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명희진
    2025-10-13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3,784
  • 현대건설 작년 신규수주 27조 1590억원

    현대건설 작년 신규수주 27조 1590억원

    현대건설은 지난해 연결 실적을 잠정 집계한 결과 누적 기준 수주액이 27조 1590억원으로, 전년대비 (24조 2521억원) 대비 12% 증가했다고 22일 밝혔다. 수주 잔고는 66조 6718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18.4% 증가했다.지난해 이라크 바스라 정유공장 고도화 설비 공사, 파나마 메트로 3호선 공사 등 해외 수주를 비롯해 역대 최대 규모의 재개발 사업으로 꼽히는 서울 한남3구역 재개발사업 등 도시정비사업에서 4조 7000억원 규모의 공사를 따내 역대 최대 수주 실적을 달성한 영향이다. 매출액은 16조 9709억원으로 1.8% 줄었고, 영업이익이 5490억원으로 전년 대비 36.1% 감소했다. 당기순이익은 2277억원으로 같은 기간 60.3% 감소했다. 4분기 실적만 보면 영업이익은 899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47.2% 줄었고, 매출과 순손실은 각각 4조 3254억원과 1221억원이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코로나 19 확산에 따라 국내·외 사업장에서 공사가 지연되면서 증가한 직·간접비용을 미리 반영하는 등 보수적인 회계처리 영향으로 영업이익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올해 매출 목표는 작년보다 10.2% 증가한 18조 7000억원을 달성한다는 방침이다. 신규 수주 목표는 지난해보다 6.5% 줄어든 25조 4000억원으로 잡았다. 현대건설은 “직·간접 비용에 대한 발주처 보상이 이뤄지고 국내외 현장에서 수주한 사업이 본격화하면 올해 매출과 영업이익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 건설회사도 로봇화?…DL이앤씨 “디노, 자료정리 부탁해요”

    건설회사도 로봇화?…DL이앤씨 “디노, 자료정리 부탁해요”

    DL이앤씨(옛 대림산업)가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RPA·Robotic Process Automation) 기술을 적용한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고 22일 밝혔다. RPA는 사람이 처리해야 하는 반복적이고 정형화된 업무를 소프트웨어 로봇이 자동으로 수행하는 기술이다.DL이앤씨의 RPA 로봇 ‘디노(DINNO)’는 현재 최신 법규 변동사항 모니터링, 원자재 시황자료 수집, 협력업체 근황 뉴스 업데이트, 온라인 최저가 모니터링, 전표 발행 등을 처리한다. 디노의 업무량을 사람의 업무량으로 환산하면 연간 1만 시간에 달한다. DL이앤씨 관계자는 “빅데이터와 AI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한편, 최신 IT 기술과 첨단 건설 공법을 결합해 업무 효율성과 원가혁신, 생산성까지 한꺼번에 잡겠다는 것”이라며 “현장업무에도 디노를 빠르게 도입해 직원들이 보다 가치 있는 혁신 업무에 집중할 수 있게 하겠다”고 설명했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 작년 부동산 중개업소 폐업 줄고 개업 늘고

    작년 부동산 중개업소 폐업 줄고 개업 늘고

    지난해 부동산중개업소의 폐업이 18년 만에 가장 적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역대 최다 기록을 경신한 주택 거래량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22일 한국공인중개사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공인중개사 개업은 1만 7561건, 폐업은 1만 2773건, 휴업은 187건으로 집계됐다. 폐업 건수는 2002년(1만 794건) 이후 18년 만에 최소다. 중개업소 폐업은 2006년 2만 5899건까지 늘어났다가 이후 9년 연속 감소하며 2015년 1만 3844건에 이르렀다. 이어 2016년(1만 4470건)부터 2018년(1만 6256건)까지 3년 연속 증가했으나 2019년(1만 5496건) 다시 감소세로 전환했고, 지난해에는 전년 대비 17.6% 급감했다. 개업은 전년 (1만 6916건) 대비 지난해 3.8% 증가했다.지역별로는 수도권·광역시에서 전년 대비 개업이 2.6% 늘고, 휴·폐업이 15.1% 줄었다. 기타 지방에서는 개업이 8.5% 증가했고, 휴·폐업은 24.1% 감소했다. 지난해 개업보다 폐·휴업이 많은 곳은 울산과 경남에 그쳤다. 협회 관계자는 “지난해 도시권역이 아닌 지방까지 주택 거래량이 늘고 가격이 상승한 것과 무관치 않다”면서 “각종 규제책이 주택에 집중돼 있다 보니 토지나 임야와 같은 부동산으로 투자자들의 관심이 옮겨가는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고 했다. 지난해 전국의 주택 거래량은 127만 9305건으로, 정부가 주택 거래량 통계를 작성한 2006년 이후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 공급대책도 안 먹히는 아파트값… 수도권 상승률 9년새 최고

    정부가 설을 앞두고 대규모 주택 공급을 예고했지만 집값과 전셋값을 잡지는 못했다. 서울 아파트값은 새해 들어 3주 연속 상승폭을 키웠으며, 수도권 아파트값 상승률은 통계 집계 9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21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월 셋째주(18일 기준) 주간 전국 아파트 매맷값은 0.29%로 지난주(0.25%) 대비 상승폭을 키웠다. 지난해 12월 21일 기록한 역대 상승폭(0.29%)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70주 연속 상승이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09% 올랐다. 지난해 7·10 대책 발표 직후인 7월 둘째주(0.09%)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보궐선거를 앞두고 규제 완화 기대감이 나오면서 강남권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매수세가 몰렸다는 분석이다.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 가운데 송파구가 이번 주 0.18% 올라 지난주(0.14%)에 이어 25개 구 가운데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강남구(0.1→0.11%)는 정비사업 진척 기대감이 큰 압구정과 도곡동 신축 위주로, 서초구(0.10% 유지)는 반포동 재건축 단지 위주로 매수세가 증가했다. 수도권 아파트값은 지난주(0.26%)보다 크게 오른 0.31%를 기록했다.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12년 5월 이후 가장 큰 폭의 상승세다. 5주 연속 주간 상승폭이 줄었던 지방 아파트값도 지난주(0.25%)보다 상승폭이 커져 0.26%를 기록했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서울은 물론 지방까지 오르자 상대적으로 저평가됐다고 여겨지는 수도권 단지를 중심으로 가격이 상승하고 있다”고 했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전주 대비 0.13% 오르며 83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 갔다. 한편 전국 대부분이 규제지역으로 묶이면서 지방 아파트값이 대거 오르자 매수세가 다시 서울로 향하는 이른바 ‘역풍선효과’가 나타났다. 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 외 거주자들의 서울 아파트 매입은 지난해 7월 3457건에서 10월 853건으로 3개월 내리 급감했다가 11월 1066건, 12월 1831건으로 2개월 연속 증가했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 특단 공급 대책 약속했지만... 전국 아파트 값 70주 연속 상승

    특단 공급 대책 약속했지만... 전국 아파트 값 70주 연속 상승

    정부가 설을 앞두고 대규모 주택 공급을 예고했지만 집값과 전셋값을 잡지는 못했다. 서울 아파트값은 새해 들어 3주 연속 상승폭을 키웠으며, 수도권 아파트값 상승률은 통계 집계 9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21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월 셋째주(18일 기준) 주간 전국 아파트 매맷값은 0.29%로 지난주(0.25%) 대비 상승폭을 키웠다. 지난해 12월 21일 기록한 역대 상승폭(0.29%)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70주 연속 상승이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09% 올랐다. 지난해 7·10 대책 발표 직후인 7월 둘째주(0.09%)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보궐선거를 앞두고 규제 완화 기대감이 나오면서 강남권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매수세가 몰렸다는 분석이다.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 가운데 송파구가 이번 주 0.18% 올라 지난주(0.14%)에 이어 25개 구 가운데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강남구(0.1→0.11%)는 정비사업 진척 기대감이 큰 압구정과 도곡동 신축 위주로, 서초구(0.10% 유지)는 반포동 재건축 단지 위주로 매수세가 증가했다. 수도권 아파트값은 지난주(0.26%)보다 크게 오른 0.31%를 기록했다.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12년 5월 이후 가장 큰 폭의 상승세다. 5주 연속 주간 상승폭이 줄었던 지방 아파트값도 지난주(0.25%)보다 상승폭이 커져 0.26%를 기록했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서울은 물론 지방까지 오르자 상대적으로 저평가됐다고 여겨지는 수도권 단지를 중심으로 가격이 상승하고 있다”고 했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전주 대비 0.13% 오르며 83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 갔다. 한편 전국 대부분이 규제지역으로 묶이면서 지방 아파트값이 대거 오르자 매수세가 다시 서울로 향하는 이른바 ‘역풍선효과’가 나타났다. 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 외 거주자들의 서울 아파트 매입은 지난해 7월 3457건에서 10월 853건으로 3개월 내리 급감했다가 11월 1066건, 12월 1831건으로 2개월 연속 증가했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 대우건설 부동산 빅테이터 시스템 개발

    대우건설 부동산 빅테이터 시스템 개발

    대우건설이 부동산114와 손잡고 ‘부동산 통합정보 시스템’(DW-RIS·Daewoo-Real estate Information System)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이 시스템은 입주시기, 시세, 분양 등 기본적인 주거 관련 정보와 함께 청약정보, 인구 정보, 경제 현황, 부동산 정책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지도 상에서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 지역 등급, 분양가 산정 기능을 도입해 시장 분석을 고도화했다. 시스템을 통해 읍면동 단위로 유망 지역을 선별할 수 있고, 특정 사업지의 적정 분양가를 클릭 몇 번으로 간단하게 산출할 수 있다는 게 대우건설 측의 설명이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최고의 경쟁력을 갖춘 주택 분야에서 발주처와 파트너사에 대한 영업력을 더욱 강화하고 양질의 수주를 통해 시장의 신뢰를 회복하겠다”고 했다. 대우건설은 이 시스템을 주택사업 개발사와 금융사 등의 협업에 활용할 예정이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 법인 매물 쏟아졌지만… 집값 상승 안 꺾였다

    법인이 올해 세금 중과를 피해 지난해 말 주택을 쏟아냈지만 정부 예상과 달리 집값 안정으로 이어지지 않았다. 20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에서 법인이 매도한 주택은 5만 87건으로 전달(3만 3152건)보다 51% 증가했다. 정부가 올해 1월부터 법인 보유 주택에 대한 양도세율을 대폭 인상하겠다고 밝히자 법인이 지난 연말 서둘러 주택을 매도한 것으로 해석된다. 지난해 말까지 법인 주택 양도세는 기본 법인세율(10~25%)에 추가세율 10%를 더해 과세했지만, 올해부터는 추가세율이 20%로 올랐다. 법인이 던진 주택 매물은 개인이 92.4%로 가장 많이 샀다. 4.4%는 다른 법인이, 3.2%는 기타 매수자들이 사들였다. 법인 주택을 개인들이 소화해 공급이 다소 늘었을지는 몰랐도 집값 안정과는 거리가 멀다. 그동안 정부는 세금 압박을 통해 법인이나 다주택자 매물이 풀리면 주택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봤지만 집값은 계속 오름세다. 지난해 12월 전국 집값 상승률은 0.9%로 2008년 6월 이후 12년 6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주택 상승 기대감이 워낙 높아 법인 매도자들이 싸게 물건을 내놓지도 않았다는 지적이다. 서진형(경인여대 경영학 교수) 부동산학회장도 “신규 주택 공급이 원활하게 이뤄지고 다주택자 매물도 충분히 나와야 집값 안정도 가능할 것”이라면서 “법인 물량으로는 공급 갈증을 채우기에 턱없이 부족하다는 방증”이라고 했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 세금 압박에 법인 주택 나왔지만 집값상승은 안 꺾였다

    세금 압박에 법인 주택 나왔지만 집값상승은 안 꺾였다

    법인이 올해 세금 중과를 피해 지난해 말 주택을 쏟아냈지만 정부 예상과 달리 집값 안정으로 이어지지 않았다.20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에서 법인이 매도한 주택은 5만 87건으로 전달(3만 3152건)보다 51% 증가했다. 정부가 올해 1월부터 법인 보유 주택에 대한 양도세율을 대폭 인상하겠다고 밝히자 법인이 지난 연말 서둘러 주택을 매도한 것으로 해석된다. 지난해 말까지 법인 주택 양도세는 기본 법인세율(10~25%)에 추가세율 10%를 더해 과세했지만, 올해부터는 추가세율이 20%로 올랐다. 법인이 던진 주택 매물은 개인이 92.4%로 가장 많이 샀다. 4.4%는 다른 법인이, 3.2%는 기타 매수자들이 사들였다. 법인 주택을 개인들이 소화해 공급이 다소 늘었을지는 몰랐도 집값 안정과는 거리가 멀다. 그동안 정부는 세금 압박을 통해 법인이나 다주택자 매물이 풀리면 주택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봤지만 집값은 계속 오름세다. 지난해 12월 전국 집값 상승률은 0.9%로 2008년 6월 이후 12년 6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주택 상승 기대감이 워낙 높아 법인 매도자들이 싸게 물건을 내놓지도 않았다는 지적이다. 서진형(경인여대 경영학 교수) 부동산학회장도 “신규 주택 공급이 원활하게 이뤄지고 다주택자 매물도 충분히 나와야 집값 안정도 가능할 것”이라면서 “법인 물량으로는 공급 갈증을 채우기에 턱없이 부족하다는 방증”이라고 했다. 한편 지난달 법인이 매도한 주택을 지역별로 보면 경기(1만 6644건), 부산(4788건), 서울(4275건), 경남(4001건) 등의 순이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 경기 아파트도 ‘신고가 행진’… 3건 중 1건 역대 최고가

    경기 아파트도 ‘신고가 행진’… 3건 중 1건 역대 최고가

    최근 한 달간 경기도에서 이뤄진 아파트 거래 3건 가운데 1건은 역대 최고가를 경신한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부동산정보업체 직방이 지난달 18일부터 지난 18일 경기도 아파트 거래를 분석한 결과 1888건의 거래 가운데 638건(33.8%)이 신고가 거래됐다. 화성시가 69건으로 가장 많았고 남양주(67건)와 고양시 덕양구(62건)가 뒤를 이었다. 화성시는 교통 호재 기대감이 큰 동탄2 신도시를 중심으로 신고가 거래가 활발했다. 지난 5일 오산동 동탄역반도유보라아이비파크7.0 전용면적 86.23㎡(14층)가 13억 2000만원에 신고가 거래됐고 영천동 동탄역푸르지오 84.67㎡도 지난 6일 9억 5700만원에 최고가를 썼다. 각각 지난해 말 직전 최고가보다 9000만원, 6700만원 올랐다. 남양주시는 자닌해 말 정부가 광역교통개선대책을 발표한 영향으로 연초까지 집값 상승이 이어졌다. 다산동 다산한양수자인리버팰리스 84.62㎡(8층)는 지난 10일 9억 9000만원에 신고가 거래되며 10억원 돌파를 목전에 뒀다. 지난해 11월 직전 최고가격과 비교하면 두 달 만에 4000만원 올랐다. 경기도 집값은 꾸준히 오름세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경기도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지수 변동률은 지난해 12월 첫째 주 0.27%에서 꾸준히 올라 올해 1월 둘째 주 0.36%까지 치솟았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최근에도 높은 집값과 전세 불안에 대비해 내 집 마련에 나선 수요가 교통망 확충이 잘된 경기 지역 주택 매수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 경기 아파트도 신고가 행진…동탄 86.23㎡ 13억원대

    경기 아파트도 신고가 행진…동탄 86.23㎡ 13억원대

    최근 한 달간 경기도에서 이뤄진 아파트 거래 3건 가운데 1건은 역대 최고가를 경신한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부동산정보업체 직방이 지난달 18일부터 지난 18일 경기도 아파트 거래를 분석한 결과 1888건의 거래 가운데 638건(33.8%)이 신고가 거래됐다. 화성시가 69건으로 가장 많았고 남양주(67건)와 고양시 덕양구(62건)가 뒤를 이었다.화성시는 교통 호재 기대감이 큰 동탄2 신도시를 중심으로 신고가 거래가 활발했다. 지난 5일 오산동 동탄역반도유보라아이비파크7.0 전용면적 86.23㎡(14층)가 13억 2000만원에 신고가 거래됐고 영천동 동탄역푸르지오 84.67㎡도 지난 6일 9억 5700만원에 최고가를 썼다. 각각 지난해 말 직전 최고가보다 9000만원, 6700만원 올랐다. 남양주시는 자닌해 말 정부가 광역교통개선대책을 발표한 영향으로 연초까지 집값 상승이 이어졌다. 다산동 다산한양수자인리버팰리스 84.62㎡(8층)는 지난 10일 9억 9000만원에 신고가 거래되며 10억원 돌파를 목전에 뒀다. 지난해 11월 직전 최고가격과 비교하면 두 달 만에 4000만원 올랐다. 경기도 집값은 꾸준히 오름세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경기도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지수 변동률은 지난해 12월 첫째 주 0.27%에서 꾸준히 올라 올해 1월 둘째 주 0.36%까지 치솟았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최근에도 높은 집값과 전세 불안에 대비해 내 집 마련에 나선 수요가 교통망 확충이 잘된 경기 지역 주택 매수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 “공공재개발 호재에 3억 뛰어”… 서울 빌라도 고공행진

    “공공재개발 호재에 3억 뛰어”… 서울 빌라도 고공행진

    기재부·국토부 등 부동산 관련 7개 부처“6월 종부세·양도세 강화 등 예정대로”서울 지역 빌라(다세대·연립주택) 가격이 계속 치솟고 있다. 집값 상승과 전세난에 빌라로 눈을 돌린 무주택 실수요자의 관심이 계속되는 가운데 최근 정부가 추진 중인 공공재개발을 노린 투자 수요까지 가세하며 빌라 가격을 밀어올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18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연립·다세대 주택의 월간 매매가격 지수 변동률은 지난해 5월 -0.02%에서 6월 0.06%로 상승 전환 후 계속 오르다가 12월 0.19%를 기록하는 등 오름세가 꺾이지 않고 있다. 업계에서는 정부가 최근 추진하겠다고 밝힌 공공재개발 등이 ‘빌라’ 투자 심리에 기름을 부으면서 1월에도 빌라 매매가 상승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공공재개발을 신청한 성북1구역 A공인 관계자는 “구역 지정도 안 됐지만 프리미엄만 3억원이 붙었다”면서 “문의가 꾸준하다”고 했다. 장위동 일대는 재작년까지 3억원에 못 미친 대지지분 25㎡ 빌라가 요즘은 5억 5000만원에 호가된다. 공공재개발 시범사업 후보지로 선정된 동작구 흑석뉴타운 2구역은 매물이 말랐다. 이 지역 B공인 관계자는“후보지로 선정된 이후 문의가 쏟아지는데 나오는 매물은 없다”고 전했다. 가격 상승 속도도 빨라지고 있다. KB부동산에 따르면 지난해 7~12월 5개월 동안 서울의 빌라 평균 매매가격은 2억 9881만원에서 3억 1946만원으로 2065만원 올랐다. 이는 직전 2년(2018년 7월~2020년 7월) 상승분(2078만원)과 맞먹는 액수다. 한편 이날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 등 부동산 관련 7개 기관은 정부세종청사에서 합동 브리핑을 갖고 6월 1일로 예정된 종합부동산세와 양도소득세 강화 등 기존 정책을 예정대로 시행한다고 밝혔다. 금융 당국은 금융사의 대출규제 준수 실태를 지속 점검하고, 국세청은 부동산 거래 관련 탈세 등을 집중 감시하겠다고 예고했다. 경찰청도 아파트 분양시장 불법행위를 집중 단속할 예정이다. 서울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세종 임주형 기자 hermes@seoul.co.kr
  • “프리미엄만 3억”…빌라값도 무섭게 오른다

    “프리미엄만 3억”…빌라값도 무섭게 오른다

    서울 지역 빌라(다세대·연립주택) 가격이 계속 치솟고 있다. 집값 상승과 전세난에 빌라로 눈을 돌린 무주택 실수요자의 관심이 계속되는 가운데 최근 정부가 추진 중인 공공재개발을 노린 투자 수요까지 가세하며 빌라 가격을 밀어올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18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연립·다세대 주택의 월간 매매가격 지수 변동률은 지난해 5월 -0.02%에서 6월 0.06%로 상승 전환 후 계속 오르다가 12월 0.19%를 기록하는 등 오름세가 꺾이지 않고 있다. 업계에서는 정부가 최근 추진하겠다고 밝힌 공공재개발 등이 ‘빌라’ 투자 심리에 기름을 부으면서 1월에도 빌라 매매가 상승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실제로 공공재개발을 신청한 성북1구역 A공인 관계자는 “구역 지정도 안 됐지만 프리미엄만 3억원이 붙었다”면서 “문의가 꾸준하다”고 했다. 장위동 일대는 재작년까지 3억원에 못 미친 대지지분 25㎡ 빌라가 요즘은 5억 5000만원에 호가된다. 공공재개발 시범사업 후보지로 선정된 동작구 흑석뉴타운 2구역은 매물이 말랐다. 이 지역 B공인 관계자는“후보지로 선정된 이후 문의가 쏟아지는데 나오는 매물은 없다”고 전했다. 가격 상승 속도도 빨라지고 있다. KB부동산에 따르면 지난해 7~12월 5개월 동안 서울의 빌라 평균 매매가격은 2억 9881만원에서 3억 1946만원으로 2065만원 올랐다. 이는 직전 2년(2018년 7월~2020년 7월) 상승분(2078만원)과 맞먹는 액수다. 한편 이날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 등 부동산 관련 7개 기관은 정부세종청사에서 합동 브리핑을 갖고 6월 1일로 예정된 종합부동산세와 양도소득세 강화 등 기존 정책을 예정대로 시행한다고 밝혔다. 금융 당국은 금융사의 대출규제 준수 실태를 지속 점검하고, 국세청은 부동산 거래 관련 탈세 등을 집중 감시하겠다고 예고했다. 경찰청도 아파트 분양시장 불법행위를 집중 단속할 예정이다. 서울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세종 임주형 기자 hermes@seoul.co.kr
  • 때릴수록 씨 마르는 매물… 서울 아파트 나왔다 하면 ‘신고가’

    때릴수록 씨 마르는 매물… 서울 아파트 나왔다 하면 ‘신고가’

    서울 아파트 매물 한달 새 7.9% 감소동작·도봉구 23%↓… 가장 많이 줄어“수요 많은데 물건 없어 최고가 거래 중”압구정 현대 84.94㎡ 30억까지 치솟아서울 아파트 매물이 급격하게 줄고 있다. 집값이 오를 것으로 예상하고 매물을 거둬들이는 집주인이 많아지고 있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매물 ‘잠김현상’이 4월 서울시장 보궐선거까지 계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17일 부동산빅테이터업체 아실에 따르면 이날 기준 서울 아파트 매물은 3만 9537건으로 전달 같은 날의 4만 2921건보다 7.9% 줄었다. 서울 아파트 매물은 지난해 6월 8만 3658건으로 정점을 찍은 뒤 계속 떨어지다가 11월 4만 5253건으로 다시 반등하는가 싶더니 12월 4만 2921건으로 줄어든 데 이어 올 들어 1월 3만건대까지 감소한 것이다. 지난해 12월은 규제지역 추가 지정 이슈로 지방으로 몰렸던 매수세가 서울로 돌아오기 시작해 집값이 크게 오른 시기다. 한국부동산원의 월간 아파트값 변동률 추이를 보면 서울 매매 변동률은 지난해 9월 0.29%에서 10월 0.11%로 떨어진 뒤 11월 0.12%로 숨고르기에 들어간 듯하다가 12월 0.28%로 다시 오르기 시작했다. 이달 17일과 전달 같은 날을 비교했을 때 서울에서 아파트 매물이 가장 많이 줄어든 곳은 동작구와 도봉구였다. 한 달 전과 대비해 각각 23.4%(1388건→1064건), 23.3%(1492건→1145건) 줄었다. 동작구 A공인중개사는 “나오기만 하면 바로 최고가 거래가 이뤄져 집주인들이 매물을 거둬들이고 있다”면서 “일단 4월 보궐선거까지 지켜보겠다는 분위기”라고 말했다.수요는 많은데 물건이 없다 보니 거래만 되면 신고가로 이어지는 분위기가 확산하는 모습이다. 이날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18일 서울 동작구 흑석동 아크로리버하임 전용면적 84.75㎡(6층)가 20억 2500만원에 최고가를 새로 썼다. 일주일 전 같은 평형(12층)은 20억원에 거래됐다. 현재 호가는 20억 7000만원까지 솟았다. 흑석동 롯테캐슬에듀포레도 지난해 12월 84.97㎡(13층)가 16억 8000만원에 최고가를 썼다. 직전 거래는 13억 8000만원이다. 도봉구에서도 창동 동아청솔 84.97㎡(9층)가 지난해 12월 19일 9억 9900만원에 신고가에 거래됐다. 1997년 지은 이 아파트는 현재 10억 8000만~11억 5000만원에 호가한다. 강남도 계속 신고가 행진이 이어지고 있다. 강남구 압구정동 압구정 현대14차 84.94㎡(11층)는 지난해 12월 16일 30억원에 거래돼 신고가를 썼다. 4일 앞서 계약된 14층 물건이 29억원에 거래됐으니 며칠 새 1억원이 오른 셈이다. 대치동 은마 84.43㎡(7층)도 지난해 12월 18일 24억원에 거래됐다. 현재 이 단지 호가는 재건축 기대감 등으로 25억원까지 치솟았다. 서초구 서초동 반포주공1단지 84.62㎡(2층)도 지난해 12월 27일 47억 5000만원에 최고가를 썼다. 같은 달 이뤄진 다른 4건의 거래는 36억~37억원 사이에 이뤄졌다. 강남구와 서초구도 한 달 새 각각 2.4%, 2.3% 매물이 줄었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 귀한 서울 아파트…매물은 없지만 신고가는 있다

    귀한 서울 아파트…매물은 없지만 신고가는 있다

    서울 아파트 매물이 급격하게 줄고 있다. 집값이 오를 것으로 예상하고 매물을 거둬들이는 집주인이 많아지고 있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매물 ‘잠김현상’이 4월 서울시장 보궐선거까지 계속될 것으로 내다봤다.17일 부동산빅테이터업체 아실에 따르면 이날 서울 아파트 매물은 3만 9537건으로 전달인 12월(매달 17일 기준)의 4만 2921건보다 7.9% 줄었다. 서울 아파트 매물은 지난해 6월 8만 3658건으로 정점을 찍은 뒤 계속 떨어지다가 11월 4만 5253건으로 다시 반등하는가 싶더니 12월 4만 2921건으로 줄어든 데 이어 올 들어 1월 3만건대까지 감소했다. 지난해 12월은 규제지역 추가 지정 이슈로 지방으로 몰렸던 매수세가 서울로 돌아오기 시작해 집값이 크게 오른 시기다. 한국부동산원의 월간 아파트값 변동률 추이를 보면 서울 매매 변동률은 지난해 9월 0.29%에서 10월 0.11%로 떨어진 뒤 11월 0.12%으로 숨고르기에 들어간 듯하다가 12월 0.28%로 다시 오르기 시작했다. 지난 한 달 새 서울에서 아파트 매물이 가장 많이 줄어든 곳은 동작구와 도봉구였다. 한 달 전과 대비해 각각 23.4%(1388건→1064건), 23.3%(1492건→1145건) 줄었다. 동작구 A공인중개사는 “나오기만 하면 바로 최고가 거래가 이뤄져 집주인들이 매물을 거둬들이고 있다”면서 “일단 4월 보궐선거까지 지켜보겠다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수요는 많은데 물건이 없다 보니 거래만 되면 신고가로 이어지는 분위기가 확산하는 모습이다. 이날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달 18일 서울 동작구 흑석동 아크로리버하임 전용면적 84.75㎡ (6층)이 20억 2500만원에 최고가를 새로 썼다. 일주일 전 같은 평형(12층)은 20억원에 거래됐다. 현재 호가는 20억 7000만원까지 솟았다. 흑석동 롯테캐슬에듀포레도 지난달 84.97㎡(13층)이 16억 8000만원에 최고가를 썼다. 직전 거래는 13억 8000만원이다. 도봉구에서도 창동 동아청솔 84.97㎡(9층)이 지난달 19일 9억 9900만원에 신고가에 거래됐다. 1997년 지은 이 아파트는 현재 10억 8000만~11억 5000만원에 호가된다. 강남도 계속 신고가 행진이 이어지고 있다. 강남구 압구정동 압구정 현대14차 84.94㎡(11층)은 지난달 16일 30억원에 거래돼 신고가를 썼다. 4일 앞서 계약된 14층 물건이 29억에 거래됐으니 며칠 새 1억이 오른 셈이다. 대치동 은마 84.43㎡(7층)도 지난달 18일 24억원에 거래됐다. 현재 이 단지 호가는 재건축 기대감 등으로 25억원까지 치솟았다. 서초구 서초동 반포주공1단지 84.62㎡(2층)도 지난달 27일 47억 5000만원에 최고가를 썼다. 같은 달 이뤄진 다른 4건의 거래는 36억~37억원 사이에 이뤄졌다. 강남구와 서초구도 한 달 새 각각 2.4%, 2.3% 매물이 줄었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 의료진 덕… 고객만족도 10위 안에 대형병원 7곳

    의료진 덕… 고객만족도 10위 안에 대형병원 7곳

    한국생산성본부가 주관하는 2020년 국가고객만족도(NCSI) 조사에서 아파트 브랜드 ‘래미안’을 짓는 삼성물산이 85점으로 1위에 올랐다. 코로나19와 사투를 벌인 의료진 덕분에 대형병원의 이미지가 좋아지면서 10위권 내 병원만 무려 7곳이 포함됐다. 12일 한국생산성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75개 업종, 316개 기업과 대학, 공공기관에 대한 고객만족도를 평가한 결과 1998년 조사가 시작된 이래 역대 최고치인 평균 77.0점을 기록했다. 생산성본부 측은 “어려운 경제 여건 속에서도 국내 기업과 기관의 고객중심경영이 고객 만족도 상승을 견인했다”고 분석했다. 이번 조사에서 삼성물산이 85점으로 1위를 기록하긴 했지만 대형병원이 상위권을 휩쓴 것이 더 눈에 띈다. 세브란스병원이 83점으로 2위, 서울성모병원이 82점으로 3위에 올랐다. 고대안암병원과 삼성서울병원, 아주대병원이 나란히 81점을 받아 4~6위에 이름을 올렸다. 7위는 대구도시철도공사가 차지했지만 다시 서울아산병원과 경희의료원이 80점으로 8~9위를 기록했다. 생산성본부 측은 “의료진의 코로나19 확산 방지 노력과 ‘덕분에 챌린지’ 등이 확산된 것이 고객만족도 상승으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어 10위와 11위는 현대자동차가 모두 가져갔다. 그랜저 등 준대형 승용차와 아반떼 등 준중형 승용차가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며 10위와 11위를 동시에 차지했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 종부세 최고 6%로 인상… 하반기 3기 신도시 사전청약 준비하세요

    종부세 최고 6%로 인상… 하반기 3기 신도시 사전청약 준비하세요

    2021년은 그 어느 때보다 달라지는 부동산 정책이 많다. 종합부동산세가 크게 올랐고 1주택 비과세 장기보유특별공제 요건도 강화됐다. 6월부터는 다주택 중과세 세율도 크게 오른다. 청약 문턱은 다소 낮아졌지만 집값 강세가 계속되는 데다 전세 물량이 줄어 내 집 마련을 위한 무주택자들의 청약 광풍은 올해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7월에는 3기 신도시 사전 청약도 예정돼 있다. 10일 부동산 114와 함께 올해 달라지는 부동산 시장의 주요 이슈와 공급 물량(계획)을 정리했다.●9억 초과 1주택자 거주기간 요건 추가 1주택자가 9억원 초과 고가주택을 양도할 때 적용되는 장기보유특별공제에 거주기간 요건이 추가됐다. 보유기간에 따라 연 8%씩 공제하던 것을 보유기간 연 4%, 거주기간 연 4%로 분리해 각각 40%까지 공제해 준다. 보유기간이 길어도 실제 거주한 기간이 짧으면 공제율이 낮아 세 부담이 증가할 수 있다. 종합부동산세율도 최고 6%까지 인상됐다. 2주택 이하 소유 시 세율은 과세표준 구간별로 0.6~3.0%, 3주택 이상·조정대상지역 2주택자는 1.2~6.0%가 적용된다. 다주택을 보유한 법인은 종합부동산세 최고세율(6%)이 적용되고 6억원 공제가 폐지되면서 세 부담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 소득세 과세표준도 10억원 초과 최고 45%의 세율 구간이 신설됐다. 기존에는 5억원 초과 최고 42% 세율에 그쳤다. 1주택을 소유한 은퇴자의 종합부동산세 부담은 다소 줄어들었다. 현재 만 60세 이상인 1가구 1주택자(부부 공동명의 포함)가 주택을 5년 이상 장기 보유한 경우 연령공제 40%, 보유공제 50%를 합쳐 종합부동산세액의 최대 80%(10% 포인트 상향 조정)까지 공제받는다. 청약 문턱은 다소 낮아졌다. 현재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100%(맞벌이 120%) 이하인 신혼부부 특별공급 소득요건을 130%(맞벌이 140%) 이하로 완화했다. 신혼부부 및 생애 최초 특별공급 물량 중 70%는 소득 100%(맞벌이 120%) 이하인 사람에게 우선 공급하고 나머지 30%는 소득요건을 완화해 130%(맞벌이 140%) 이하인 사람을 대상으로 우선 공급 탈락자와 함께 추첨제로 선정한다. 24일부터는 입주 전 하자보수가 의무화된다. 사업주체는 주택공급계약에 따라 정한 입주지정기간 개시일 45일 전까지 입주예정자 사전방문을 최소 2일 이상 실시해야 하고 사전방문 1개월 전까지 사전방문에 필요한 사항도 제공해야 한다. ●24일부터 입주 전 하자보수 의무화 2월 19일부터 전매행위 제한 위반 시 10년간 청약자격이 제한된다. 지금은 위장전입, 허위 임신 진단서 발급 등의 공급질서 교란 행위에 대해 10년간 입주자 자격을 제한하고 있으나 전매행위 위반자에 대한 제한은 없었다. 수도권 분양가상한제 주택 입주자에 대한 거주 의무 기간도 생긴다. 거주의무기간은 공공택지에서 분양가격이 인근 시세의 80% 미만인 주택은 5년, 80~100% 미만인 주택은 3년이고 민간택지에서 공급되는 주택은 분양가격이 인근 시세의 80% 미만인 주택은 3년, 80~100% 미만인 주택은 2년이다. 만약 거주의무기간 중 이사하면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에 우선 매각해야 한다. ●6월부터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세율 인상 6월 1일부터 다주택자가 주택을 팔 때 양도세 중과세율이 ‘기본세율+10~20% 포인트’에서 ‘기본세율+20~30% 포인트’로 인상된다. 2년 미만 보유 주택 및 조합원 입주권을 매도할 때의 세율도 현행 40%에서 최대 70%까지 강화된다. 또 1년 미만 보유 시 70%, 1~2년 미만 보유 시 60%의 세율이 적용되면서 양도차익 대부분이 세금으로 환수된다. 따라서 다주택자는 5월 말까지 집을 처분할지 여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반대로 실수요자들은 세금 회피 목적으로 시장에 나온 매물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주택 임대차보호법에 포함된 전·월세 신고제도 6월부터 시행된다. 전·월세 신고제는 계약 30일 이내에 계약당사자, 보증금, 임대료, 임대기간 등 계약 사항을 의무적으로 신고하는 제도로 신고 후 자동으로 확정일자가 부여된다. 계약상 변경이 있을 때에도 30일 이내에 지방자치단체에 신고해야 한다. 만약 공동으로 신고하지 않거나 거짓 신고를 할 경우에는 각각 100만원,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일방이 신고를 거부할 때는 단독 신고가 가능하다. 전입신고를 할 수 없는 ‘비주택’은 신고 대상에서 제외된다. ●본 청약 시점까지 거주기간요건 충족해야 7월부터 3기 신도시 등 수도권에서 본 청약보다 1~2년 조기 공급하는 사전청약제가 시행된다. 7~8월 인천계양을 시작으로 9~10월 남양주 왕숙, 11~12월 고양창릉과 부천대장, 과천지구 등에서 차례대로 진행될 예정이다. 청약자격은 본 청약과 동일 기준이 적용되고 거주요건은 사전청약 당시 해당 지역에 거주 중이면 신청할 수 있으나 본 청약 시점까지 거주기간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 전국 민간아파트 39만 가구 분양… 1월 2만 6000가구 ‘대기’

    올해 전국에서 민간아파트 39만 가구가 분양된다. 1월에는 2만 6000가구가 분양될 예정이다. 10일 부동산 114에 따르면 올해 민간아파트는 전국 407개 사업장에서 39만 854가구가 나올 예정이다. 이는 최근 5년(2016∼2020년) 평균 민간아파트 분양실적(28만 6071가구) 대비 약 10만 가구가 많은 수준이다. 권역별로는 서울 4만 4722가구 등 수도권 20만 6651가구, 지방은 대구 3만 1103가구 등 18만 4203가구가 분양된다. 서울에서는 수요자들이 주목할 만한 도시정비사업(재개발·재건축사업) 물량이 눈에 띈다. 지난해 분양가를 산정하지 못해 연기된 물량이 대거 포함됐기 때문이다. 강동구 ‘둔촌주공’(1만 2032가구), 서초구 ‘래미안원베일리’(2990가구) 등이 대표적이다. 이를 포함해 서초구 ‘방배6구역’(1131가구), 성북구 ‘장위10구역’(2004가구), 송파구 ‘잠실진주’(2636가구) 등이 분양될 예정이다. 경기에서는 광명시 ‘광명2·5·10R구역’(7273가구), 수원시 ‘수원 권선6구역’(2175가구), 수원시 ‘장안111-1’(2607가구), 하남시 ‘하남 C구역’(980가구) 등이 주목된다. 수도권 신도시에서는 파주 운정지구(6123가구), 양주 옥정지구(2979가구)가 공급될 예정이다. 지방은 부산 동래구 ‘래미안포레스티지’(4043가구), 대구 수성구 ‘수성더팰리스푸르지오더샵’(1299가구), 광주 동구 ‘광주 학동4구역’(2314가구) 등이 주요 분양 예정 단지로 꼽힌다. 민간 임대 아파트 8322가구도 공급된다. 경기 화성시 ‘화성동탄2(A87)’(762가구), 대전 유성구 ‘한화포레나대전유성’(1768가구), 파주시 ‘파주 운정3(A15)’(846가구) 등이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가격을 정하지 못해 해를 넘긴 물량이 다수 포함됐다”면서 “내 집 마련 열기가 뜨거운 만큼 순조롭게 분양이 진행될 것”이라고 했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 펄펄 나는 ‘건설주’ 지금 사도 될까…기업 체감 경기는 하락 전환

    펄펄 나는 ‘건설주’ 지금 사도 될까…기업 체감 경기는 하락 전환

    건설주 상승세가 심상치 않다. 지난 연말부터 시작된 상승 랠리가 새해에도 계속 되고 있다. 주택 공급 확대 등 부동산정책 변화에 대한 기대감이 주가에 반영됐기 때문인데, 특히 대형 건설사 가운데 주택 비중이 상대적으로 큰 업체들의 주가 상승이 컸다.9일 증권업계 등에 따르면 올해에도 당분간 건설주 주가 상승은 당분간 계속 될 것으로 보인다. 백재승 삼성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주택 사업은 규제로 인한 불확실성의 증대, 해외 사업은 유가 약세로 말미암은 수주 기대 하락 등으로 코스피 대비 할인 폭이 역대 급이었다”면서 “올해부터 국내 분양 물량이 다시 증가세인데다, 해외 사업도 보다 양호한 영업 환경이 마련될 것으로 보여 건설주 저평가가 해소될 여지가 있다”고 내다봤다. 최근 유가 회복, 코로나 19 백신 보급 기대감 속 해외 플랜트 발주가 늘고 있는 것도 호재로 작용했다. 경기 민감 업종인 건설주는 코로나 19 이후 ‘V자 반등 장’ 속에서도 타 업종 대비 주가 반등 폭이 상대적으로 저조했다. 잇단 정부 규제로 건설주에 대한 기대감 자체가 억눌려 있었고, 코로나 19여파로 해외 실적 전망도 처참했다. 때문에 이 같은 건설주 강세를 투자 심리 개선을 바탕으로 한 ‘정상화’로 봐야 한다는 분석도 있다. 박세라 신영증권 연구원은 “부동산 정책 기조 변화를 기대하기는 어렵지만 전반적인 공급 확대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임에 따라 건설·건자재 업종은 전반적으로 호재”라면서 다만 건설기업의 주가는 올해 1~2분기까지 상승 흐름을 이어가고 이후 조정을 받을 것으로 예상했다. 박 연구원은 “건설주는 보통 11월부터 1월 사이 바짝 주가가 오르는 경향이 있다”면서 “지난해 초 건설주 주가가 많이 하락했기 때문에 상승세는 2월 정도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반면 기업 체감 경기는 하락 전환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의 지난달 건설기업 경기실사지수(CBSI)는 전월 대비 0.7포인트 하락한 84.6을 기록했다. 코로나19 재확산의 영향 등으로 건설 경기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한풀 꺾인 것으로 풀이된다. CBSI가 기준선인 100을 밑돌면 현재 건설 경기 상황을 비관적으로 보는 기업이 낙관적으로 보는 기업보다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최근 3개월간 코스피 건설업종은 28.1% 오르며 벤치마크(코스피지수 23.4%)를 웃돌았다. 8일 삼성물산 주가는 전날보다 6000원(4.14%)오른 15만 1000원에 거래를 마쳤고 GS건설 주가는 950원(2.33%) 오른 4만 1750원, 현대건설은 450원(1.11%) 올라 4만 1000원에 장을 마감했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 직방, 카카오페이 자회사 ‘모빌’ 인수

    직방, 카카오페이 자회사 ‘모빌’ 인수

    부동산정보플랫폼 직방이 아파트 주거관리 서비스를 강화하고자 카카오페이와 손을 잡았다. 직방이 카카오페이의 자회사 모빌을 인수했다고 8일 밝혔다. 2018년 설립된 모빌은 공동주택 모바일 관리 어플리케이션(앱)으로 전자투표, 전자결재, 전자 관리비 고지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현재 약 550개 아파트 단지에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이번 인수를 통해 직방은 지난해 9월 출시한 아파트 입주민 관리사무소용 서비스 ‘직방 링크(LINK)’를 강화하는 한편 카카오페이와의 사업 제휴를 통해 금융이용 편의성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직방은 카카오페이의 모회사인 카카오와도 업무 협약을 맺고 2018년 4월부터 ‘다음부동산’을 위탁운영하고 있다. 안성우 직방 대표는 “모빌이 쌓은 노하우와 카카오페이와의 업무적 제휴를 바탕으로 직방 사업을 더욱 확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됐다”면서 “기존 직방 링크 서비스에 다양한 제휴 사업을 연계해 이용자의 주거 생활을 더욱 편리하게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인수 후에도 모빌 서비스는 그대로 유지된다. 명희진 기자 mhj4@seoul.co.kr
  • 건설업계 “중대재해법 법사위 통과 실망”…여론 기댄 입법

    건설업계 “중대재해법 법사위 통과 실망”…여론 기댄 입법

    대형 사고나 산업 재해가 났을 때 기업과 경영자 처벌을 강화하는 중대재해처벌법(중대재해법)이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를 통과하자 건설업계가 “매우 유감스럽고 실망스럽게 생각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한건설단체총연합회(건단연)은 8일 입장문을 내고 “이번 입법은 한쪽에 치우친 여론에 기댄 입법”이라면서 “법체계는 고사하고 상식과도 거리가 먼 법안을 오직 한쪽 편의 주장만을 들어 질주에 가깝게 밀어붙였다”고 했다. 중대재해법은 산재나 사고로 사망자가 나오면 안전조치를 미흡하게 한 사업주나 경영 책임자를 1년 이상 징역이나 10억 원 이하 벌금으로 처벌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법인이나 기관도 50억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하며 중대 재해를 일으킨 사업주나 법인이 최대 5배 범위에서 징벌적 손해배상을 하도록 하는 내용도 담았다.건단연은 “법을 만들지 않는 것이 최선이겠으나 엄벌주의가 아닌 사전예방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면서 “하한형(1년 이상 징역)은 반드시 상한형 방식으로 고쳐야 하고 사고 예방을 위해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다면 면책하는 조항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