보인다. 한편 날다람쥐는 날아다니는 포유동물로 몸길이 35~48cm, 꼬리 길이 28~39cm다. 머리는 둥글고 꼬리에 긴 털이 더부룩하게 나 있으며 앞뒤 발 사이에 늘어진 막이 있어 네 다리를 펴고 나뭇가지 사이를 날아다닌다.(참고: 천재학습백과) 사진·영상= DailyPicksandFlicks youtube 영상팀 seoultv@seoul.co.kr
  • 6.3m 희귀 돌묵상어, 호주서 잡혀…박물관 기증

    6.3m 희귀 돌묵상어, 호주서 잡혀…박물관 기증

    몸길이 6.3m, 무게 3t에 달하는 거대한 돌묵상어가 호주에서 잡혔다. 이 상어는 고래상어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상어 종이다. 돌묵상어는 지난 21일 호주 빅토리아주(州) 포틀랜드 인근에서 조업하던 저인망(끌그물) 어선에 의해 잡혔다고 호주 ABC뉴스가 23일 보도했다. 해당 어선의 선원들은 뜻하지 않게 이 상어가 잡혔다며 팔지 않고 멜버른 박물관 측에 기증했다. 호주에서 돌묵상어가 포획된 사례는 85년만에 처음이다. 마지막 기록은 1930년 호주 빅토리아 동부에 있는 레이크스 엔트란스에서 한 어선에 잡혔다. 맬버른 박물관의 마틴 고몬 박사는 이번 기증에 대해 선원들에게 감사의 뜻을 표했다. 그는 “돌묵상어는 지느러미도 매우 커 중국인들에게 요리로 인기가 있다”며 이번 결정은 쉽지 않은 선택이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고몬 박사를 비롯한 다른 학자들은 이번 돌묵상어를 인도받기 위해 크레인을 사용했다. 과학자들은 이 상어를 분석해 그들의 생태는 물론 우리 인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연구도 할 계획이다. 다 자라면 몸길이가 10m가 넘는 돌묵상어는 거대한 덩치와는 달리 온순해 사람을 공격하지 않는다. 또 보라색과 분홍색이 섞인 묘한 피부색을 갖고 있고 작은 갈고리 모양의 이빨을 사용해 플랑크톤이나 새우 등 갑각류를 걸러 먹는다. 돌묵상어는 멸종위기종으로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적색목록(Red List)에서 취약(VU)종으로 분류된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 [와우! 과학] 70°C 사하라 사막에서 개미가 살아남은 비결은?

    [와우! 과학] 70°C 사하라 사막에서 개미가 살아남은 비결은?

    뜨거운 사하라 사막에서도 개미가 살 수 있을까? 정답은 '그렇다'이다. 놀라운 일이지만 사하라 사막의 뜨거운 모래 위를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개미들이 있다. 사하라 은색 개미(Sahara silver ants, 학명 Cataglyphis bombycina)는 사막의 뜨거운 모래도 아랑곳하지 않고 분주히 먹이를 찾아 이동한다. 사하라 사막의 모래는 사막의 공기보다 더 뜨겁다. 때때로 한낮에는 70°C 이상의 온도를 기록한다. 그런데 이 개미가 견딜 수 있는 최대 온도는 53.6°C 정도다. 과학자들은 오랜 세월 동안 이 개미가 어떻게 이렇게 뜨거운 모래 위를 이동할 수 있는지 궁금해했다. 컬럼비아 대학의 난팡 유 교수(Nanfang Yu, assistant professor of applied physics at Columbia Engineering)와 취리히 대학, 워싱턴 대학의 동료들은 이 개미의 비밀이 바로 털에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사하라 은색 개미는 몸길이 10mm가 채 안 되는 작은 곤충이지만, 그 표면은 미세한 털로 덮여있다. 이 털을 전자 현미경으로 확대해서 보면 단면이 삼각형으로 된 독특한 모습을 하고 있는데, 놀라운 사실은 이 털이 가시광 영역과 적외선 영역에서 태양 빛을 반사한다는 것이다. 더 놀라운 사실은 이 털이 태양 빛을 반사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이미 흡수한 열을 중간 정도의 적외선 파장으로 열방사(thermal radiation) 한다는 것이다. 이 두 가지 메커니즘을 통해서 사하라 은색 개미는 태양 에너지를 반사함과 동시에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이 사실을 검증하기 위해서 연구팀은 다양한 실험을 진행했다. 예를 들어 개미의 털을 제거한 다음 열 감지 카메라로 열을 측정하면 섭씨 5-10도 이상 온도 차이가 관찰되었다. 이 개미는 털이 있는 상태에서는 열을 쉽게 방출했지만, 털이 없는 상태에서는 열을 방출하지 못한다는 사실이 분명히 드러났다. 연구팀은 이 놀라운 개미가 인간에게 매우 유용한 기술을 전수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개미의 털의 구조를 분석해서 이와 유사한 섬유를 만든다면 뜨거운 태양 아래서 냉각이 필요한 여러 분야에 응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태양 에너지를 흡수하지 않아서 시원한 옷이나 건물을 만드는 데 응용될 수 있다. 만약 적외선 영역에서만 태양에너지를 반사하거나 열에너지를 방출하도록 하면 빛을 반사하는 시각적인 문제도 해결될 수 있다. 인간의 과학기술이 아무리 발달했다고 해도 아직 자연계에는 이를 능가하는 기술을 지닌 생물체들이 많다. 사하라 은색 개미는 이 사실을 입증하는 좋은 사례일 것이다. 고든 정 통신원 jjy0501@naver.com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