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미래지향 신외교 첫발/양국 외무회담 의미
◎과거사 전향적 해결… 공동이익 추구
한승주외무장관과 무토 가분(무등 가문)일본외무장관은 29일 회담에서 한일 과거사 문제에 대해 『더이상 양국 관계증진에 장애가 되어서는 안된다』는데 인식을 같이했다.그러면서 더높은 차원의 양국관계를 위해 과거를 외면하지 말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 풀어나가고,편견없이 상대방의 실체를 이해,이를 각기 국민에게 알리는 노력을 하며,상호 공동 이익의 영역을 적극 발굴,활용해서 양국관계의 연결고리를 강화해 나가자는 3개항을 다짐했다.새정부 들어 처음 열린 양국의 첫 공식 회담에서 양국 외교사령탑인 외무장관들이 미묘한 과거사에 대해 인식의 일치를 본 것은 외교적 의미를 부인키 어렵다.
이는 향후 양국관계를 가름하는 논거가 되기에 충분하다.크게는 달라진 국제질서를 반영하고,작게는 한일간 새로운 외교적 지향점을 모색하는 시발이기 때문이다.
그동안 한일간의 과거사가 양국 국민감정과 맞물려 정상적 외교의 「물꼬」를 수없이 바꿔왔다는 점을 고려하면 양국간 공동인식이 갖는 비중은 보다분명해진다.지난 65년 한일 국교정상화 이후부터 재일교포의 법적 지위문제,문화재 반환,징병·징용문제,교과서왜곡등 셀수없이 많은 현안들이 양국관계를 가로막아왔다.이들 과거사문제는 민감한 국민감정을 자극,최대현안으로 급부상했고 그때마다 정상적인 관계로의 유지·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이번 공동인식은 「한국이 과거문제로 온 나라가 들끓게되면 이에대한 해명을 일본에 요구하고 일본은 요구에 못이겨 마지못해 이를 사실로 인정하는」 외교방식의 종언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이와관련,외무부의 고위당국자는 『관계발전을 더이상 자극하지 않도록 사전 예방하고 문제가 되더라도 협력할 것은 협력한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양국 외무장관이 사할린교포문제를 제기,현안이 되기전 예방적 해결을 위한 실무회담을 갖기로 합의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즉 과거사를 외면하는 것이 아니라 이에대한 접근방법과 시각의 변화라는 지적이다.
한일관계는 외형상 「선린우호관계」이지만 미래지향적이라기 보다는 특수상황을 유지해온게 사실이다.아태지역 다자간 안보,APEC,우르과이라운드등 협력할 부분이 과거문제에 걸려 더이상 진전을 보지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변화의 모색은 일응 설득력을 지닌다.
그러나 문제는 한일간 과거사가 모두 해결되지 않았고 국민감정도 그만큼 완치된게 아니라는 점이다.외무부관계자들도 『현안이 될 문제들이 아직 남아있다』고 말한다.예컨대 현재 조사가 진행중인 군대위안부문제와 사할린교포및 전쟁부상 재일교포처우문제등 미진한 사안이 산적해 있다는 것이다.이것들은 언제고 양국간 쟁점현안으로의 가능성을 안고있다.외무장관 회담이 열리던 날,태평양전쟁유가족동지회등 반일단체들의 정부종합청사 앞 시위도 결국 이를 뒷받침하는 요인중 하나인 셈이다.야당이 다음날 곧바로 발언 진위의 해명을 요구하고 나선 것도 이때문이다.
외무부도 이를 의식,과거사 해결과 미래지향적 관계로의 발전을 병행추진한다는 대일외교정책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이렇게 볼때 결국 이번 공동인식은 『진상규명은 철저히 하되 과거사로 물질적 보상을 원치않는다』는 김영삼대통령의 신외교정책을 외교현장에서 표출한 변화에 다름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