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몸길이
    2025-07-08
    검색기록 지우기
  • 휴대전화
    2025-07-08
    검색기록 지우기
  • 518
    2025-07-08
    검색기록 지우기
  • JTBC
    2025-07-08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2,182
  • 에버랜드 캥거루 탈출, 5살 수컷 캥거루 1.5m 울타리 뛰어넘어

    에버랜드 캥거루 탈출, 5살 수컷 캥거루 1.5m 울타리 뛰어넘어

    경기도 용인 에버랜드에서 25일 5살 된 수컷 캥거루가 탈출하는 소동이 빚어졌다. 다행히 다친 사람은 없었다. 26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날 오후 4시쯤 몸길이 1m가 넘는 5살가량 된 수컷 캥거루 1마리가 에버랜드 동물원 캥거루 우리를 빠져나와 10여 분간 주변을 돌아다니다가 사육사들에게 붙잡혔다. 에버랜드 측은 이 캥거루가 높이 1.5m가량의 울타리를 뛰어넘어 빠져나온 것으로 보고 있다. 에버랜드 관계자는 “캥거루가 뭔가에 놀라 우리를 탈출한 것 같다”며 “캥거루 탈출은 이번이 처음으로 울타리 등을 강화해 재발을 막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中서 1.6m 민어 잡혀…1억8000만원 호가

    중국에 판다 만큼 귀한 물고기가 있다고 알려져 화제다.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은 중국 현지언론을 인용해 지난 18일 중국에서 가치가 110만 위안(약 1억 8000만 원)에 달하는 희귀 민어가 잡혔다고 전했다. 이 물고기는 중국 저장성 저우산(舟山)에 있는 다이산(岱山) 섬 인근 바다에서 잡혔으며, 몸길이는 1.6m, 무게는 48kg에 달한다. 워낙 큰 몸집 탓에 당시 이 물고기를 잡은 배의 선원 네다섯 명이 달라붙어 간신히 갑판 위로 끌어올린 것으로 전해졌다. 보도에 따르면, 이 물고기는 중국에서 ‘저우산 큰 물고기’(舟山大鱼·저우산 따위)로 알려진 희귀 민어 종이다. 이른바 ‘저우산 민어’를 잡은 이 배의 한 선원인 첸은 “저우산 따위는 대왕판다 만큼 귀하다”고 설명했다. 또 “이 물고기를 잡은 것은 매우 큰 행운”이라면서 “심지어 더 오랜 경력을 가진 베테랑 어부들도 이를 잡을 기회가 없는 경우도 많다”고 말했다. 현재 이 물고기는 곧바로 급속 냉동돼 다이산 지역에 있는 저장고에 보관돼 있다. 이들 어부는 이 물고기가 적어도 110만 위안에 팔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는 이 물고기 부위에서도 가치가 높은 부레 때문이라고 한다. 단백질과 지방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진 민어 부레는 중국에서 주로 약재로 쓰이며 심장과 폐 질환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과학적으로 검증된 것은 아니다. 첸은 현재 관심이 있는 구매자들의 문의가 쇄도하고 있지만, 아직 팔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이 같은 소식에 중국의 많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사용자들 사이에서도 이 물고기의 엄청난 가격에 의문을 보였다. 중국 유명 SNS인 ‘큐큐’(QQ)의 한 이용자는 “내가 이 물고기를 먹으면 영원히 살 수 있는가?”라고 물었다. 또 다른 이용자는 “차라리 이 돈으로 잠수함을 사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 태국 방콕 공원에 왕도마뱀 폭증…당국 포획작전

    태국 방콕 공원에 왕도마뱀 폭증…당국 포획작전

     태국의 수도 방콕 한복판에 있는 유명 공원에서 왕도마뱀 개체 수가 급증해 당국이 대대적인 포획작전에 나섰다.  21일 현지 언론에 따르면 방콕시 환경 당국은 시내 중심가에 있는 룸피니 공원에서 100여 마리의 왕도마뱀을 포획, 인근 랏차부리주의 동물보호구역으로 보냈다.  당국이 대대적인 포획작전에 나선 것은 최근 공원에 서식하는 왕도마뱀 개체 수가 급증한 데 따른 것이다.  면적이 160㏊(약 160만㎡)에 달하는 이 공원은 광활한 녹지와 넓은 연못이 있어 왕도마뱀의 서식처로 손색이 없다.  더욱이 방문객들이 던져주는 음식 덕에 먹이 걱정도 없는 이곳에서 왕도마뱀들은 왕성하게 번식했고, 그 결과 최근 개체 수가 400마리 이상으로 늘었다. 문제는 몸길이가 최대 3m에 이르는 왕도마뱀들이 공원 일대를 어슬렁거리면서 방문객들을 위협하는 상황이 빈발해 민원이 잇따랐다는 게 당국의 설명이다.  공원 관리자인 아웨 솜나미씨는 “왕도마뱀들이 종종 공원에 놀러 온 사람들의 음식을 노리고 달려들기도 한다. 사람들은 이제 왕도마뱀을 골칫거리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수완나 중룬그루엉 방콕시 환경국장은 “그들은 사람들이 두려워한다는 것도 모른 채 공원을 활보한다. 이제 개체 수를 줄일 시점이 됐다”고 이번 포획작전의 배경을 설명했다.  뱀목 왕도마뱀 과에 속하는 왕도마뱀은 수명이 대략 20년이며 다 자랐을 경우 몸길이가 최대 4m에 달할 만큼 위협적이다.  악어의 출현을 예고해 준다는 이유로 영어 명칭은 ‘모니터 도마뱀’(monitor lizard)이다.  태국에서는 종종 왕도마뱀이 주거지나 상가에 나타나 사람들을 놀라게 한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 고래들의 우아한 유영

    고래들의 우아한 유영

    혹등고래 세 마리가 유영하는 모습을 드론으로 담아낸 영상이 눈길을 끌고 있다. 최근 미국의 온라인 매체 씨넷(Cnet)은 프랑스령 누벨칼레도니(영어명 뉴칼레도니아) 인근 해안에서 혹등고래 세 마리가 포착된 영상을 소개했다. 이는 지난달 프랑스의 한 드론업체가 촬영한 것으로, 최근 누리꾼들에게 큰 관심을 받고 있다. 공개된 영상은 물살을 가르는 보트로 시작되고 혹등고래 세 마리가 그 주변을 유영한다. 이 모습을 드론을 통해 상공에서 담은 모습이 장관이다. 특히 여유롭게 물살의 가르는 녀석들이 물을 내뿜는 모습은 생생한 현장음과 더해서 깊고 우아한 영상미로 완성된다. 한편 혹등고래는 긴수염고래과의 포유류로 몸길이 11∼16m, 몸무게 30∼40t에 이른다. 또한 대형 고래 중 해안가에 자주 등장하는 편이며 사람들과 가장 친숙한 관계를 맺는 종이다. 사진 영상=Wam Wamland 영상팀 seoultv@seoul.co.kr
  • [와우! 과학] 공룡 전 지상을 지배한 거대 육식 파충류 발견

    [와우! 과학] 공룡 전 지상을 지배한 거대 육식 파충류 발견

    고생대 말인 페름기에 발생한 대멸종 (2억 5,100만 년 전)으로 인해 당시 지구 생물 종의 대부분이 멸종했다. 이후 시대는 중생대라고 부르는데, 이 시기 공룡을 비롯한 다양한 생물체가 비어 있는 생태계를 장악해서 새로운 주인공으로 군림했다. 따라서 중생대 하면 공룡의 시대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공룡류를 제외한 파충류와 포유류의 조상 역시 같은 시기에 다양한 진화를 이뤘다. 사실 중생대의 첫 시기인 트라이아스기에는 공룡류가 주도적인 육상 동물이라고 부르기도 모호한 시기였다. 최근 미국 버지니아 공대 과학자들은 뉴멕시코의 지층에서 트라이아스기에 살았던 거대 육식 파충류의 화석을 발견했다. 이 화석은 몸길이 3.6m에서 5.4m에 달하는 네 발 육식 파충류의 것으로 지금으로부터 2억 1,200만 년 전 살았던 최상위 포식자였다. 마치 네 발로 걷는 악어의 모습처럼 생긴 이 고대 괴물은 '비바론 하이데니'(Vivaron haydeni)라고 명명되었다. 발견된 화석은 성체 두 마리와 어린 개체 한 마리로 당시 뉴멕시코는 초대륙 판게아의 서부 지대에 해당한다. 연구팀에 의하면 이 고대 괴물은 악어류는 아니지만, 악어와 가까운 '사촌'으로 같은 시기에 살았던 대다수 공룡보다 컸다. 이 시기에 살던 공룡의 조상은 아직은 작은 생물체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시기에는 비바론 하이데니가 최상위 포식자로 군림할 수 있었다. 그런데 왜 나중에는 이들의 후손이 아니라 공룡이 더 지배적인 위치에 오를 수 있었을까? 그 이유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공룡이 다른 파충류보다 더 효율적인 몸 구조와 생태학적 기능(많은 고생물학자가 공룡이 항온 동물 혹은 중온 동물이라고 생각하고 있다)을 가졌기 때문일 수 있다. 수각류 공룡은 깃털을 진화시켰고 일부는 조류로 진화했는데, 이 역시 더 발전된 신체 구조 덕분에 가능했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런 능력을 획득하기 전 공룡류의 조상은 대형 파충류의 조상보다 특별히 더 나은 생태학적 지위를 누리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비바론 하이데니는 이 시기를 살았던 거대 육식 파충류인 셈이다. 중생대를 공룡의 시대라고 부르는 것은 사실 우리의 편견일지도 모른다. 이 시기에는 공룡으로 잘못 인식되는 익룡이나 어룡은 물론 여러 파충류와 포유류의 조상이 다양한 생태계를 구성했던 시기다. 중생대 최상위 포식자라고 하면 육식 공룡부터 생각나지만, 실제 중생대 생태계는 우리가 상상했던 것보다 더 복잡하고 다양한 세상이었다. 이번에 발견된 거대 육식 파충류의 화석은 이 사실을 말없이 웅변하고 있다. 고든 정 통신원 jjy0501@naver.com 
  • ‘유빙의 천사’ 100년 만에 신종 클리오네 발견

    ‘유빙의 천사’ 100년 만에 신종 클리오네 발견

    ‘유빙의 천사’로 유명한 클리오네 신종이 약 100년 만에 발견돼 화제가 되고 있다. 일본 훗카이도신문은 8일 훗카이도 란코시초 조개류 박물관과 오호츠크 유빙과학센터의 두 연구자가 오호츠크해에서 발견한 조개류가 신종 클리오네인 것을 확인했다고 보도했다. 클리오네는 몸길이가 보통 1~3㎝에 이르는 껍질이 없는 조개류로, 내장기관을 제외하고 투명한 몸체로 돼 있다. 남·북극을 중심으로 분포하며 일반 생물은 거의 살 수 없는 섭씨 0도에 이르는 유빙에서 산다.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바다의 요정 클레이오에서 유래한 클리오네는 이름처럼 어깨에 붙은 작은 지느러미가 천사의 날개를 연상시켜 ‘바다의 천사’나 ‘유빙의 천사’로 불린다. 일본에서는 클리오네를 보며 소원을 빌면 소원이 이뤄진다는 전설이 있다. 클리오네는 천사라는 별명과 달리 육식성이다. 한 쌍의 더듬이가 달린 머리 사이에서 ‘버컬 콘’(buccal cone)이라는 6개의 촉수가 튀어나와 먹이가 되는 동물성 플랑크톤을 움켜쥐고 천천히 양분을 흡수한다. 지금까지 전 세계에서 발견된 클리오네류는 총 3종이다. 지금까지 오호츠크해에서 발견됐던 클리오네는 몸길이 약 3㎝인 클리오네 리마키나 1종뿐이었지만, 리마키나보다 둥그스름하게 생기고 몸길이는 약 8㎜로 더 작은 생물이 4번째 클리오네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연구자들은 신종 클리오네가 오호츠크해에서 발견됐다는 것에서부터 학명을 ‘클리오네 오호텐시스’로 명명했다. 사실, 클리오네 오호텐시스는 10년 전부터 그 존재가 확인되고 있었지만, 외형이 유빙의 천사로 불리는 기존 클리오네와 달리 오뚜기처럼 생겨 연구자들 사이에는 다른 생물류로도 생각돼 왔다. 오호츠크 유빙 과학센터의 쿠와바라 히사시 학예원(박물관 전문 직원)은 지난 2011년 4월 오호츠크해 남쪽 지역에서 전시용으로 채집한 클리오네들을 관찰하던 중 오호텐시스가 클리오네류의 특징적인 촉수 6개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이후 조개류 전문가인 란코시초 조개류 박물관 ‘조개의 관’의 야마자키 유스케 학예원이 유전자 분석을 시행하고 1년간 시험적으로 사육하는 등의 연구를 통해 신종임을 밝혀냈다. 오호츠크해의 클리오네 리마키나는 북태평양과 북대서양에서도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두 연구자가 각 서식지에서 채집한 클리오네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오호츠크해에 서식하는 클리오네는 북태평양에 사는 것과 달라 그 명칭은 클리오네 엘레간티시마로 변경됐다. 이 결과에 따라 오호츠크해에 서식하는 클리오네는 엘레간티시마와 신종 오호텐시스 2종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세한 연구성과는 오는 10월 국제 학술지 ‘연체동물 연구저널’(Journal of Molluscan Studies) 등에 게재될 예정이다. 사진=란코시초 조개류 박물관 ‘조개의 관’(위), 오호츠크 유빙과학센터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 방송 도중 출연자 목 조르는 비단뱀

    방송 도중 출연자 목 조르는 비단뱀

    한 리얼리티 TV쇼에 출연한 영국 남성이 비단뱀에 목이 졸렸다가 겨우 위기를 모면했다. 25일(현지시간) 호주 나인뉴스 등 외신에 따르면, 영국 출신 방제업자 크레이그 프리먼(38)은 몇 달 전 영국 UKTV의 한 리얼리티 프로그램 촬영을 위해 호주 퀸즐랜드 주 에얼리비치를 방문했다가 아찔한 경험을 했다. 그의 임무는 한 가정집에 침입한 몸길이 3미터의 비단뱀을 포획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호주 출신 방제업자 카일리가 동행했다. 이들은 세탁실 구석에서 똬리를 튼 비단뱀을 발견했다. 크레이그는 카일리가 시키는 대로 뱀의 머리 부분을 재빨리 낚아챘다. 뱀이 입을 벌려 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였다. 하지만, 비단뱀은 몸통으로 크레이그의 팔과 목을 감아 조이기 시작했다. 순식간에 목이 졸린 크레이그는 얼굴이 새빨갛게 변했다. 카일리가 뱀을 풀어내고서야 크레이그는 “놀라운 경험이었다”고 말하며 안도했다. 한편 크레이그는 이때의 충격으로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나 병원에서 9시간을 입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영상=UKTV/유튜브 영상팀 seoultv@seoul.co.kr
  • 얕은 해변으로 떠밀려온 들쇠고래떼, 도대체 왜?

    얕은 해변으로 떠밀려온 들쇠고래떼, 도대체 왜?

    영국 데일리메일은 22일(현지시간) 서아프리카 카나리아 제도 동쪽 끝 란사로테 섬 콜로라다스 해변에 들쇠고래 10여 마리가 떠밀려와 표류하는 사건이 발생했다고 보도했다. 이 극적인 장면은 이 지역 루비콘 다이빙 센터 다이버 나타샤 막시멘코(Natasha Maksymenko)에 의해 포착됐다. 영상에는 해변 얕은 물가로 떠밀려온 10여 마리의 들쇠고래떼의 모습과 함께 해수욕을 즐기던 피서객들이 들쇠고래떼가 다시 바다로 갈 수 있도록 헤엄치는 방향을 바꿔주는 모습이 담겨 있다. 소셜 미디어에 영상을 올린 막시멘코는 “처음에는 사람들이 물에 들어가는 것을 무서워했다”면서 “하지만 들쇠고래들이 얕은 물에 갇힌 것을 본 뒤엔 모두 물에 뛰어들어 그들을 살리려고 노력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개인적으로 들쇠고래들을 구할 수 있어 자랑스럽고 특히 내 손으로 직접 새끼 들쇠고래를 구해서 무척 기뻤다”며 “그 당시의 새끼 들쇠고래 표정을 결코 잊을 수가 없다”고 덧붙였다. 한편 들쇠고래는 다 자랐을 때 몸길이 약 6m, 체중 약 3.6t에 이를 정도로 거대한 고래 중 하나로 북위 50도~남위 40도의 온대와 열대 심해에 서식한다. 보통 15~40마리가 무리 지어 생활하며 사회성이 매우 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영상= Natasha Maksymenko, MIAN07 CITY youtube 영상팀 seoultv@seoul.co.kr
  • 혹등고래의 비상

    혹등고래의 비상

    혹등고래 한 마리가 카약을 탄 사람들 앞에 솟구쳐 오르며 장관을 연출했다. 16일 CBS뉴스에 따르면, 최근 캐나다 브리티시콜럼비아(BC) 남쪽 해안에서 카약을 즐기던 사람들 앞에 혹등고래 한 마리가 모습을 드러냈다. 물 위로 솟구쳐 오르며 거대한 몸집을 드러낸 녀석의 모습에 사람들은 감탄을 쏟아냈다. 이 장면을 촬영한 헤더 로렌스는 “녀석이 우리 곁을 지나갔다. 엄청난 전율이 느껴지는 굉장한 순간이었다”며 놀라워했다. 한편 혹등고래는 몸길이는 11~16m, 몸무게는 30~40t에 달하는 대형 고래다. 운동성이 강해 온몸을 물 위로 드러내 점프하는 경우가 많다. 이유는 다양하지만, 몸에 붙어 있는 기생충을 제거하는 목적이 대부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진 영상=Wildcoast Adventures 영상팀 seoultv@seoul.co.kr
  • 가오리 물어 던지는 바다사자에 여성 카약커 ‘화들짝’

    가오리 물어 던지는 바다사자에 여성 카약커 ‘화들짝’

    바다사자가 가오리를 물어 던지는 보기 드문 순간이 포착됐다. 영국 데일리메일은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주 오렌지카운티의 선착장 인근 해안에서 카약을 즐기던 여성 카약커에 의해 커다란 가오리를 물어 던지는 바다사자의 모습이 포착됐다고 지난 1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선착장에 정박해 있는 배와 카약 사이 수면 가까이서 헤엄치는 바다사지의 모습이 보인다. 잠시 뒤, 바다사자의 몸부림이 거세지며 무엇인가를 입에 문 채 흔들어댄다. 바다사자의 입에 물려 있던 것은 거대한 가오리 한 마리. 가오리가 여성 카약커의 앞쪽에 떨어지자 그녀는 화들짝 놀란다. 날카로운 바다사자의 이빨에 가오리가 죽은 듯 물속으로 가라앉는다. 바다사자는 물개과에 딸린 포유동물로, 물개과 중에서 가장 크다. 몸길이는 수컷이 3.5m, 암컷이 2.3m쯤이다. 몸 색깔은 옅은 적갈색이며, 우는 소리가 사자와 비슷해 바다사자라는 이름이 붙었다.(참고: 학습그림백과) 사진·영상= dailymail / all around the web youtube 영상팀 seoultv@seoul.co.kr
  • “난 귀하신 몸이다냥”…희귀 ‘모래 고양이’ 사막서 포착

    “난 귀하신 몸이다냥”…희귀 ‘모래 고양이’ 사막서 포착

    야생에서는 좀처럼 보기 힘든 희귀한 고양이가 10년 만에 포착됐다. 지난 9일(현지시간) 영국 인디펜던트 등 외신은 UAE 아부다비 사막에 사는 '아라비안 모래 고양이'(Arabian sand cat)의 모습이 10년 만에 촬영됐다고 보도했다.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이 지정한 멸종위기종인 모래 고양이는 특이하게도 태양이 타오르는 사막에 서식하는 야생 종이다. 몸길이 45~57cm, 꼬리길이 23~35cm, 어깨높이 24~30cm 정도로 야생고양이 가운데 가장 작으며 머리가 넓고 평평해 나이를 먹어도 '동안'을 자랑하는 것이 특징. 그러나 귀여운 외모와 달리 사냥할 때 만큼은 야생동물 그대로다. 야행성인 모래 고양이는 설치류를 주로 잡아먹지만 독사도 사냥할 만큼 기술도 뛰어나다. 아부다비 사막에서 오랜 시간 은둔해왔던 모래 고양이를 포착한 것은 알아인 동물원 연구자들의 노력 덕이다. 사막 여기저기에 음식물이 마련된 무인 카메라를 설치해 몇 달 동안 관찰해오다 총 3마리의 모래 고양이를 촬영하는데 성공한 것. 조사에 참여한 샤킬 아메드 연구원은 "거대한 사막에서 모래 고양이를 촬영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라면서 "고양이 서식 예상지역을 탐사한 후 먹이가 있는 카메라를 설치한 것이 주효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연구는 모래 고양이의 생태와 개체수를 연구하는데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 드론이 촬영한 플랑크톤 먹는 거대 돌묵상어떼

    드론이 촬영한 플랑크톤 먹는 거대 돌묵상어떼

    거대한 크기의 돌묵상어떼가 플랑크톤을 먹는 모습이 드론에 포착됐다. 지난 8일(현지시간) 허핑턴포스트코리아는 ‘배스킹 샤크 스코틀랜드’(Basking Shark Scotland)가 공개한 거대한 돌묵상어들의 모습을 소개했다. 드론이 공중에서 찍은 영상에는 여러 마리의 돌묵상어가 입을 크게 벌린 채 플랑크톤을 먹는 모습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돌묵상어는 몸길이 10m에 달하는 희귀 어류로 고래상어에 이어 두 번째로 큰 해양동물로 거대한 덩치와는 달리 온순해 사람을 공격하지 않는 상어로 알려졌다. 돌묵상어는 플랑크톤을 섭취하기 위해 수면 가까이 올라오며 이로 인해 배와 부딪히는 사고가 종종 발생한다. 고래상어처럼 플랑크톤을 먹으며 동중국해·일본·캘리포니아 등지에 분포하는 상어로 남획과 낮은 번식률로 인해 멸종위기에 처해있다.(참고: 위키백과) 사진·영상= Basking Shark Scotland youtube 영상팀 seoultv@seoul.co.kr
  • 뱀의 몸이 길어진 과학적 이유 찾았다 (연구)

    뱀의 몸이 길어진 과학적 이유 찾았다 (연구)

    지구상에서 몸길이가 가장 긴 생명체 중 하나인 뱀의 ‘비밀’이 밝혀졌다. 최근 포르투갈 리스본의 국제생의학연구센터 IGC(Instituto Gulbenkian de Ciência)는 뱀의 몸길이가 다른 동물에 비해 유독 길게 자라나는 과학적 원인을 규명했다고 밝혀 학계의 관심을 한 몸에 받았다. 연구소 측에 따르면 뱀은 배아 단계일 때 ‘Oct4’라는 이름의 유전자가 다른 동물들에 비해 훨씬 장시간 활성화되는 것을 발견했다. 이 유전자는 동물의 배아가 발달하는 과정에서 특히 몸통의 형성과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이 유전자의 활동에 따라 몸통이 비정상적으로 길거나 짧게 발달할 수 있다. 연구진은 몸통의 길이가 평범한 동종에 비해 더 짧거나 긴 비정상적인 쥐를 연구하던 도중 이 유전자를 발견했으며,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뱀의 Oct4 유전자가 척추동물, 특히 뱀의 몸통 발달에 큰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연구진은 “배아의 발달 과정의 특성상 몸통 형성이 모두 끝난 뒤 꼬리가 만들어지는 유전자가 활성화 되는데, 뱀의 경우 Oct4 유전자의 활동 시간이 다른 동물에 비해 길다는 것을 알게 됐다”면서 “이 유전자 때문에 뱀은 몸통이 매우 길고 꼬리가 짧은 몸체를 가지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유전자의 발견은 인류에게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척추 내에 위치하는 중추신경의 일부분으로, 뇌와 말초신경의 중간다리 역할을 하는 신경인 척수(spinal cord) 재생에도 효과를 보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진은 “이 유전자가 몸통 구조를 오래도록 혹은 무한히 성장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면서 “Oct4 유전자를 척수 부상 환자에게 적용할 경우 끊어진 신경을 재생시켜 장애를 치료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사진=ⓒjuampa76 /포토리아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
  • 자신보다 큰 염소 한입에 ‘꿀꺽’…5m 비단뱀 발견

    자신보다 큰 염소 한입에 ‘꿀꺽’…5m 비단뱀 발견

    염소를 통째로 삼킨 비단뱀이 발견돼 충격을 주고 있다. 지난달 31일 영국 미러는 최근 중국 푸젠성의 한 마을에서 염소를 한입에 삼킨 거대한 비단뱀이 발견됐다고 보도했다. 염소를 잡아먹은 비단뱀은 지난 며칠 사이 두 마리의 염소를 잃은 농부에 의해 발견됐다. 자신의 가엾은 염소를 잡아먹은 비단뱀을 잡기 위해 농부는 즉시 이웃에게 도움을 청했고 마을 주민들은 뱀을 잡기 위해 숲으로 갔다. 숲 한쪽에서는 18kg 염소를 한입에 삼킨 뒤, 괴로워하고 있는 무게 27kg, 몸길이 5m에 달하는 거대 비단뱀이 모습이 포착됐다. 마을 주민들은 맨손으로 비단뱀을 생포했다. 마을 주민 중 한 명은 “이 비단뱀이 올해 아시아 국가에서 잡힌 비단뱀 중 가장 큰 것”이라고 전했다. 해당 비단뱀은 다음날 마을 사람들과 기념사진을 찍은 뒤, 숲으로 방사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중국에서 비단뱀은 국가적으로 보호하는 멸종위기종 동물로 1988년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에 따라 모든 상거래를 금지하고 있다. 사진·영상= CCTV news / Bharta youtube 영상팀 seoultv@seoul.co.kr
  • 알래스카에서 약 7.5m 대형 ‘신종 고래’ 확인

    알래스카에서 약 7.5m 대형 ‘신종 고래’ 확인

    2014년 미국 알래스카에서 발견됐던 ‘미스터리 고래’가 지금까지 인간의 눈에 한 번도 띈 적이 없었던 신종 고래라는 사실이 밝혀져 학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2014년 6월, 알래스카의 한 해안에서 죽은 채 발견됐던 이 고래는 몸길이가 약 7.5m에 달하며, 등지느러미 색깔이 매우 어둡고 몸에는 깊은 상처가 나 있는 상태였다. 몸집 등 일부분만 보면 기름고래 혹은 큰부리고래라고도 불리는 망치고래(baird‘s beaked whale)와 유사했지만, 이것과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는 것으로 보고 조사에 들어갔다. 세계 각국 전문가들로 모인 공동연구진이 사체에서 DNA를 채취해 망치고래 178마리의 DNA 표본과 비교 분석한 결과 망치고래와 DNA구조가 일부 다르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연구진은 이것이 망치고래에서 유래한 새로운 신종 고래라는 결론을 내렸다. 아직 정식 명칭이 공개되지 않은 이 고래는 일본 북부 태평양에서 미국 알래스카의 화산 열도인 알류샨 열도에 걸쳐 분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진은 “2014년 최초로 발견됐을 당시 몸 색깔이 매우 검고 어두워서 망치고래라고 생각됐다. 하지만 자세히 살펴본 결과 망치고래에 비해 등지느러미가 더 크고 축 처져 있는 것이 차이점이었다”고 내셔널지오그래픽과 가진 인터뷰에서 밝혔다. 이어 “성체라고 하기에는 비교적 몸길이가 짧은데 전반적인 몸상태는 나이가 매우 많은 고래에 속했다”면서 “우리는 지금까지 알래스카 해안지역에서 이와 똑같은 고래를 발견한 적이 없다”고 덧붙였다. 미국 국립기후자료센터(NOAA) 소속 남서부 해양과학센터(Southwest Fisheries Science Center) 소속 생물학자인 필립 모린 박사는 “새롭게 발견한 고래는 부리가 있는 망치고래에서 갈라져 나온 새로운 종(種)으로 추정되지만 아직 이것에 대해 아는 것이 많지 않다”면서 “이것은 인류가 아직 바다와 해양생명체에 대해 모르는 것이 많다는 의미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자세한 DNA 분석 및 타 종과의 비교 등을 통해 특징을 추려낼 예정이며, 관련 연구결과는 고래 연구 분야 권위지인 ‘해양포유류과학’(Marine Mammal Science) 최신호에 실렸다.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
  • 2.4m 귀상어 잡아먹는 거대 배암상어

    2.4m 귀상어 잡아먹는 거대 배암상어

    먹고 먹히는 약육강식의 법칙은 바다의 무법자인 상어에게도 예외는 아닌듯싶다. 26일(현지시간) 영국 데일리메일은 지난 21일 미국 루이지애나주 베니스 해안에서 참치 낚시를 하던 라이언 윌시(Ryan Willsea)란 남성이 촬영한 상어 싸움 영상을 기사와 함께 보도했다. 상어의 혈투가 벌어진 것은 라이언의 낚싯줄에 처음 귀상어가 걸렸을 때였다. 8피트(약 2.4m) 크기의 귀상어를 낚은 기쁨도 잠시, 곧이어 낚싯대가 심하게 흔들리기 시작했다. 라이언이 자신의 수중카메라를 바닷물 속에 넣은 순간, 놀라운 광경이 펼쳐졌다. 낚싯줄에 걸린 귀상어를 먹기 위해 1000파운드(약 453kg)에 달하는 거대 배암상어가 나타났던 것. 영상에는 커다란 입으로 귀상어의 옆구리를 연신 물어뜯는 배암상어의 모습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라이언은 “희귀한 전투였으며 상어들은 5분 동안 맹렬하게 싸웠다”며 “내 생애 가장 멋진 광경이었다”고 전했다. 라이언이 직접 촬영한 이 영상은 현재 미국 낚시쇼 걸프 사우스 아웃도어스(Gulf South Outdoors)의 페이스북에 소개되면서 현재 160만여 건의 조회수를 기록 중이다. 머리가 망치처럼 생겨 ‘망치상어’로도 불리는 귀상어는 다 자라면 몸길이 4.5m 정도가 되며 큰 것은 6m가 넘기도 한다. 귀상어는 주로 가오리 등의 물고기를 먹으며 가끔 사람을 공격하기도 한다. 귀상어를 공격한 배암상어는 ‘타이거 샤크’로도 불리며 백상아리와 함께 사람을 공격하는 가장 무서운 상어로 알려졌다. 한편 지난달 22일(현지시간) 플로리다주 세인트루시에 원자력발전소 인근 바다에서 카약 낚시를 즐기고 있던 낚시꾼들이 자신보다 몸집이 작은 검정 지느러미 상어를 먹어 해치우는 황소상어의 모습을 포착한 바 있다. 사진·영상= Gulf South Outdoors facebook, Ryan Willsea / Ryan Willsea youtube 손진호 기자 nasturu@seoul.co.kr
  • 4m짜리 백상아리 작살로 물리치는 다이버

    4m짜리 백상아리 작살로 물리치는 다이버

    작살로 거대 백상아리를 내쫓은 다이버의 영상이 화제다. 25일(현지시간) 호주판 허핑턴포스트는 지난 21일 골드코스트에서 낚시 중 4m짜리 백상아리를 작살로 물리친 다이버들의 영상을 기사와 함께 보도했다. 작살낚시를 하기 위해 물속에 잠수 중인 브렛 리빙스턴과 앤토니 서르크. 낚시에 열중하고 있는 그들 앞에 4m짜리 거대 백상아리가 나타났던 것이다. 서르크가 인스타그램에 올린 영상에는 뾰족한 작살 앞을 유유히 헤엄치고 있는 백상아리의 모습이 포착돼 있다. 앤토니는 인스타그램을 통해 “잊지 못할 경험이었다”며 “상어가 먹잇감을 찾거나 화난 상태가 아니어서 다행이었다”고 설명했다. 눈앞의 거대한 상어를 함께 목격한 브렛도 “어제 일생일대의 체험을 했다. 아름다고 우아한 3.5~4m 크기의 백상아리를 1대1로 만났다”며 “애임라이트 작살총으로 살짝 찔렀더니 다행히도 날 먹잇감으로 생각하지 않고 도망쳤다”고 소감을 남겼다. 백상아리는 상어 중 가장 위험한 상어로 다 자란 암컷 백상아리는 몸길이가 최대 13m, 무게 3톤에 이른다.(참고: 위키백과) 사진·영상= Antony Sercombe, Brett Levingston instagarm / New Channel youtube 영상팀 seoultv@seoul.co.kr
  • 거대 구렁이와 헤엄치는 어린 소녀

    거대 구렁이와 헤엄치는 어린 소녀

    거대 구렁이와 헤엄치며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어린 소녀의 영상이 놀라움을 자아낸다고 지난 20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이 전했다. 데일리메일이 소개한 이 영상은 지난 2014년 유튜브에 공개된 것으로, 현재까지 230만 건이 넘는 높은 조회 수를 기록하고 있는 상황. 영상은 비키니를 입은 어린 소녀가 애완용으로 기르는 구렁이를 쓰다듬고는 이내 구렁이와 함께 물속을 유영하는 모습을 담고 있다. 아무리 애완용이라지만 자신의 몸집보다 훨씬 큰 구렁이와 헤엄을 치는 소녀의 모습은 보는 이들에게 오싹함을 선사한다. 영상을 올린 미국 캘리포니아주 레딩 출신 코리 월리스에 따르면, 영상 속 애완 구렁이는 알비노 버마비단구렁이(Albino Burmese python)로 현재 몸길이는 5.5미터, 몸무게는 113kg 정도로 알려졌다. 한편 버마비단구렁이는 비단구렁이 중 가장 큰 종에 속하며 색이 아름답고 비교적 성질이 온순해 종종 애완용으로 키워진다. 사진·영상=Corey Wallace/유튜브 영상팀 seoultv@seoul.co.kr
  • 보통 상어보다 2배 정도 큰 ‘세계 최대 백상아리’ 포착

    보통 상어보다 2배 정도 큰 ‘세계 최대 백상아리’ 포착

    몸길이가 6m를 넘어 세계에서 가장 큰 상어로 알려진 백상아리 ‘딥블루’의 강력한 경쟁자가 카메라에 포착돼 화제가 되고 있다. 백상아리의 평균 몸길이가 3.7~4.9m인 것을 고려하면 딥블루나 경쟁 상어는 거의 1.5~2배 더 큰 것이라고 보면 된다. 당신이 직접 본다면 아마 영화 ‘조스’의 한 장면처럼 느낄지도 모른다. 아직 이름이 정해지지 않은 이 백상아리는 최근 미국의 수중 사진작가이자 다이버 전문지 ‘얼러트 다이버’의 출판인인 스테판 프링크(67)가 상어 사진을 촬영하던 중에 발견했다. 그는 최근 남호주와 남아프리카, 그리고 멕시코 과달루페 섬을 여행하며 수중 사진을 촬영했다. 이 같은 장소는 그가 가장 좋아하는 다이빙 명소이지만, 거대 상어를 어디에서 포착했는지는 밝히지 않았다. 당시 그는 동료 사진작가와 함께 철장에 들어가 미끼의 피 냄새를 맡고 몰려든 상어들의 모습을 찍고 있었다. 그러던 중 운좋게 딥블루의 경쟁자와 만날 수 있었다는 것이다. 당시 이들은 해당 상어의 크기가 얼마나 큰지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었지만, 딥블루만큼 거대하다는 것은 보는 것만으로 확신할 수 있었다. 특히 딥블루의 경쟁 상어가 강력한 힘으로 미끼를 덮치는 모습은 그야말로 영화 속 장면이라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엄청난 에너지를 뿜어낸다. 또한 그의 사진은 보는 것보다 훨씬 더 가까운 거리에서 촬영한 것이다. 당시 그는 카메라에 광각 렌즈를 장착하고 있었고 해당 상어는 0.9m 이내까지 접근했었다고 한다. 이에 대해 프링크는 “백상아리는 위협적인 외모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꽤 수줍음이 많다”면서 “최근에서야 겨우 우리는 그들이 언제 어디서 확실하게 찾을 수 있는지를 알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그들은 아름답고 장엄하며 살아갈 자격이 있다”고 덧붙였다. 사진=스테판 프링크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 ‘낫 발톱’과 ‘톱니 이빨’ 가진 신종 육식공룡 발견

    ‘낫 발톱’과 ‘톱니 이빨’ 가진 신종 육식공룡 발견

    톱니 모양의 이빨과 낫 모양의 발톱을 가진 무시무시한 신종 육식공룡이 발견됐다. 최근 캐나다 앨버타 대학 등 국제공동연구팀은 아르헨티나 파타고니아 지역에서 발굴된 화석을 분석한 결과 신종 육식공룡으로 확인됐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지금으로부터 8000만 년 전 남미대륙을 누빈 이 공룡의 학명은 '무루스랩터'(Murusraptor barrosaensis)로 달리기에 능한 이족 보행 육식공룡이다. 몸길이 6.5m로 추정되는 무루스랩터는 '메가랍토르'(Megaraptor), '오르코랍토르'(Orkoraptor), '아에로스테온'(Aerosteon) 등이 있는 메가랍토르과(Megaraptoridae)에 속한다. ‘거대한 약탈자’라는 의미를 가진 메가랍토르 역시 남미 대륙에 서식한 육식공룡으로 앞 발에 35cm 정도 되는 갈고리 모양의 발톱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연구팀은 무루스랩터가 '사촌'인 메가랍토르보다 더 무서운 약탈자였을 것으로 보고있다. 무루스랩터는 8.2cm에 달하는 큰 톱니모양의 이빨이 3개나 있으며 원형 낫 모양의 날카로운 발톱이 달려있어 두 발로 뛰어다니며 먹잇감을 사냥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무루스랩터와 메가랍토르와의 차이점은 얼굴형과 무루스랩터의 엉덩이 뼈가 가늘고 길어 날씬해보인다는 점이다.     연구를 이끈 필립 커리 박사는 "기존에 발굴된 메가랍토르과 화석들이 대부분 파편으로만 나온데 비해 이번에는 보존상태가 양호하다"면서 "특히 머리 쪽의 상태가 좋아 메가랍토르과 공룡의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무루스랩터는 다른 사촌들과 비교해 훨씬 더 크고 날씬했다"면서 "약탈자다운 강한 신체구조 덕에 순식간에 먹잇감을 잡아 먹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 국립과학도서관 학술지 플로스원(Plos One) 최신호에 발표됐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