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셔널지오그래픽코리아 방영, 몸길이 11m의 슈퍼악어 실체 재현
‘슈퍼악어’ 사르코수쿠스의 실체가 26일 오후 10시 내셔널지오그래픽 코리아에서 국내 최초로 드러난다.재방송은 27일 오후3시.
길이 10.97m,배둘레 1.5m,콧등높이 1.8m.얼핏 듣기엔 공룡 같지만 사하라사막에서 발굴된 화석을 재현한 사르코수쿠스의 사이즈다.
사르코수쿠스는 ‘악어의 황제’라는 뜻.엄청난 크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1억1000만년전 아프리카에서 수백만년 동안 서식하다 멸종됐다.최장 12m까지 자랐을 것으로 추정된다.오늘날의 악어 가운데 가장 큰 바다 악어가 평균 길이 5m,무게 453㎏인 것에 견주면 어떤 크기인지 짐작할 수 있다.
다큐멘터리는 이 슈퍼악어를 재창조하고,아프리카 인도 코스타리카 쿠바 등 세계 각지의 악어를 소개한다.악어류를 양육하는 기술,가공할 무는 힘,그리고 지능 등도 공개한다.
내셔널지오그래픽은 슈퍼악어의 화석을 발견한 고생태학자 시카고대학의 폴 소레노 박사와 파충류 전문가인 브래디 바 박사를 주축으로 탐구팀을 만들었다.
스미소니언 박물관,미국자연사박물관 등에 전시된 공룡을 디자인한개리 스탑도 참여했다.
탐구팀은 먼저 인도와 코스타리카에서 가리얼 악어 등 대형 악어들을 소개한다.호주의 민물악어와 플로리다의 쿠바 악어도 보여준다.
악어의 치수와 관찰내용을 바탕으로 소레노 박사의 연구실에서 뼈조각을 이으며 슈퍼악어의 재창조 과정을 공개한다.진흙과 폴리에스테르 수지,유리섬유 등을 이용한 슈퍼악어의 모형은 꼬박 18주가 걸려서야 완성됐다.
소레노 박사는 “악어는 물고기,새,달팽이,갑각류,뱀,가축,야생동물 등을 먹는 것으로 볼때 슈퍼악어는 공룡을 먹었을 수도 있다.”면서 “오늘날의 악어는 사회적 동물로,스스로 알의 부화를 돕고,떼지어 생활하며,의사소통을 하는 만큼 슈퍼악어도 긴 코에서 나는 소리를 이용해 동족들과 의사소통을 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한편 내셔널지오그래픽 코리아는 악어의 생태를 집중 탐구한 ‘악어연대기’를 11∼12월 두 달 동안 매주 월·화요일 오후 11시 방영한다.
주현진기자 jh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