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소영의 도시식물 탐색] 동백나무와 동박새의 공생
매해 1월이 되면 기다리는 뉴스가 있다. 서울 어느 숲에 얼음을 뚫고 노란 복수초가 피어났다거나 제주도 바닷가에 감국 꽃이 만개해 사람들이 북적인다거나 하는 소식 말이다.
꽃이 피는 것이 뉴스가 되는 낭만적인 이 계절을, 나는 좋아한다. 들과 산에 연둣빛 잎과 화려한 꽃들이 일렁이는 봄이라면 꽃 한 송이 피는 것이 무슨 큰일이겠냐마는 한겨울엔 한 잎사귀, 한 꽃송이의 개화가 황량한 도시에 사는 우리에게 용기와 희망을 주는 소식이 된다.봄, 여름 그리고 가을 동안 숲에 사는 모든 식물들은 잎을 틔우고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는 일련의 삶 과정을 끝내고 겨우내 내년 봄을 기약하며 쉬어 가는 휴식 시간을 갖는다. 식물을 매개로 살던 곤충과 그 밖의 큰 동물들은 추위를 피해 잠을 잔다. 숲에는 앙상한 가지만 남은 나무와 질 새 없이 추위에 말라버린 풀, 그리고 그 위를 새하얀 눈송이가 뒤덮는다. 모든 생물이 잠든 듯한 고요한 숲에는 사람도 찾아오지 않는다.하지만 이 한겨울의 고요 속에서도, 마치 홀로 봄을 맞은 듯 크고 화려한 꽃을 피우는 식물이 있다. 우리나라 제주도와 남해의 숲에 사는 동백나무다. 이들은 따뜻한 환경을 좋아하는 난대식물로, 다른 식물들이 생육을 다한 추운 겨울부터 이른 봄에 걸쳐 꽃을 피운다. 그래서 황량한 겨울 숲에서 이들은 유난히 인기가 많다. 겨울에도 늘푸른나무이기에 두꺼운 진녹색 잎을 늘 볼 수 있는 데다 대여섯 장의 붉은색 꽃잎에 모여 난 노란 수술이 대비돼 화려한 존재감을 뽐내기 때문이다. 물론 황량한 겨울 숲에 피어난 화려한 꽃의 개화 뒤에는 겨울에 꽃을 피워야 하는 식물의 어려움이 있다.
식물이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는 건 종의 보존, 번식을 위한 과정이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꽃가루의 수분(受粉)이 일어나야 한다. 동백나무의 수분은 혼자의 힘으로는 턱없이 부족하다. 여느 식물들처럼 나비와 벌과 같은 주변 생물들의 도움이 필요하다.
하지만 한겨울에는 수분을 도와줄 이들이 없고, 그래서 동백나무는 수분을 도울 다른 생물을 찾아야 했다.
몸길이 십여 센티 정도에 녹색과 노란색, 흰색의 깃털을 고루 가진 동박새는 겨우내 활동하는 우리나라의 흔한 텃새다. 동백나무는 이 동박새의 도움을 받기로 한다. 마침 동박새는 추운 겨울을 나기 위해서 많은 열량을 필요로 하기에 동백꽃에 담긴 달콤한 꿀을 빨아먹기로 하고, 동백나무의 수분 매개자가 되어 준다.
겨울 숲 붉게 물든 동백꽃 근처에서는 어김없이 동박새가 보인다. 이들은 꽃 안에 부리를 박고 있거나, 무리 지어 나무 근처를 맴돌거나 마음에 드는 꽃을 찾아 헤매곤 한다. 운이 좋으면 동백나무 가지에 앉아 쉬고 있는 동박새와 눈이 마주칠 수도 있다.동백나무와 동박새. 그렇게 이 둘은 비슷한 이름처럼 서로에게 없어서는 안 되는 존재가 된다. 동백나무는 동박새를 유인하기 위해서 새가 좋아하는 붉은색의 화려한 꽃잎과 크고 동그란 모양으로 새의 환심을 사고 새가 좋아하는, 유난히 달콤하고 진한 꿀을 꽃잎 안에 깊숙이 넣어둔다. 그러면 새는 나무의 꽃에 담긴 꿀을 먹는다.
마침내 동백나무는 동박새로 수분을 하고, 꿀로 에너지를 충전해 먼 곳까지 날아가는 동박새만큼 동백나무는 멀리, 많이 번식할 수 있게 된다. 동백나무의 화려한 꽃 형태는 우리 인간에게 잘 보이기 위해서도, 곤충과 거대한 동물의 눈에 띄기 위해서도 아닌, 동박새를 유인하기 위한 도구다. 늘 그렇듯 식물의 형태는 그들의 욕망과 역사를 담고 있었다. 우리가 집에서 키우는 극락조화나 샐비어, 하와이무궁화와 같은 식물의 꽃이 붉고 유난히 화려한 형태인 것도 같은 이유다. 이들 또한 새를 수분 매개자로 이용하고 있으며 이들의 형태는 새의 환심을 사기 위한 그들의 비책인 셈이다.
수억 년간 존재해 온 숲은 오랜 시간 동안 유지되어 온 그들만의 법칙, 삶의 방식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그 방식이란 건 숲속의 식물과 곤충, 새와 같은 다양한 생물들이 각자 제 힘으로 살아 내는 것이 아니라, 서로 돕고 나누며 ’공생’하는 데에 있다. 동박새는 추운 겨울을 이겨 내야 하지만 숲에는 먹을 것이 없었고, 동백나무에게는 번식의 매개자가 되어 줄 다른 생물이 없었다. 그래서 그들은 서로를 돕기 시작했다. 동백나무는 동박새의 먹이가 되어 주고 동박새는 동백나무를 번식시켜 주었다. 춥고 고될수록, 주변의 환경이 나빠질수록, 그들은 더 끈끈히 유대한다. 마치 서로에게만 꼭 맞는 퍼즐처럼 그들은 서로에게 없어서는 안 되는 존재가 되었다. 이것이 동백나무와 동박새, 그리고 겨울 숲의 생물들이 살아가는 방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