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몸길이
    2025-11-16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2,209
  • 자신보다 큰 염소 한입에 ‘꿀꺽’…5m 비단뱀 발견

    자신보다 큰 염소 한입에 ‘꿀꺽’…5m 비단뱀 발견

    염소를 통째로 삼킨 비단뱀이 발견돼 충격을 주고 있다. 지난달 31일 영국 미러는 최근 중국 푸젠성의 한 마을에서 염소를 한입에 삼킨 거대한 비단뱀이 발견됐다고 보도했다. 염소를 잡아먹은 비단뱀은 지난 며칠 사이 두 마리의 염소를 잃은 농부에 의해 발견됐다. 자신의 가엾은 염소를 잡아먹은 비단뱀을 잡기 위해 농부는 즉시 이웃에게 도움을 청했고 마을 주민들은 뱀을 잡기 위해 숲으로 갔다. 숲 한쪽에서는 18kg 염소를 한입에 삼킨 뒤, 괴로워하고 있는 무게 27kg, 몸길이 5m에 달하는 거대 비단뱀이 모습이 포착됐다. 마을 주민들은 맨손으로 비단뱀을 생포했다. 마을 주민 중 한 명은 “이 비단뱀이 올해 아시아 국가에서 잡힌 비단뱀 중 가장 큰 것”이라고 전했다. 해당 비단뱀은 다음날 마을 사람들과 기념사진을 찍은 뒤, 숲으로 방사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중국에서 비단뱀은 국가적으로 보호하는 멸종위기종 동물로 1988년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에 따라 모든 상거래를 금지하고 있다. 사진·영상= CCTV news / Bharta youtube 영상팀 seoultv@seoul.co.kr
  • 알래스카에서 약 7.5m 대형 ‘신종 고래’ 확인

    알래스카에서 약 7.5m 대형 ‘신종 고래’ 확인

    2014년 미국 알래스카에서 발견됐던 ‘미스터리 고래’가 지금까지 인간의 눈에 한 번도 띈 적이 없었던 신종 고래라는 사실이 밝혀져 학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2014년 6월, 알래스카의 한 해안에서 죽은 채 발견됐던 이 고래는 몸길이가 약 7.5m에 달하며, 등지느러미 색깔이 매우 어둡고 몸에는 깊은 상처가 나 있는 상태였다. 몸집 등 일부분만 보면 기름고래 혹은 큰부리고래라고도 불리는 망치고래(baird‘s beaked whale)와 유사했지만, 이것과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는 것으로 보고 조사에 들어갔다. 세계 각국 전문가들로 모인 공동연구진이 사체에서 DNA를 채취해 망치고래 178마리의 DNA 표본과 비교 분석한 결과 망치고래와 DNA구조가 일부 다르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연구진은 이것이 망치고래에서 유래한 새로운 신종 고래라는 결론을 내렸다. 아직 정식 명칭이 공개되지 않은 이 고래는 일본 북부 태평양에서 미국 알래스카의 화산 열도인 알류샨 열도에 걸쳐 분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진은 “2014년 최초로 발견됐을 당시 몸 색깔이 매우 검고 어두워서 망치고래라고 생각됐다. 하지만 자세히 살펴본 결과 망치고래에 비해 등지느러미가 더 크고 축 처져 있는 것이 차이점이었다”고 내셔널지오그래픽과 가진 인터뷰에서 밝혔다. 이어 “성체라고 하기에는 비교적 몸길이가 짧은데 전반적인 몸상태는 나이가 매우 많은 고래에 속했다”면서 “우리는 지금까지 알래스카 해안지역에서 이와 똑같은 고래를 발견한 적이 없다”고 덧붙였다. 미국 국립기후자료센터(NOAA) 소속 남서부 해양과학센터(Southwest Fisheries Science Center) 소속 생물학자인 필립 모린 박사는 “새롭게 발견한 고래는 부리가 있는 망치고래에서 갈라져 나온 새로운 종(種)으로 추정되지만 아직 이것에 대해 아는 것이 많지 않다”면서 “이것은 인류가 아직 바다와 해양생명체에 대해 모르는 것이 많다는 의미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자세한 DNA 분석 및 타 종과의 비교 등을 통해 특징을 추려낼 예정이며, 관련 연구결과는 고래 연구 분야 권위지인 ‘해양포유류과학’(Marine Mammal Science) 최신호에 실렸다.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
  • 2.4m 귀상어 잡아먹는 거대 배암상어

    2.4m 귀상어 잡아먹는 거대 배암상어

    먹고 먹히는 약육강식의 법칙은 바다의 무법자인 상어에게도 예외는 아닌듯싶다. 26일(현지시간) 영국 데일리메일은 지난 21일 미국 루이지애나주 베니스 해안에서 참치 낚시를 하던 라이언 윌시(Ryan Willsea)란 남성이 촬영한 상어 싸움 영상을 기사와 함께 보도했다. 상어의 혈투가 벌어진 것은 라이언의 낚싯줄에 처음 귀상어가 걸렸을 때였다. 8피트(약 2.4m) 크기의 귀상어를 낚은 기쁨도 잠시, 곧이어 낚싯대가 심하게 흔들리기 시작했다. 라이언이 자신의 수중카메라를 바닷물 속에 넣은 순간, 놀라운 광경이 펼쳐졌다. 낚싯줄에 걸린 귀상어를 먹기 위해 1000파운드(약 453kg)에 달하는 거대 배암상어가 나타났던 것. 영상에는 커다란 입으로 귀상어의 옆구리를 연신 물어뜯는 배암상어의 모습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라이언은 “희귀한 전투였으며 상어들은 5분 동안 맹렬하게 싸웠다”며 “내 생애 가장 멋진 광경이었다”고 전했다. 라이언이 직접 촬영한 이 영상은 현재 미국 낚시쇼 걸프 사우스 아웃도어스(Gulf South Outdoors)의 페이스북에 소개되면서 현재 160만여 건의 조회수를 기록 중이다. 머리가 망치처럼 생겨 ‘망치상어’로도 불리는 귀상어는 다 자라면 몸길이 4.5m 정도가 되며 큰 것은 6m가 넘기도 한다. 귀상어는 주로 가오리 등의 물고기를 먹으며 가끔 사람을 공격하기도 한다. 귀상어를 공격한 배암상어는 ‘타이거 샤크’로도 불리며 백상아리와 함께 사람을 공격하는 가장 무서운 상어로 알려졌다. 한편 지난달 22일(현지시간) 플로리다주 세인트루시에 원자력발전소 인근 바다에서 카약 낚시를 즐기고 있던 낚시꾼들이 자신보다 몸집이 작은 검정 지느러미 상어를 먹어 해치우는 황소상어의 모습을 포착한 바 있다. 사진·영상= Gulf South Outdoors facebook, Ryan Willsea / Ryan Willsea youtube 손진호 기자 nasturu@seoul.co.kr
  • 4m짜리 백상아리 작살로 물리치는 다이버

    4m짜리 백상아리 작살로 물리치는 다이버

    작살로 거대 백상아리를 내쫓은 다이버의 영상이 화제다. 25일(현지시간) 호주판 허핑턴포스트는 지난 21일 골드코스트에서 낚시 중 4m짜리 백상아리를 작살로 물리친 다이버들의 영상을 기사와 함께 보도했다. 작살낚시를 하기 위해 물속에 잠수 중인 브렛 리빙스턴과 앤토니 서르크. 낚시에 열중하고 있는 그들 앞에 4m짜리 거대 백상아리가 나타났던 것이다. 서르크가 인스타그램에 올린 영상에는 뾰족한 작살 앞을 유유히 헤엄치고 있는 백상아리의 모습이 포착돼 있다. 앤토니는 인스타그램을 통해 “잊지 못할 경험이었다”며 “상어가 먹잇감을 찾거나 화난 상태가 아니어서 다행이었다”고 설명했다. 눈앞의 거대한 상어를 함께 목격한 브렛도 “어제 일생일대의 체험을 했다. 아름다고 우아한 3.5~4m 크기의 백상아리를 1대1로 만났다”며 “애임라이트 작살총으로 살짝 찔렀더니 다행히도 날 먹잇감으로 생각하지 않고 도망쳤다”고 소감을 남겼다. 백상아리는 상어 중 가장 위험한 상어로 다 자란 암컷 백상아리는 몸길이가 최대 13m, 무게 3톤에 이른다.(참고: 위키백과) 사진·영상= Antony Sercombe, Brett Levingston instagarm / New Channel youtube 영상팀 seoultv@seoul.co.kr
  • 거대 구렁이와 헤엄치는 어린 소녀

    거대 구렁이와 헤엄치는 어린 소녀

    거대 구렁이와 헤엄치며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어린 소녀의 영상이 놀라움을 자아낸다고 지난 20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이 전했다. 데일리메일이 소개한 이 영상은 지난 2014년 유튜브에 공개된 것으로, 현재까지 230만 건이 넘는 높은 조회 수를 기록하고 있는 상황. 영상은 비키니를 입은 어린 소녀가 애완용으로 기르는 구렁이를 쓰다듬고는 이내 구렁이와 함께 물속을 유영하는 모습을 담고 있다. 아무리 애완용이라지만 자신의 몸집보다 훨씬 큰 구렁이와 헤엄을 치는 소녀의 모습은 보는 이들에게 오싹함을 선사한다. 영상을 올린 미국 캘리포니아주 레딩 출신 코리 월리스에 따르면, 영상 속 애완 구렁이는 알비노 버마비단구렁이(Albino Burmese python)로 현재 몸길이는 5.5미터, 몸무게는 113kg 정도로 알려졌다. 한편 버마비단구렁이는 비단구렁이 중 가장 큰 종에 속하며 색이 아름답고 비교적 성질이 온순해 종종 애완용으로 키워진다. 사진·영상=Corey Wallace/유튜브 영상팀 seoultv@seoul.co.kr
  • 보통 상어보다 2배 정도 큰 ‘세계 최대 백상아리’ 포착

    보통 상어보다 2배 정도 큰 ‘세계 최대 백상아리’ 포착

    몸길이가 6m를 넘어 세계에서 가장 큰 상어로 알려진 백상아리 ‘딥블루’의 강력한 경쟁자가 카메라에 포착돼 화제가 되고 있다. 백상아리의 평균 몸길이가 3.7~4.9m인 것을 고려하면 딥블루나 경쟁 상어는 거의 1.5~2배 더 큰 것이라고 보면 된다. 당신이 직접 본다면 아마 영화 ‘조스’의 한 장면처럼 느낄지도 모른다. 아직 이름이 정해지지 않은 이 백상아리는 최근 미국의 수중 사진작가이자 다이버 전문지 ‘얼러트 다이버’의 출판인인 스테판 프링크(67)가 상어 사진을 촬영하던 중에 발견했다. 그는 최근 남호주와 남아프리카, 그리고 멕시코 과달루페 섬을 여행하며 수중 사진을 촬영했다. 이 같은 장소는 그가 가장 좋아하는 다이빙 명소이지만, 거대 상어를 어디에서 포착했는지는 밝히지 않았다. 당시 그는 동료 사진작가와 함께 철장에 들어가 미끼의 피 냄새를 맡고 몰려든 상어들의 모습을 찍고 있었다. 그러던 중 운좋게 딥블루의 경쟁자와 만날 수 있었다는 것이다. 당시 이들은 해당 상어의 크기가 얼마나 큰지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었지만, 딥블루만큼 거대하다는 것은 보는 것만으로 확신할 수 있었다. 특히 딥블루의 경쟁 상어가 강력한 힘으로 미끼를 덮치는 모습은 그야말로 영화 속 장면이라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엄청난 에너지를 뿜어낸다. 또한 그의 사진은 보는 것보다 훨씬 더 가까운 거리에서 촬영한 것이다. 당시 그는 카메라에 광각 렌즈를 장착하고 있었고 해당 상어는 0.9m 이내까지 접근했었다고 한다. 이에 대해 프링크는 “백상아리는 위협적인 외모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꽤 수줍음이 많다”면서 “최근에서야 겨우 우리는 그들이 언제 어디서 확실하게 찾을 수 있는지를 알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그들은 아름답고 장엄하며 살아갈 자격이 있다”고 덧붙였다. 사진=스테판 프링크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 ‘낫 발톱’과 ‘톱니 이빨’ 가진 신종 육식공룡 발견

    ‘낫 발톱’과 ‘톱니 이빨’ 가진 신종 육식공룡 발견

    톱니 모양의 이빨과 낫 모양의 발톱을 가진 무시무시한 신종 육식공룡이 발견됐다. 최근 캐나다 앨버타 대학 등 국제공동연구팀은 아르헨티나 파타고니아 지역에서 발굴된 화석을 분석한 결과 신종 육식공룡으로 확인됐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지금으로부터 8000만 년 전 남미대륙을 누빈 이 공룡의 학명은 '무루스랩터'(Murusraptor barrosaensis)로 달리기에 능한 이족 보행 육식공룡이다. 몸길이 6.5m로 추정되는 무루스랩터는 '메가랍토르'(Megaraptor), '오르코랍토르'(Orkoraptor), '아에로스테온'(Aerosteon) 등이 있는 메가랍토르과(Megaraptoridae)에 속한다. ‘거대한 약탈자’라는 의미를 가진 메가랍토르 역시 남미 대륙에 서식한 육식공룡으로 앞 발에 35cm 정도 되는 갈고리 모양의 발톱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연구팀은 무루스랩터가 '사촌'인 메가랍토르보다 더 무서운 약탈자였을 것으로 보고있다. 무루스랩터는 8.2cm에 달하는 큰 톱니모양의 이빨이 3개나 있으며 원형 낫 모양의 날카로운 발톱이 달려있어 두 발로 뛰어다니며 먹잇감을 사냥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무루스랩터와 메가랍토르와의 차이점은 얼굴형과 무루스랩터의 엉덩이 뼈가 가늘고 길어 날씬해보인다는 점이다.     연구를 이끈 필립 커리 박사는 "기존에 발굴된 메가랍토르과 화석들이 대부분 파편으로만 나온데 비해 이번에는 보존상태가 양호하다"면서 "특히 머리 쪽의 상태가 좋아 메가랍토르과 공룡의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무루스랩터는 다른 사촌들과 비교해 훨씬 더 크고 날씬했다"면서 "약탈자다운 강한 신체구조 덕에 순식간에 먹잇감을 잡아 먹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 국립과학도서관 학술지 플로스원(Plos One) 최신호에 발표됐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 ‘딥블루’보다 클까?…세계 최대 백상아리 포착

    ‘딥블루’보다 클까?…세계 최대 백상아리 포착

    몸길이가 6m를 넘어 세계에서 가장 큰 상어로 알려진 백상아리 ‘딥블루’의 강력한 경쟁자가 카메라에 포착돼 화제가 되고 있다. 백상아리의 평균 몸길이가 3.7~4.9m인 것을 고려하면 딥블루나 경쟁 상어는 거의 1.5~2배 더 큰 것이라고 보면 된다. 당신이 직접 본다면 아마 영화 ‘조스’의 한 장면처럼 느낄지도 모른다. 아직 이름이 정해지지 않은 이 백상아리는 최근 미국의 수중 사진작가이자 다이버 전문지 ‘얼러트 다이버’의 출판인인 스테판 프링크(67)가 상어 사진을 촬영하던 중에 발견했다. 그는 최근 남호주와 남아프리카, 그리고 멕시코 과달루페 섬을 여행하며 수중 사진을 촬영했다. 이 같은 장소는 그가 가장 좋아하는 다이빙 명소이지만, 거대 상어를 어디에서 포착했는지는 밝히지 않았다. 당시 그는 동료 사진작가와 함께 철장에 들어가 미끼의 피 냄새를 맡고 몰려든 상어들의 모습을 찍고 있었다. 그러던 중 운좋게 딥블루의 경쟁자와 만날 수 있었다는 것이다. 당시 이들은 해당 상어의 크기가 얼마나 큰지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었지만, 딥블루만큼 거대하다는 것은 보는 것만으로 확신할 수 있었다. 특히 딥블루의 경쟁 상어가 강력한 힘으로 미끼를 덮치는 모습은 그야말로 영화 속 장면이라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엄청난 에너지를 뿜어낸다. 또한 그의 사진은 보는 것보다 훨씬 더 가까운 거리에서 촬영한 것이다. 당시 그는 카메라에 광각 렌즈를 장착하고 있었고 해당 상어는 0.9m 이내까지 접근했었다고 한다. 이에 대해 프링크는 “백상아리는 위협적인 외모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꽤 수줍음이 많다”면서 “최근에서야 겨우 우리는 그들이 언제 어디서 확실하게 찾을 수 있는지를 알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그들은 아름답고 장엄하며 살아갈 자격이 있다”고 덧붙였다. 사진=스테판 프링크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 [다이노+] 톱니 이빨’과 ‘낫 발톱’ 가진 신종 육식공룡 발견

    [다이노+] 톱니 이빨’과 ‘낫 발톱’ 가진 신종 육식공룡 발견

    톱니 모양의 이빨과 낫 모양의 발톱을 가진 무시무시한 신종 육식공룡이 발견됐다. 최근 캐나다 앨버타 대학 등 국제공동연구팀은 아르헨티나 파타고니아 지역에서 발굴된 화석을 분석한 결과 신종 육식공룡으로 확인됐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지금으로부터 8000만 년 전 남미대륙을 누빈 이 공룡의 학명은 '무루스랩터'(Murusraptor barrosaensis)로 달리기에 능한 이족 보행 육식공룡이다. 몸길이 6.5m로 추정되는 무루스랩터는 '메가랍토르'(Megaraptor), '오르코랍토르'(Orkoraptor), '아에로스테온'(Aerosteon) 등이 있는 메가랍토르과(Megaraptoridae)에 속한다. ‘거대한 약탈자’라는 의미를 가진 메가랍토르 역시 남미 대륙에 서식한 육식공룡으로 앞 발에 35cm 정도 되는 갈고리 모양의 발톱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연구팀은 무루스랩터가 '사촌'인 메가랍토르보다 더 무서운 약탈자였을 것으로 보고있다. 무루스랩터는 8.2cm에 달하는 큰 톱니모양의 이빨이 3개나 있으며 원형 낫 모양의 날카로운 발톱이 달려있어 두 발로 뛰어다니며 먹잇감을 사냥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무루스랩터와 메가랍토르와의 차이점은 얼굴형과 무루스랩터의 엉덩이 뼈가 가늘고 길어 날씬해보인다는 점이다.     연구를 이끈 필립 커리 박사는 "기존에 발굴된 메가랍토르과 화석들이 대부분 파편으로만 나온데 비해 이번에는 보존상태가 양호하다"면서 "특히 머리 쪽의 상태가 좋아 메가랍토르과 공룡의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무루스랩터는 다른 사촌들과 비교해 훨씬 더 크고 날씬했다"면서 "약탈자다운 강한 신체구조 덕에 순식간에 먹잇감을 잡아 먹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 국립과학도서관 학술지 플로스원(Plos One) 최신호에 발표됐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 인터넷 생방에서 맹견이 새끼 고양이를 물어 뜯어… BJ 처벌 될까

    인터넷 생방에서 맹견이 새끼 고양이를 물어 뜯어… BJ 처벌 될까

     자신이 키우던 맹견이 새끼 고양이를 처참하게 물어뜯는 장면을 찍어 인터넷 생방송에 내보낸 인기 BJ(브로드캐스팅 자키)가 경찰 조사를 받게 됐다.  17일 서울 성동경찰서에 따르면 아프리카TV BJ 김모(22)씨는 동물보호법 위반 혐의로 이달 초 동물보호단체인 동물자유연대로부터 신고 당했다. 김씨가 지난달 30일 경기 여주의 자택 인근에서 자신이 키우는 아메리칸 핏불테리어 종(種) 개를 데리고 아프리카TV 생방송을 하다가, 개가 길고양이를 심하게 물어뜯도록 내버려뒀다는 것이다.  영상을 보면 핏불테리어는 길을 가다가 풀숲 속의 길고양이를 발견하고는 돌연 달려들어 수차례 공격했다. 고양이를 입에 물고 세차게 좌우로 흔들기도 했다. 공격을 당한 고양이는 바닥에 널브러져 아예 움직이지 않았다. 몸길이가 30㎝도 채 되지 않은 것으로 볼 때 태어난 지 얼마 안 된 새끼 고양이로 추정된다.  김씨는 고양이를 내버려 둔 채 현장을 떠났다가 시청자들의 거센 항의를 받았다. 아프리카TV는 김씨에게 방송 정지 조처를 내렸다. 김씨는 지난달까지 BJ 순위 10위권에 이름을 올리는 인기 BJ였다. 신고를 접수한 경찰은 현재 영상을 분석해 실정법 위반 소지가 있는지 검토 중이다. 경찰 관계자는 “김씨에게 자신의 개에게 고양이를 공격하게 한 고의성이 있었는지가 처벌 여부의 관건”이라며 “김씨에게 학대 고의가 있었다고 판단하면 동물보호법 위반으로 1년 이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 벌금을 물릴 수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동물보호법 제13조 2항에 따르면 3개월 이상 나이의 맹견은 외출 시 목줄과 입마개를 채워야 한다. 핏불테리어는 로트와일러 등과 함께 ‘맹견’으로 규정된 종이다. 이를 지키지 않으면 주인은 50만원 이하 과태료를 물어야 한다. 김씨가 고양이의 상해에 직접적 책임이 없다고 인정되면 과태료만 내면 된다.  동물단체 관계자들은 “김씨가 공격을 지시하지 않았더라도, 맹견에게 목줄·입마개를 채우지 않으면 위험하다는 사실을 알면서 의무를 지키지 않아 사고를 유발한 미필적 고의가 있다”고 입을 모았다. 이성원 기자 lsw1469@seoul.co.kr
  • 자기 키보다 큰 물고기 잡은 9세 소녀 화제

    자기 키보다 큰 물고기 잡은 9세 소녀 화제

    미국에서 9세 소녀가 자기 키보다 큰 물고기를 낚시로 잡아 화제가 되고 있다. 화제의 주인공은 미국 메릴랜드주(州) 오션시티에 사는 엠마 자이델(9). 소녀는 지난달 30일(이하 현지시간) 부친 에드를 비롯한 친구 가족과 함께 주(州)내 에서티그 섬 근처에서 바다낚시를 하던 도중 중량 42.9kg짜리 날새기를 잡았다. 메릴랜드주 천연자원부가 엠마 자이델이 잡은 42.9kg짜리 날새기가 지금까지 주에서 잡힌 날새기 가운데 가장 큰 물고기라고 공식적으로 발표했다고 ABC뉴스 등 현지언론이 11일 보도했다. 소녀는 원래 가족, 지인들과 함께 블루피쉬(게르치 무리의 식용어)를 잡으려고 했었다. 엠마는 “낚싯줄이 빠르게 풀리는 것을 보고 우리는 처음에 상어가 걸렸다고 생각했었다”고 말했다. 이후 엠마는 상어라고 생각한 물고기와 거의 20분간 밀고 당기는 싸움을 벌인 끝에 마침내 승리할 수 있었다. 소녀가 잡은 날새기는 너무 커서 저장소 안에 집어넣기 위해 부친 에드와 그의 친구 로버트가 힘을 써야 했다. 이들은 배에서 하루를 보내고 그다음 날 전문가를 통해 기록을 공식 측정했다. 그 결과, 소녀가 잡은 날새치의 몸길이는 무려 1.68m인 것으로 확인됐다. 엠마의 키가 132cm라고 하니 무려 36cm가 더 큰 물고기를 잡은 셈인 것이다. 물고기 측정에 있어 가장 중요한 중량은 무려 42.9kg이나 나갔다. 지금까지 기록은 2014년 잭 라티머라는 이름의 남성이 세운 35.8kg으로, 무려 7.1kg이 더 나갔다고 한다. 특히 소녀가 세운 이번 기록은 국제낚시협회(IGFA) 스몰 프라이(10세 미만 낚시꾼) 세계기록의 신기록으로 인정될 가능성이 크다. 현재 기록은 21.7kg으로 알려졌다. 한편 날새기(학명 Rachycentron canadum)는 날새깃과의 대형 바닷물고기로, 외형은 가늘고 긴 방추형이다. 몸빛은 등 부분이 잿빛 갈색, 배 부분은 담색을 띤다. 얼굴 특징은 아래턱이 위턱보다 나와 있다. 한국과 일본, 말레이시아 등 온대와 열대에 널리 분포한다. 사진=메릴랜드주 천연자원부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 ‘어~ 먹이가 아니네!’ 수중 드론 공격하는 거대 백상아리

    ‘어~ 먹이가 아니네!’ 수중 드론 공격하는 거대 백상아리

    수중 드론을 먹이로 오인해 공격한 백상아리의 모습이 포착됐다. 지난 10일(현지시간) 영국 데일리메일은 최근 호주 퀸즈랜드 주(州) 엑스머스 해안에서 거대한 백상아리가 금속 수중 드론을 공격하는 모습의 영상을 기사와 함께 소개했다. 영상을 보면 수중 바다 깊숙이의 금속 수중 드론의 모습이 보인다. 곧이어 거대한 백상아리가 나타나 하얀 이빨을 드러내며 드론을 공격한다. 먹이가 아님을 알아챈 백상아리가 급히 자리를 뜬다. 무시무시한 백상아리 이빨 공격에도 드론은 무사해 보인다. 백상아리는 상어 중 가장 위험한 상어로 다 자란 암컷 백상아리는 몸길이가 최대 13m, 무게 3톤에 이른다. 하지만 백상아리는 현재 멸종 위기에 처해있으며 범고래의 먹이가 되기도 한다.(참고: 위키백과) 사진·영상= viral youtube 영상팀 seoultv@seoul.co.kr
  • 멸종위기 거대 향유고래, 英해변에서 끝내 숨져

    멸종위기 거대 향유고래, 英해변에서 끝내 숨져

    영국의 한 해변에서 발견된 거대한 향유고래가 끝내 바다로 돌아가지 못한 채 뭍에서 생을 마감했다. 일간지 데일리메일 등의 10일자 보도에 따르면, 콘월 주의 페런포스 해변에서 발견된 이 향유고래는 현지시간으로 이날 파도에 휩쓸려 해변으로 떠밀려 올라온 채 발견됐다. 이 향유고래의 몸길이는 무려 12m에 달하며, 전문가들은 이 향유고래가 성체가 아닌 새끼인 것으로 보고 있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해양동물 전문가 및 구조대에 따르면 당시 이 향유고래의 몸에는 큰 상처가 있었으며, 폐에 혈액이 차는 증상 때문에 호흡이 매우 힘든 상황이었다. 구조대는 곧장 향유고래의 몸이 마르지 않도록 바닷물을 부어주며 구조를 시작했지만, 새끼 향유고래는 이내 호흡을 멈추고 말았다. 해양생물 구조대원인 데이비드 자비스는 “발견 당시 향유고래의 장기 손상이 매우 심각했다. 아마도 물 밖으로 떠밀려 나오면서 받은 압력과 충격 때문일 것”이라면서 “이 향유고래 폐에는 피가 가득 차 있었으며 발견된 지 2시간 만에 결국 세상을 떠났다”고 말했다. 거대한 향유고래가 영국 해안에 떠밀려 발견된 것은 올해로 벌써 7번째다. 다만 콘월 지역에서 향유고래가 발견되는 것은 매우 드문 일로 알려졌다. 향유고래가 목숨이 위태로운 채, 혹은 이미 숨이 끊어진 채 해변에서 발견되는 현상에는 다양한 원인이 지목되는데, 일부 전문가들은 수심이 얕은 곳에서 해역을 조사하는 향유고래의 능력에 문제가 생긴 것을 주 원인으로 꼽는다. 향유고래가 깊은 바다로 돌아가는 방법을 찾지 못해 해변으로 떠밀려 올라오는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향유고래는 최대 몸길이 20m, 몸무게 40t 이상에 달하는 거대 육식생물로, 세계 각지 바다에 분포하며 깊은 수심으로 잠수할 수 있다. 장 속에 형성되는 이물질 덩어리인 용연향(龍涎香)이 고급 향신료 재료로 쓰이고 머리에 함유된 고래기름도 쓰임새가 많아 남획된 탓에 현재는 멸종위기종에 해당한다.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
  • [별별영상] ‘세상에서 가장 큰 장수풍뎅이’ 영상 화제

    [별별영상] ‘세상에서 가장 큰 장수풍뎅이’ 영상 화제

    ‘세상에서 가장 큰 장수풍뎅이’ 영상이 화제네요. 최근 영국 동영상 공유사이트 ‘라이브릭’(Liveleak.com)에 올라온 영상에는 거대한 크기의 애완용 헤라클레스장수풍뎅이 모습이 담겨 있습니다. 젊은 남성이 딱정벌레의 부리를 잡아 들어올리자 커다란 날개를 펼치며 선풍기처럼 큰 소리를 냅니다. 헤라클레스장수풍뎅이는 몸길이 15~17cm로 세상에서 가장 큰 장수풍뎅이로 알려졌습니다. 사진·영상= Liveleak.com / InsecthausTV youtube 영상팀 seoultv@seoul.co.kr
  • 러시아서 사람 치아 닮은 이빨 가진 물고기 잡혀

    러시아서 사람 치아 닮은 이빨 가진 물고기 잡혀

    러시아의 한 도시 호수에서 사람 치아 모양의 이빨을 가진 물고기가 잡혀 화제가 되고 있다. 지난달 30일(현지시간) 호주 뉴스 인터넷 언론사인 뉴스닷컴은 최근 러시아 서부 툴라의 한 호수에서 사람의 치아를 닮은 이빨을 가진 물고기 파쿠(Pacu)가 잡혔다고 보도했다. 파쿠는 치아의 크기와 배열이 사람과 비슷해 ‘인치어’라고 불리는 남미의 물고기로 육식 피라냐의 친척뻘이며 사람을 잡아먹는 육식성이 아닌 초식성 물고기로 알려졌다. 툴라 도시 대변인 바바라 툴노바(Varvara Trunova)는 “어부에 의해 포획된 물고기는 길이 20cm, 무게 240g의 ‘파쿠’이며 현재 검사 중”이라며 “누군가가 키우던 애완동물을 호수에 내다 버렸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러시아에서 ‘파쿠’의 포획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 2014년 10월 아르항겔스크 북부 드비나 강에서 낚시꾼 알렉스 코로봅에 의해 파쿠가 포획된 바 있다. 한편 ‘파쿠’는 아마존 강에 서식하며 몸길이 80cm까지 자라는 대형 담수어다. 주로 견과류와 해초를 먹고 사는 어류지만 알몸으로 수영하는 남성들의 고환을 먹이로 착각해 공격하기도 해 ‘볼 커터’(Ball Cutter)라고도 불린다. 사진·영상= CEN, australscope / souchatv youtube 영상팀 seoultv@seoul.co.kr
  • 고래처럼 수면 위로 공중제비하는 상어

    고래처럼 수면 위로 공중제비하는 상어

    ‘저도 공중제비 할 수 있어요’ 3일(현지시간) 영국 데일리메일은 지난 2일 서호주 퍼스 로킹엄 해안에서 수 미터 수면 위로 공중제비하는 상어 모습이 담긴 영상을 기사와 함께 소개했다. 보트를 타고 낚시에 나선 제이크 비즐리(Jake Beazley)와 라키 댄스(Lachy Dance)를 비롯한 그의 친구들에게 좀처럼 보기 드문 광경이 펼쳐진다. 그들의 보트 가까이 다가온 2m짜리 마코상어(shortfin mako shark:청상아리)가 수 미터 수면 위로 튀어 오르며 공중제비를 한 것. 갑작스럽게 물 위로 점프하는 상어의 모습에 비즐리가 놀라워한다. 매주 친구들과 해안에서 낚시를 즐긴다는 비즐리는 “낚시를 하면서 많은 상어를 보아왔지만 공중제비하는 상어를 본 적은 없었다”며 “상어가 나타날 당시 친구 벤 홀과 숀 데이븐포트는 보트 밖에 있었다”고 말했다. 한편 헤밍웨이의 소설 ‘노인과 바다’에 나오는 상어로 알려진 마코상어는 몸길이 2.4~5m, 최대 600kg에 이르며 시속 60km까지 헤엄칠 수 있다. 어류나 포유류, 썩은 고기 등을 가리지 않고 먹는 잡식성이며 간혹 수영하는 사람이나 작은 배를 공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참고: 위키백과) 사진·영상= Jake Beazley facebook / Arin Alkajirun youtube 영상팀 seoultv@seoul.co.kr
  • [애니멀 픽!] 다 자라도 아기 같은 ‘사막 고양이’

    [애니멀 픽!] 다 자라도 아기 같은 ‘사막 고양이’

    나이를 많이 먹어도 새끼의 모습을 간직하는 ‘피터 팬’ 고양이가 눈길을 끈다. 30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메트로는 ‘모래고양이’(Sand Cat)들의 귀엽고 신비한 모습을 소개했다. 일명 ‘사막 고양이’라고도 불리는 모래고양이는 이름에 걸맞게 아프리카 북부 사막 지대에 서식하는 야생 고양이 종이다. 몸길이 45~57cm, 꼬리길이 23~35cm, 어깨높이 24~30cm 정도로 야생고양이 가운데 가장 작은 종류에 속한다. 다리가 짧고 머리가 넓고 평평하여 나이를 먹어도 어린 고양이 같은 인상을 풍기는 것이 특징이다. 털은 부드러우며 모래 빛깔을 닮은 엷은 갈색과 회색이 섞여 있다. 다리는 긴 털로 촘촘히 덮여 있는데, 이는 모래의 열기에 다리가 화상을 입는 일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몸에 난 빽빽한 털 또한 사막의 열기를 막아준다. 모래고양이는 귀엽고 어려보이는 인상과는 달리 일반 고양이보다 훨씬 사나운 야생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이들은 일반적인 뱀은 물론 독사도 사냥하는데, 앞발로 머리를 쳐 정신을 잃게 한 뒤 목을 물어 목숨을 끊는 사냥 방식을 가졌다. 일반 고양이와 같이 야행성이어서 낮 동안에는 열기를 피해 그늘에서 잠들어 있다가, 밤이 되면 비로소 사냥에 나선다. 그르렁거리는 소리를 내거나 그루밍을 하는 등의 다른 습성도 일반적인 고양이와 다를 바가 없다. 모래고양이는 ‘취약근접’ 상태에 놓여 있어 관심과 관리가 필요한 종이기도 하다. 중동에서는 이 고양이들을 불법적으로 거래하기 위해 포획하는 사례가 있으며, 때로는 ‘여흥’을 위해 사냥당하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메트로 캡처(맨 위, 두 번째)/위키커먼스/이미져(맨 아래) 방승언 기자 earny@seoul.co.kr
  • [와우! 과학] 세계 최초 ‘임신한 뱀상어’ 초음파 촬영

    [와우! 과학] 세계 최초 ‘임신한 뱀상어’ 초음파 촬영

    세계 최초로 새끼를 가진 뱀상어의 초음파 영상이 공개돼 학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뱀상어(tiger shark)는 줄무늬가 호랑이 무늬를 닮았다 해서 호랑이상어로도 부르며, 태평양과 대서양, 인도양의 열대 온대 해역에 분포한다. 야행성으로 몸길이는 최대 6m까지 자란다. 지금까지 해양학자들은 암컷 상어의 임신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탓에 관련 연구를 하려면 반드시 상어의 배를 절개해야 하는 위험을 감수했었다. 미국 마이애미 대학교 로젠스틸 캠퍼스와 호주 뉴잉글랜드 대학교 해양학 공동 연구진은 지난 2001년부터 3년간 카리브해 바하마의 일명 ‘타이거 해변’에서 ‘에밀리’라는 이름의 암컷 상어를 관찰해왔다. 에밀리는 몸길이 약 4m 정도이며, 연구진이 초음파 촬영을 시도한 당시 에밀리는 뱀상어의 평균 임신기간(12~13개월) 중 3분의 2 가량이 지난 상태였다. 연구진이 해양 첨단장비를 이용해 에밀리의 뱃속을 초음파 촬영한 결과 에밀리의 배에는 총 20마리의 새끼가 자라고 있었으며, 이들은 각각 40~45㎝정도의 몸길이로 매우 건강한 상태였다. 또 초음파 촬영을 통해 뱃속 새끼 상어들의 지느러미와 눈, 이빨의 배열 등도 자세히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진은 연구가 마무리 된 뒤 결과를 모아 지난 달 ‘수생 생물학’(Aquatic Biology) 저널에 발표했다. 또 이들이 촬영한 초음파 동영상은 이번 주 디스커버리 채널을 통해 최초로 공개했다. 연구를 이끈 뉴잉글랜드대학교의 상어 전문가인 제임스 술리코우스키 박사는 “이전까지 단 한번도 뱀상어 뱃속에서 자라는 새끼들을 본 적이 없다”면서 “에밀리는 매우 많은 새끼를 한 배에 품고 있었으며 새끼들 모두 건강했다”고 전했다. 초음파 촬영이 끝난 뒤, 연구진은 에밀리에게 위치추적 위성태그를 부착했다. 이를 통해 뱀상어가 어디에서 새끼를 낳는지, 계절에 따라 얼마나 깊은 바다까지 이동하는지 등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연구진은 “이번 초음파 촬영 연구는 임신한 뱀상어의 습성을 연구하는데 새로운 단서를 제공할 것”이라면서 “위성 장치에 찍힌 좌표를 바탕으로 뱀상어가 새끼를 낳은 곳을 알게 된다면, 우리는 뱀상어 개체 보존을 위해 해당 지역을 보호하려는 노력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
  • 동족 먹어치우는 황소 상어 포착

    동족 먹어치우는 황소 상어 포착

    약한 자는 강한 자의 먹이가 된다는 ‘약육강식’의 냉엄한 법칙은 때론 같은 종(種)에게도 예외가 없어 보인다. 22일(현지시간) 미국 지역신문 티시팜(TCPalm)에 따르면, 플로리다주 세인트루시에 원자력발전소 인근 바다에서 카약 낚시를 즐기고 있던 낚시꾼들은 자신보다 몸집이 작은 상어를 먹어 해치우는 상어의 모습을 우연히 포착했다. 낚시꾼들의 영상에는 몸길이 약 1.2미터의 검정 지느러미 상어를 뜯어먹는 황소 상어의 모습이 담겼다. 검정 지느러미 상어와 황소 상어는 둘 다 흉상어과에 속한다. 동족을 잡아먹는 소름끼치는 장면에 낚시꾼들은 탄성을 질러댄다. 한편 예측불가능한 행동과 포악한 성격을 가진 황소 상어는 지구상에서 가장 위험한 상어 중 하나로 알려져있다. 사진·영상=Palm Beach Pete/유튜브 영상팀 seoultv@seoul.co.kr
  • ‘눈 없는’ 희귀 메기, 美 텍사스서 최초 확인

    ‘눈 없는’ 희귀 메기, 美 텍사스서 최초 확인

    멕시코에만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희귀 매기가 미국 텍사스의 한 석회암동굴에서 발견돼 학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일명 멕시칸 블라인드캣(Mexican Blindcat, 학명 Prietella phreatophila)이라고 불리는 이 메기는 오로지 지하수에서만 서식하며, 어류를 포함한 동물들과는 달리 눈이 없다는 매우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몸길이는 약 8㎝정도로 작은 편이다. 멕시코에서도 매우 드물게 발견됐던 ‘눈 없는 메기’가 미국 남서부 텍사스의 아미스태드국립휴양지의 한 동굴에서 마지막으로 목격된 것은 지난해 5월의 일이다. 이 휴양지를 찾았던 한 동굴탐험가가 석회암 동굴에서 우연히 이를 발견했지만 전문가의 확인이나 포획이 없었기 때문에 ‘목격담’으로만 남아있었다. 이후 생물학자인 피터 스프라우스 박사와 텍사스국립공원서비스 소속 잭 존슨이 팀을 이뤄 약 1년간 수색한 끝에, 텍사스에서 옅은 분홍빛 몸에 눈이 없는 멕시칸 블라인드캣 2마리를 발견하는데 성공했다. 이를 확인한 텍사스대학의 어류학자 딘 핸드릭슨 박사는 “1960년대부터 이 일대에서 눈이 없는 메기가 목격됐다는 제보는 있었지만 공식적으로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면서 “반투명한 피부 때문에 혈액이 흐르는 모습까지 확인할 수 있는데다 두 눈이 없는 형태 등을 미뤄 봤을 때, 매우 희귀한 멕시칸 블라인드캣이 확실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들은 본래 멕시코에서만 관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텍사스에서 종종 발견되는 이유는 텍사스와 멕시코를 연결하는 지하수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고 덧붙였다. ‘눈 없는 메기’가 눈이 없이도 서식할 수 있는 ‘비결’은 서식 환경에 있다. 일반적으로 동굴에서 서식하는 동물들은 다른 동물들이 가지고 있는 특성이 사라지고 특유의 신체적 기능을 보유한다는 것. 예컨대 빛이 매우 부족한 컴컴한 동굴에서 생활하는 이 메기의 경우, 눈이 발달하지 않았고 헤엄치는 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특징이 있다. 전문가들은 동굴과 같이 빛이 없는 곳에서는 앞을 봐야 할 일 혹은 앞을 볼 수 있는 일이 많지 않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눈이 퇴화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이번에 미국에서 처음 확인된 ‘눈 없는 메기’ 멕시칸 블라인드캣은 텍사스의 샌안토니오동물원 연구보존센터로 옮겨진 상태다.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