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동지
    2025-11-15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16,826
  • 北, 자본주의 배우기 ‘열의’

    북한이 올 들어 생산력 증대를 위해 시장경제제도와 자본주의적 법체계 등에 대한 학습을 강화하면서 사회주의적 시장경제 요소를 확대 도입중인 것으로 14일 밝혀졌다. 정부의 한 고위 당국자는 이와 관련,“북한은 지난해 시장경제와 자본주의체제를 연구하기 위해 당정(黨政) 중견간부 110명을 호주·싱가포르 등에 파견했다”면서 “금년에는 아예 유엔개발계획(UNDP)과 세계은행측 인사들이북한에 들어가 집체교육을 실시하고,북한 간부들과 해외여행도 함께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지난해 9월 북한 헌법 개정시 사회주의적 시장경제 요소를 도입하는 조항들이 다수 신설됐다”면서 “북한 헌법의 농업 현대화 조항이 무엇을뜻하는지 지켜볼 만하다”고 밝혔다. 통일부의 한 관계자는 이와 관련,“북한이 지난 2월 주체농법을 ‘농민들의 의사와 자체 실정에 맞게 농사짓는 과학농법’이라고 재해석했다”면서 북한 농업정책에도 이윤동기 등 시장경제적 요소가 확대될 가능성을 점쳤다. 북한의 洪成南내각총리는지난 2월24일 고 金日成주석의 사회주의 농촌체제 발표 35돌 중앙보고대회에서“金正日동지는 최근년간 우리나라(북) 농업의실체를 깊이 헤아리고 주체농법은 농민들의 의사와 자체 실정에 맞게 농사짓는 과학농법이라고 그 본질을 밝혔다”고 보고했었다. 통일부관계자는 洪成南의 보고와 관련,“농민들의 농업관리자 선출권 부여,분조관리제 등 북한의 농업제도개선 조치들을 합리화하고 있는 것이 주목된다”며“텃밭,뙈기밭과 같은 개인경작지 확대 등으로 집단영농질서의 해체가 우려됨에 따라 金日成주석의 농촌체제를 찬양하면서도 현실적 추세에 맞춰재해석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 石吾 李東寧선생 오늘 59주기 일대기

    “선생은 재덕(才德)이 출중하나, 일생을 자기만 못한 동지를 도와서 선두에 내세우고, 스스로는 남의 부족을 보충하고 고쳐 인도하는 일이 일생의 미덕이었다. 최후의 한순간까지 선생의 애호를 받은 사람은 오직 나 한사람이었다.”김구선생이 ‘백범일지’에서 石吾 李東寧선생을 기리며 쓴 내용이다. 한국독립운동사에서 석오만큼 폭넓고 헌신적이며 종시일관 독립운동에 생애를 바친 분도 흔치 않다. 그에 비해 평가와 관심이 크게 뒤진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실제로 임시정부는 석오의 애국심과 포용력으로 유지된 바 크다고 하겠다. 8·15해방까지 임정이 유지할 수 있는 터전을 마련한 것은 석오의 공이 절대적이었다. ‘후계자’백범은 석오에 의해 발탁되고 지도되었다. 두사람은 7년의 나이 차이에도 불구하고 ‘혈맹의 義’관계에서 항상 석오가 백범을 발탁하고 지도하는 입장이었다. 석오가 아니었다면 백범의 존재는 나타나기 어려웠을 것이다. 1904년 석오는 항일청년단을 만들면서 무명청년 백범을 상동교회 청년회에 가입시켰다. 이때부터 두 사람은 혈맹의 동지가 되었다. 1919년 4월 상해임시정부가 수립된지 며칠후 백범은 임정의 문지기라도 하겠다고 석오를 찾았고 그의 노력으로 당시 내무총장이던 안창호 밑에서 경무국장으로 일하게 되었다. “이(利)를 보면 겸양을 생각하고 의(義)를 보면 위험을 무릅쓰는” 석오의 인품을흠모해온 백범은 항상 그와 함께 독립운동에 헌신하였다. 이런 인연으로 해방후 백범은 아들 信을 시켜 중국땅에 외롭게 묻힌 석오의 유해를 고국으로봉환하여 서울 효창공원에 안치하였다. 석오의 생애는 국내에서 선각적 개화운동의 전기와 임정을 이끌면서 망명생활로 생애를 마친 후기로 나눌 수 있다. 만민공동회의 연사로 나서 잘못된정치를 탄핵하다가 이준·이승만과 함께 옥고를 치루고, ‘제국신문’논설위원, YMCA운동, 을사조약 반대 결사대로 대한문 앞에서 연좌시위, 안창호·양기탁등과 신민회조직, 안창호·이회영과 전국에 교육단을 조직하고 ‘대한매일신보’발행 지원, 상동학교 설립 등 37세때까지 국내에서 구국운동에 앞장섰다. 한일합병 뒤 만주로 망명,서간도에서 이회영·이시영 등과 한국인 자치기관인 경학사(耕學社)와 신흥학교를 설립한데 이어 한국군관학교를 세우다가투옥되는 등 만주지역의 항일투쟁을 주도하다가 3·1항쟁후 임시의정원 초대의장으로 상해임시정부 수립에 핵심적 역할을 하였다. 석오는 망명길에 나서면서 자식들에게“우리가 이제 합병의 참변을 당하였으니 왜놈들은 우리를 금수와 같이 다룰 것이다. 그러니 너희들도 아버지를따라 중국으로 망명의 길을 떠나자. 나라없는 백성은 어디를 가나 서럽고 비참한 것이다. 만리타향 객지에서 고생할 각오를 한 몸, 그러나 내가 죽기 전에 조국이 광복되는 것을 볼 수만 있다면 나는 그 이상의 더 큰 소망이 없겠다.”고 당부하면서 다시 못올 고국을 떠났다. 석오는 임정의 내무총장, 대통령직무대행, 국무령, 주석 등 요직을 지내고 백범과 함께 임정을 이끌었다. 1935년에는 한국국민당을 조직, 당수로 추대되어 항일 구국투쟁을 지도하였다. 1940년 3월 13일 중국 사천성 기강현 임시정부 청사의 초라한 이층방에서한 많은 생애를 접을 때그의 나이 72세였다. 임정은 간소한 국장으로 그의장례를 치렀다. 해방은 그러고도 5년 뒤에야 찾아왔고 석오의 유해는 3년 뒤에야 그리던 고국에 안장되었다. 뒤늦게나마 석오선생의 독립정신과 애국혼이 선양되어 정직한 역사가 쓰였으면 한다. 김삼웅주필kimsu@- 李東寧선생 연표 ●1869년 충남 천안서 출생●1892년 국가고시 응제진사에 합격●1897년 독립협회 활동으로 7개월간 옥고 치름●1905년 ‘을사조약’ 체결에 항의,연좌데모로 2개월 옥고치름●1907년 신민회 조직에 참여●1910년 만주서 신흥학교 설립,초대소장 취임●1919년 임시정부 임시의정원 의장,국무총리,내무총장 ●1926년 임시정부 국무령●1929년 한국독립당 이사장·의정원 의장●1935년 임시정부 세번째 주석 취임●1939년 임시정부 네번째 주석 취임,전시내각 구성●1940년 급성폐렴으로 치장서 타계,임시정부 첫 국장(國葬)지냄●1948년 유해봉환,사회장으로 효창원에 안장 - 손자 李奭熙씨 및 후손 근황 “어릴 때부터 조부님께서 독립운동에 평생을 바치셨다는 얘기를듣고 자랐습니다만 그동안 기업경영에 전념하느라고 손자로서의 도리를 다하지 못해죄스럽습니다.이제는 어느 정도 여유가 생겼으니 조부님의 기념·현창사업에 여생을 바칠 생각입니다.” 석오 이동녕 선생의 손자인 李奭熙(67)(주)대우 상담역은 석오 선생 기념사업에 관한 포부로 말문을 열었다.경기고·서울대 법대를 졸업(55년)후 중소기업체에 근무하다가 68년 대우실업에 입사한 그는 대우개발 사장·대우자동차 회장·대우 부회장·경총 부회장·대우증권 회장·대우통신 회장·대우일본법인 회장 등 대우그룹 주요계열사의 최고경영자를 두루 거친 ‘대우맨’이다. 그의 부친,즉 석오 선생의 아들 李義植씨(1900년생)는 유명한 내과전문의였다.일제때 보성전문학교의 교의(校醫)를 지낸 그의 부친은 미군정 당시 민주의원·한독당 조직부장 등 정계에서 활동하기도 했다.또 반민특위의 특별검찰관으로도 활동했으며 이듬해 6·25 와중에 납북됐다. 2남3녀의 형제 가운데 그는 차남이다.그의 형 喆熙씨(75년 작고)는 경기고·보성전문 출신으로 보사부장관비서관,문교부 편수국장·기획관리실장,서울교대 학장 등을 지냈다. 그동안 그는 석오 선생의 독립운동 공적을 널리 알리기위해 소리없이 많은일을 해왔다.우선 그는 ‘이동녕연구’의 일어판(94년)·중국어판(98년)을사재로 출간했다.89년에는 ‘백범일지’의 필사본을 책으로 출간,앞서 출간된 ‘백범일지’가 원본의 상당부분을 누락시킨 사실도 밝혀냈다.또 작년에는 석오 선생이 상해임시정부 임시의정원의 초대의장(현 국회의장격)을 지낸 사실을 토대로 국회의사당 내에 석오선생의 흉상을 건립하였는데 그는 이를 큰 보람으로 여기고 있다. 정운현- '臨政 의 거인' 李東寧 석오(石吾) 李東寧(1869∼1940) 선생은 임시정부 탄생의 주역이자 임정의‘기둥’이었다.임시정부가 공식출범하기 직전인 1919년 4월 10일 임시의정원의 초대의장으로 선출된 선생은 국호(國號)와 임시헌법·관제(官制)를 제정,3일후인 4월 13일 임시정부 수립을 만천하에 선포하였다.선생은 임시의정원 초대의장을 비롯해 의정원 의장 3회,주석(主席) 4회 등 무려 일곱 차례나 임정의요직을 역임하였는데 이는 임시정부사를 통털어 선생만이 유일한 기록이다. 석오 선생이 임정내 이념·계파간의 갈등 속에서도 별다른 ‘잡음’없이 요직을 중임한 것은 선생이 공명정대한 업무처리와 온후한 인품으로 존경을 한 몸에 받은 때문이다.이 때문에 선생은 임정이 내부갈등이나 일제의 탄압으로 난국을 맞을 때마다 중책을 맡아 임정을 위기에서 구하곤 했다.일제는 이러한 선생을 회유,이용하기 위해 조선인 관리 洪承均을 시켜 선생에게 추파를 던졌으나 이를 즉석에서 일축,이 일로 선생의 부친이 원산에서 일경에 체포돼 옥고를 치뤘다. 합리주의자였던 선생은 출신지역·계급을 초월하여 인재를 등용하였다.기호(畿湖)지방의 양반출신들이 주축을 이루던 신민회(新民會)에 황해도 출신의‘무명인사’ 백범 金九를 추천하여 가입시킨 것이 대표적 사례다.이 일로두 사람은 남다른 ‘관계’를 맺게 되었다.백범은 ‘백범일지’ 곳곳에 선생의 행적과 개인적인 친분에 대해 언급해놓고 있는데 이는 평소 백범이 선생을 독립운동계의 선배 이상으로 예우한 것으로 보인다.48년 ‘남북협상’차북한을 다녀온 백범이 아들 信을 시켜 모친(곽낙원)과 처자(최준례·김인)의 유해를 봉환해오면서 이 때 같이 봉환해온 분이 바로 석오 선생과 임정 국무위원겸 비서장 출신 車利錫 선생이었다.62년 선생은 건국훈장 대통령장(2등급)을 추서받았는데 이를 두고 적절치 못하다는 지적이 많다.임정 정부수반급은 대개 1등급을 받았으며 심지어 李承晩의 비서 출신 임병직씨도 1등급을 받았다. 임정요인 출신 趙擎韓 선생은 생전에 “선생은 지위나 돈 따위를 탐내지 않는 순결무구한 분으로 모든 독립운동가들의 으뜸이었다”고 회고했다. 정운현- 李東寧 선생 효창공원 묘소서 오늘 추모식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80주년을 맞아 임시정부 주석과 임시의정원 초대의장을 지낸 石吾 李東寧 선생의 ‘제59주기 추모식’이 13일 오전 11시 서울용산구 효창공원 석오선생 묘소에서 열린다. 석오선생 기념사업회(회장 姜英勳)가 주최하는 이 추모식은 추모기도와 석오선생 약사보고,추모사·추념사,추모가 제창,헌화분향의 순으로 진행된다. 행사 진행을 맡은 석오기념사업회 金錫營 부회장(69)은 “3·1독립만세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수립 80주년을 맞아 거행하는 올해의 추모식은 감회가남다르다”고 말했다.60주기인 내년에는 추모 학술세미나를 개최하고 재정이 허락하는 범위 내에서 장학사업도 추진할 계획이다. 추모식에는 崔圭鶴 국가보훈처장, 高建 서울시장,尹慶彬 광복회장,朴維徹독립기념관장,국민회의 張在植·李錫玄·鄭漢溶의원,자민련 李東馥의원,한나라당 李漢東·吳世應·徐廷和·朴明煥의원,李奭熙 석오선생 유족회장,李元範 3·1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李榮載 대종교 총전교,金信 백범선생기념사업회고문을 비롯한 각계 인사 30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상록
  • 美 8개환경단체, 주주결의안“환경친화기업 키워라”

    ┑뉴욕 AP 연합┑미국의 8개 환경단체는 환경친화적 기업정책의 진흥을 목표로 하는 74개 항목의 주주결의안을 채택했다. 그린피스,‘지구의 친구들’등 영향력있는 환경단체들로 구성된 이 그룹의린 어스카인 대변인은 그룹이 지난 8일 워싱턴에서 모임을 갖고 이 결의안을 지지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어스카인은 환경 행동지침,환경보고,지구온난화,독극물,핵문제등에 관한내용을 담은 이 결의안이 이미 재계에 제시돼 있다고 밝히고 금년말 주주총회에서 이에 대한 토론 및 표결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의 움직임은 환경운동에서 하나의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환경운동가들이 기업의 반환경적 관행에 대항하기 위해 개인주주 자격으로 노력한 경우는 있으나 환경단체들이 모여 주주결의안을 지지하고 나선 것은 처음 있는 일이다. 이들의 캠페인 대상 기업 가운데는 엑슨,세브론,유노칼,텍사코,BP 아모코등대형 석유회사들이 어 있다.
  • 金세공품 고유브랜드 수출

    금(金) 세공품이 우리나라 독자브랜드로 대량 수출돼 수출증대에 한몫하게된다. (주)대우는 10일 스위스 최대의 귀금속 정련업체인 MKS사와 올해 6,000만달러 등 3년동안 1억8,000만달러의 금 장신구 수출계약을 맺었다. 95년∼98년 사이 우리나라 전체 금 장신구 수출실적(1억8,911억원)과 맞먹는 규모로 국내 처음으로 ‘DAEWOO JEWELRY’라는 독자 브랜드를 달고 수출된다. (주)대우는 MKS사와 함께 올해안에 아랍에미레이트 등 중동지역에 5개의 대형 귀금속매장을 개설한 뒤 미국 유럽 등 선진국 시장의 수출도 추진할 계획이다.
  • 바레인국왕 사망-세이흐 하마드 왕위계승

    [마나마(바레인) AP AFP 연합] 지난 38년 동안 바레인을 통치해온 세이흐이사 이븐살만 알-할리파 국왕(65)이 6일 심장 마비로 사망했다. 이에 따라 세이흐 하마드 이븐 이사 알-할리파 왕세자(사진)가 부왕의 뒤를 이어 왕위를 계승했으며 새 국왕이 참석한 가운데 이날 오후 장례식이 리파 국립묘지에서 거행됐다고 바레인 왕실 관계자가 밝혔다. 왕실 관계자는 국왕이 왕궁에서 갑자기 쓰러진 뒤 30분도 채 안돼 숨을 거두었다고 말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국왕이 윌리엄 코언 미국 국방장관을 만난 뒤 얼마 지나지 않아 갑자기 사망했다”고 말했다. 알-할리파 새국왕은 지난 71년부터 부왕의 뒤를 이어 바레인을 통치해 왔으며 국민의 다수를 차지하는 시아파 회교도들의 소요 사태를 진압했다. 바레인에는 중동지역 최대의 미국 해군기지가 있다.
  • 운명 엇갈린 부처 明·暗-행자부

    희비가 엇갈린 부처가 있다.지난해의 승리자가 올해의 피해자로 바뀌었는가 하면,지난해 거대부처로 확대개편된 부처가 공중분해될 비운의 처지에 놓인 곳도 있다. 공보처가 공중분해돼 신설된 공보실의 경우 대국민홍보,여론조사,해외공보기능이 강화돼 기능과 조직의 상당부분이 ‘복원’됐다.지난해 최대의 피해자에서 올해에는 최대 수혜자의 하나가 된 것이다.공보실이 문화관광부로 넘어가면 결국은 국무총리실의 기능도 줄어드는 셈이 된다. 지난해 정부조직개편의 중심에 섰던 행정자치부는 올해 심의과정에서 배제됐고,공중분해될 처지가 됐다.옛 총무처 기능은 중앙인사위원회,기획예산위또는 국무총리실로 넘어가게 됐다. 내무부 기능도 축소·폐지돼 행자부는 이래저래 최대의 피해자로 꼽힌다.행자부 내에서도 특히 총무처 출신들의 충격은 크다.항상 조직개편을 주도해오다 이번에 당하는 입장에 선 총무처 출신 직원들은 “경천동지할 일”이라며 ‘정부수립 50년 만의 최대사건’으로 받아들인다. 산업자원·정보통신·과학기술부는 지난해 큰 피해를 보지 않았으나,올해에는 ‘산업기술부’ 통합 방안이 제시돼 행자부처럼 상당한 충격이 불가피할것 같다.통합은 곧 엄청난 인력 감축을 강요하기 때문이다. ‘복지노동부’로 통합되는 방안이 제시된 노동부와 보건복지부도 마찬가지 입장이다.옛 재무부와 경제기획원이 통합된 재경원은 숱한 정리에도 불구하고 보직을 받지 못해 떠돌아다닌 ‘인공위성’으로 골머리를 앓았다. 지난해 개편안에는 포함됐지만 정치권의 이해가 얽혀 막판에 무산됐던 중앙인사위원회와 기획예산부 신설안도 다시 제시됐다.‘환란’ 탓에 스포트라이트를 받았던 옛 재경원은 재정경제부,금융감독위,기획예산부의 3체제로 분할돼 굳어지는 것 같다. 朴政賢 jhpark@
  • 鄭世永회장 고별회견 안팎

    “많은 과제를 남기고 떠나게 돼 아쉽지만 옆에서 훌륭히 커나가는 모습을지켜보겠습니다.” 귀거래사(歸去來辭)인가. 5일 오후2시 서울 계동 현대 본사 15층 대회의실.32년간의 현대자동차 생활을 마감하는 고별 기자회견장에서 鄭世永회장이 A4용지 4장 분량의 기자회견문을 읽어 내려가기 시작했다.담담한 표정을 지으려 애썼지만 착잡한 기색을 감추지는 못했다. 나란히 앉아있던 아들 현대자동차 鄭夢奎 부회장,李邦柱사장,李裕一사장,金守中 기아자동차 사장,金判坤 한국에이비시스템 사장(전 전무)등 鄭명예회장와 함께 ‘자동차왕국’을 건설해 온 주역들도 침통한 표정이 역력했다. 그는 자신의 퇴진이 경영권 다툼으로 비쳐지는 것을 불식시키려는 듯 첫마디로 “2년전 고희(古希·70세)를 넘기면서 은퇴할 때가 됐다고 판단해 큰형님(鄭周永 명예회장)에게 먼저 퇴진의사를 비쳤으며,형님도 유능한 사람이 많으니까 그렇게 하는 게 좋겠다고 했다”고 설명했다. 鄭명예회장은 또 현대산업개발을 맡게 된 데 대해 “57년 현대건설에 처음입사한 이후 40년 동안 그룹에 있으면서 건설분야에 대한 애착이 컸다”면서 “친정에 돌아가는 기분으로 회사를 맡아 멋진 회사를 만들겠다”고 말했다.이어 “현대자동차에서도 가능한한 자문 역할만을 해왔기 때문에 현대산업개발에 가서도 비슷한 일을 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외부에서 자동차 경영권을 둘러싸고 이견과 알력이 많은 것으로 비쳐지고 있는데,나는 큰 형님 덕분에 가장 화려하게 직장생활을 한 사람이다.처음부터 ‘오너’라는 생각은 해 본 적이 없다.큰 형님이 나와 내 아들을 배려해산업개발에서 일을 해 보라고 한데 대해 감사드린다.” 노(老)경영인은 10분여만에 회견을 끝낸뒤 ‘동지’들에 둘러싸여 서둘러회견장을 빠져나갔다. 金泰均
  • 한국언론재단 ‘남북교류시대 북한보도’ 출간

    한국언론재단은 최근 남북 화해·협력시대에 부응하는 남북관계 보도를 위한 연구보고서인 ‘남북교류시대 북한 보도’를 출간했다. 보고서는 새정부의 햇볕정책 추진으로 가속화된 남북간 교류·협력 추세에맞춰 우리 언론의 북한보도 관행을 신랄히 비판했다. 언론의 냉전적·반통일적 시각을 90∼98년까지의 북한관련 오보와 왜곡·편파 보도사례들을 소개하면서 꼬집은 것이다.그 연장선상에서 그 동안의 ‘사시적(斜視的)인’ 보도관행을 바로잡는 개선방향도 제시했다. 보고서의 골자는 다음과 같다. 한국 언론은 정치·이데올로기적으로 냉전 패러다임이 지배적이었을 때 역시 냉전적 사고로 북한과 통일문제를 다뤄왔다.그러한 냉전적 보도 틀은 이념적으로 획일적·경직적이거나 ‘적이 아니면 동지’식의 이분법적 구도였다. 반면 과거 동서독간은 물론 중국과 대만 언론의 상호보도는 전반적으로 정경분리원칙과 ‘무이념’전략으로 특징지어진다.상대방을 긍정적이라고까지는 못해도 객관적으로 보도하려는 태도가 (우리에 비해 상대적으로)우세했다.미국의 뉴욕타임스와 워싱턴포스트의 북한보도는 미국내 공화당 강경파가주도하는 보수적 틀에 의해 결정된다.따라서 한국언론이 이들 미국언론의 냉전적 보도를 부분적으로 발췌·인용,부풀리기를 자행하는 보도행태를 보여줌으로써 결과적으로 반통일 시각을 엿보게 한다. 분명한 사실은 기존의 냉전적 사고와 적대적 보도태도는 남북간의 신뢰구축과 이질성 극복에 도움이 안된다는 점이다.기회 있을 때마다 북한당국이 남한의 일부 보수 언론에 대해 취재를 거부하거나 비난해 온 사실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기존의 보도방식은 북한의 호전적이고 비합리적이며 반문명적이고 후진적인 이미지를 조장했다.그래서 통일회의론 내지 통일경계론,통일비용론같은 반북·반통일적 여론을 만들어왔다. 金大中대통령의 햇볕정책에 따른 남북교류시대를 맞이해 언론보도는 과거에 비해 다양한 접근방식을 보이고 있다.그러나 최근에 있었던 북한의 잠수정침투사건은 언론이 햇볕정책과 냉전 틀의 양극을 오가며 동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냉전적 보도 틀은 해방 이후50여년에 걸쳐 작동해 왔다.때문에 언론과 언론인의 자발적이고 의도적인 변화 노력 없이는 개선되지 않을 만큼 냉전논리는 체질화·관행화되어 있다. 햇볕론이 상호주의를 초월하는 포용책인 것과 마찬가지로 언론도 폐쇄적 북한체제의 개방을 대가로 요구하기보다는 먼저 신뢰를 얻고자 하는 대승적 자세를 보일 필요가 있다.새정부의 햇볕정책은 기존의 반공논리로 북한과 통일문제를 다루어온 보수 언론에 대해 큰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변화의 방향은먼저 반공주의와 ‘레드 콤플렉스’에서 벗어나 통일과 평화지향적 공존의논리로 탈바꿈하는 일이다.이와 함께 냉전 패러다임에서 탈냉전의 패러다임으로,이분법적 매카시즘에서 이념 스펙트럼의 확장과 개방으로 전환하는 일이 긴요하다.
  • 崔章集교수 6·3동지회 세미나 주제발표

    ‘6·3 동지회(회장 국민회의 朴正勳의원)’가 3일 조선호텔에서 첫 조찬세미나를 가졌다.‘6·3 동지회’는 지난 64년 한·일회담 반대투쟁에 앞장섰던 층이 중심이 된 모임이다. 첫 세미나의 연사인 崔章集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장(고려대 정치외교과교수)도 회원이다.‘21세기를 향한 국정개혁방향’이라는 주제의 崔위원장 특별강연을 간추린다. 무엇보다 정당체제가 민주화돼야 한다.민주화를 공고히 하려면 필수적이다. 정치부문은 다른 사회발전에 비해 매우 낙후돼 있어 우리 사회의 변화를 담아내기에 부족하다.변화에 대한 사회욕구를 담아내 새 천년의 미래를 설계해야 한다.현재 정치권은 역량을 갖고 있지 못하다. 요즘 논의되는 정치개혁은 지역당구조와 지역 이해관계에서 벗어나 전국정당화를 하려는 것 같다.이런 맥락에서 독일과 일본에서 하는 정당명부제가거론된다.이러한 방법은 현실적으로 물론 필요하다.하지만 선거(정치)제도가 만병통치약은 아니다.우리대로의 관행과 정치문화도 생각해야 한다. 선거제도를 바꾸는 것과 함께 서구적대중적 정책정당으로 바뀔 수 있도록해야 한다.절차적 정당성 등 정당 내에 민주주의의 기본원리가 실현돼야 한다.공천도 제대로 이뤄져야 한다.또 정당들은 다양한 사회적 계층과 이념적스펙트럼을 반영해야 한다.정치개혁과 변화의 방향은 이처럼 장기적이고 보다 넓은 시각에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통령이 정치개혁을 디자인한다고 해서 (현실적으로) 꼭 그대로 될 수는없다.대통령은 기본틀을 제시하고 국민들에게 호소할 수 있지만 대통령 자신이 (정치개혁을)할 수는 없는 것이다.정치개혁에 직접 영향받는 의원들이 협상을 통해 (선거제도 변경 등을)할 때에는 정치적인 타협의 산물이 될 가능성이 있다.그래서 장기적인 것보다는 단기적인 이해에 얽매여 결정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그것은 물론 바람직하지 않다. 시민사회의 자율성 활성화도 필요하다.공생(共生)주의에 기초한 시민사회는 사회적 갈등을 통합하고 공동체를 유지시킨다.그래서 시장경제를 안착(安着)시키는 토대가 된다.그렇기 때문에 시민사회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법적 제도적인장치를 만들어줘야 한다.새로운 발전모델로 이행하도록 국가는 시민사회가 활성화될 수 있는 제도적 환경을 구축해 줘야 한다. 국가 중심의 경제운영에서 자유경쟁 시장체제로 전환해야 하지만 사회통합과 사회안전망 구축을 위한 사회정책이 병행되지 않으면 안된다.고용의 유연성을 통해 효율성을 높이는 노동정책이 필요하다.노동생산성을 높이면서 노동조합의 자율성 및 정책결정 참여가 가능한 협력적 노사정체제가 중요하다. 정부의 노동정책은 노사정 협력체제를 유지하면서 노조가 발전할 수 있는조건을 만들어야 하는 어려운 과제를 안고 있다.국가의 역할을 매개로 한 노사정위의 위상강화를 통해 노사정간의 합의가 실질적인 구속력을 가질 수 있는 틀로 전환돼야 한다.기업별 교섭체계를 산별 교섭체계로 전환해 높은 교섭비용과 임금결정을 둘러 싼 노사갈등의 악순환도 극복해야 한다. 정리┑郭太憲 tiger@
  • ‘실업퇴치·고용창출’ 사회주의 공동선언

    “동지들이여.사회주의가 21세기 강력한 유럽의 고용과 성장을 보장하고 시민의 자유와 권리를 최우선 순위에 두고 있다는 것을 유럽 시민들에게 설파합시다.새로운 천년을 사회당과 함께 시작합시다” 1일부터 이틀간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개막된 제4차 유럽사회주의정당연합(PES)총회장.유럽의회내 사회당의 폴린 그린 대표의 확신에 찬 연설은 바야흐로 유럽에 사회주의 전성기가 다시 도래했음을 확연히 보여줬다. 토니 블레어 영국 총리,리오넬 조스팽 프랑스 총리,게르하르트 슈뢰더 독일 총리,마시모 달레마 이탈리아 총리를 비롯한 유럽 각국 정상들과 1,000여명의 사회주의 지도자들이 참석했다.참석자들은 보수 우파를 유럽 정치상황의불안정요소라고 맹공했다. 최대 안건은 오는 6월 10일 실시되는 유럽의회 선거.‘실업 퇴치 및 고용창출’에 최대 역점을 둔 21개 항목의 ‘사회주의 공동 선언문’을 정식승인하고 이를 근거로 공동정강을 마련했다. 공동선언문은▒범죄 공동 대처▒공동 경제전략▒성공적인 ‘유로’추진▒유럽중앙은행(ECB)과 유럽연합의 긴밀협력등을 결의했다. 현재 15개 유럽연합(EU)회원국 가운데 스페인과 아일랜드를 제외한 13개 국이 좌파단독 또는 연립정권이다.유럽의회에서도 사회당은 626석 가운데 214석으로 최대 정당의 지위를 누리고 있다. ‘제3의 길’‘새로운 중도’등 시장의 효율성을 강조하고 사회적 평등을부각시키는 탈이데올리기적 패러다임과 ‘개혁바람’으로 새부흥기를 맞이한 좌파권에 대한 평가는 대체로 긍정적.단일통화 유로도 성공적으로 출범시켰다. 그러나 역내 농업개혁문제와 세금조정문제 등 공동정책을 두고 좌파 정권간대립양상을 보이고 있고 실업문제도 난제다.
  • 초중고교 급지구분 없앤다

    서울시 교육청(교육감 劉仁鍾)은 내년부터 초·중·고등학교를 가·나급지로 구분해 교사들이 순환근무토록 한 제도를 전면 폐지한다고 2일 밝혔다. 현재는 교육 여건이 상대적으로 좋은 가급 학교에서 5년 이상 근무하면 의무적으로 나급 학교에서 근무해야 한다. 서울시내 809개 초·중·고교 가운데 182개가 가급지 학교로 주로 강남·강동지역에 몰려 있다. 시 교육청은 최근 서울지역 초등 교원 인사에서 전산오류로 408명에 대한전보 인사가 잘못돼 파문이 일자 급지별 인사 제도를 폐지키로 했다고 설명했다.당시 나급지에서 가급지로 옮기지 못한 교사 100여명은 지난달 26일과27일 교육청을 방문,인사의 전면 백지화를 주장하며 항의했다. 시 교육청은 급지별 인사가 교사들 사이에 위화감을 조성하고 학교 이미지를 실제보다 그르치게 하는 등 부작용이 많았다고 밝혔다. 급지 폐지에 대해 일선교사들도 환영하는 분위기다. 서울 원당초등학교 吳始亨교사는 “84년부터 교통의 편이성을 고려,가·나급지로 분류해왔지만 서울시내 교통망이 발달한 현재로서는 무의미하게 됐다”고 말했다. 李鍾洛 jrlee@
  • 김운용KOC위원장 오늘 출국

    김운용 대한올림픽위원회(KOC)위원장이 3∼5일 미수교국인 시리아와 우호국인 레바논을 잇따라 방문하고 본격적인 체육교류를 논의하기 위해 2일 출국한다. 이번 방문은 최근 세계 스포츠계에서 강국으로 부상하고 있는 중동지역과의 교류를 통해 국내 스포츠의 경기력을 향상시키고 미수교국과 정치·외교 교류에 앞서 민간외교 차원에서 관계 개선을 꾀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김운용 위원장은 3일 하페즈 아사드 시리아 대통령을 예방한 뒤 무달랄 NOC위원장과 스포츠교류 협정서에 서명을 한다. 5일에는 레바논으로 건너가 라호드 대통령을 비롯해 바이돈 교육문화체육장관,쿠오리 NOC위원장과 접촉하고 중동지역의 태권도 활성화 방안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 [정직한 역사 되찾기] (26) 민족대표 33인중 1인 李甲成

    올해로 ‘3·1 만세의거’ 80주년이다.세계 역사상 유례없는 전민족 차원의독립운동으로 기록되고 있는 ‘3·1의거’는 4월 하순까지 조선 8도에서 모두 1,214건의 시위에 참가자는 110만명에 달했다.또 당시 만세시위에 나섰다가 일경의 총칼에 목숨을 잃은 자가 7,500여명,검거된 자는 4만7,000여명에달했다. 구한말 의병항쟁 이후 일제말기의 광복군에 이르기까지 항일대열에 참가한애국지사는 수십만을 헤아린다.그러나 이들 가운데 정부로부터 건국훈장을받은 사람은 99년 2월 현재 8,524명이다.아직도 상당수 애국지사들이 훈장을 받지 못하고 있는데 이는 보훈당국이 야박해서만은 아니다.독립운동 공적은 인정되나 훈장급에는 미치지 못하거나 독립운동을 입증할만한 구체적인 거증자료를 찾지 못한 때문이다.독립진영의 비밀요원으로 활동한 사람들의 경우 증거자료를 확보하기가 쉽지 않다.자료찾기가 어려운 것은 일제의 비밀요원인 ‘밀정’ 역시 마찬가지다. 지난 93년 5월 국가보훈처는 역대 독립유공자 가운데 재심사 대상자 8명의명단을 국회 비공개회으에서 공개하였는데 그 가운데에는 ‘3·1의거’ 당시 민족대표 33인 가운데 한사람이었던 이갑성이 포함돼 있었다.그에게 씌어진 혐의는 ‘밀정’으로 요샛말로 하면 일제의 스파이노릇을 했다는 것이다.광복회장까지 역임하면서 81년 사망 당시 사회장이 치러졌던 그가 ‘변절자’였다는 의혹은 62년 이래 줄기차게 제기돼 왔다.그동안 제기된 의혹과 논란을 통해 그의 친일혐의를 추적해보자. 연당(硏堂) 이갑성(李甲成)은 1889년(명치 22년) 대구에서 태어났다.대구에서 보통학교를 마치고 서울로 올라온 그는 경신학교를 졸업하고 1913년 세브란스의전(醫專) 약학과 3학년 재학중 중퇴하였다.이 해부터 세브란스병원 사무원으로 일하던 그는 남강 이승훈(李昇薰)의 권유로 기독교계 대표로 3·1의거에 참여하였다.당시 민족대표중 가장 어린 나이였던 그는 외국인및 학생측과의 연락,독립선언서 배부,해외연락 업무를 맡아 의거를 성공으로 이끄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3·1의거 당일 태화관에서 일경에 체포된 그는 재판과정에서도 의연한 자세를 잃지않았다고 한다.또 감옥안에서도 3·1의거 기념 만세를 주동하였다. 이로 인해 다른 민족대표들이 가출옥한 뒤인 22년 5월 뒤늦게 출옥했다.출옥후 이듬해 세브란스 의약회사 지배인으로 재직하던 그는 그 해 11월 ‘민립대학 기성발기총회’에서 중앙부 집행위원으로 선출돼 전국을 돌며 민립대학 설립의 필요성을 선전·강연하다가 체포돼 다시 6개월간 감옥살이를 하였다. 24년 11월 이승만이 주도한 ‘동지회’의 서울지부격인 ‘흥업구락부’의간사로 피선된 그는 25년 조선중앙기독청년회(현 YMCA) 이사로 피선돼 활동했다.그는 또 좌우(左右) 민족운동세력의 통합체인 ‘신간회’ 창립에 발기인으로 참여하였으며 29년 11월 광주학생의거 직후 ‘신간회사건’으로 6개월간 복역하였다.출옥후 30년경 경성공업주식회사 지배인으로 있다가 이듬해 상해(上海)로 망명하였다.그를 둘러싼 친일의혹은 그가 상해행에 오른 후 37년 일경에 체포돼 본국으로 압송될 때까지 7년간의 행적이다.생전에 그는이 시기의 활동에 대해 침묵으로 일관했다. 한편 이갑성에 대한‘친일논쟁’은 62년 그가 건국훈장을 수훈할 무렵 불거져 나와 65년 광복회장에 취임한 직후,그리고 81년 그의 사망직후 한 잡지에서 그가 일제때 사용하였던 명함을 공개하면서 다시 논란이 됐었다.그의친일경력을 처음으로 공식 거론한 사람은 임시정부 서무국장 출신의 임의탁(林義鐸·건국훈장 독립장)씨.그는 ‘대한일보’(67.5.11)에 게재한 광복회비상총회 명의의 ‘성명서’에서 ▒민족대표 33인중의 한사람으로 솔선하여창씨개명을 한 점 ▒상해에서 임정에는 출입을 못하고 상해 조선인거류민회회장이자 유명한 친일파인 이갑녕(李甲寧)만 접촉한 사실 ▒총독부 산업국장의 주선으로 일본 미쯔비시(三菱)회사 신경(新京)출장소장으로 임명된 사실▒총독부 경무국장 마루야마(丸山鶴吉)의 촉탁을 지냈다는 주장 등 충격적인 내용을 폭로하였다. 또 유관순(柳寬順)열사의 오빠로 3·1의거에 참여했던 유우석(柳愚錫·건국훈장 애국장)씨는 이갑성이 “일제말기 일본인도 하기 어려운 경성공업사(군사공업)의 중역을 지냈다”고 증언하였다.두 사람 모두 정부로부터 건국훈장을 받은 애국지사들로 이갑성의 친일문제와 관련,상당히 구체적인 내용을 증언하고 있다.독립유공자 가운데는 같이 활동했던 동지들의 증언만으로도 훈장을 받은 사례도 있다.독립운동가들의 증언은 사료(史料)가치를 인정받고있다. 한편 임·유씨의 증언에 대해 이갑성은 반박성명을 통해 두 사람의 증언내용을 모두 부인하였다.그러나 몇 가지 사항을 검토해보면 이갑성의 반박은별로 설득력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우선 창씨문제.이갑성은 자신이 이와모토(岩本正一)로 창씨개명한 사실(호적서류 참조)을 두고 당시 자신은 해외에 있어서 모르는 일이라고 주장했다.그러나 창씨는 호주(戶主)만이 할수 있었기 때문에 당시 호주였던 그가 자신의 창씨 사실을 몰랐다는 얘기는 말이안된다.33인 가운데 그를 포함해 정춘수(鄭春洙,禾谷春洙),최린(崔麟,佳山麟)등 3명이 창씨개명을 했다. 다음으로 이갑성이 미쯔비시회사의 신경출장소장을 지냈다는 주장.현재로서는 확인된 바는 없다.그러나 그가 ‘주식회사 일만산업공사(日滿産業公司)전무취체역’을 지낸 사실은 확인됐다.(명함사진 참조) 또 이갑성이 상해 임정에 출입을 못했다는 주장.이에 대해 임정 총무과장 출신 K씨는 “당시 이갑성은 임정요인과 교류가 없었으며 임정 청사에 출입을 못했다”고 증언한바 있다. 독립운동가 김성수(金聖壽·건국훈장 독립장)는 자신의 경험담을 들어 이갑성이 상해에서 제중(濟衆)약국을 경영하면서 밀정행위를 했다고 사망직전에증언한 바 있는데 이갑성이 약국을 했을 가능성은 크다.우선 그가 약학을 공부했고,서대문형무소 수감시절 일경이 작성한 자료에 그가 상해로 도피하여약종상(藥種商)을 했다고 기록돼 있기 때문이다.그가 경무국장 마루야마의촉탁을 지냈다는 주장도 아직 확인된 바는 없다.이밖에도 그가 친일을 했다는 증언은 수없이 많다.독립운동가 사회에서는 그의 ‘친일’이 공공연한 비밀로 돼 있다.다만 그가 생전에 역대 정치권력과 깊은 유대를 가지고 독립운동가 사회의 상징적인 인물로 행세해왔기 때문에 나서서 언급하기를 꺼려왔을 뿐이라는 것.해방 직후부터 정치권에서 활동하면서 한때 이승만을 추종하던 그는 1961년 5·16이 발생하자 ‘…국가와 민족의 앞날을 위하여 크게염려하던 군인들에 의한 군사혁명이 일어난 것은 다행한 일로…군사혁명 정부가 완전히 성공하도록 물심양면으로 깊이 협조해 주기를…’ 호소하였다. 이듬해 62년 그는 해방후 첫 독립유공자 포상에서 건국훈장 대통령장(2등급)을 받았으며 공화당 창당과정에서 발기위원장으로 활동하기도 했다.65년에는 초대 광복회장에 취임하였고 이어 3·1동지회 고문,이준열사기념사업회총재 등 민족단체의 대표적 인물로 활동하였다.또 63년 그는 독립유공자 공적심사에도 참여하였는데 당시 이름만 써내면 훈장을 주었다는,소위 ‘백지사건(白紙事件)’에 그가 깊이 관련돼 있다는 혐의도 받고 있다. 이갑성의 일제하 행적에 대해서는 아직도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상당수 있다.33인 출신으로 일제당국에 신분이 노출된 상태에서 어떻게 상해를 자유롭게 드나들며 또 거기서 활동을 할 수 있었는지,37년 국내에 압송돼 와서 1년만에 가출옥한 배경이나 이후로도 수 차례 투옥된 이유는 무엇인지 등등.33인중 최후의 생존자로 매년 3·1절이면 독립선언서를 낭독하던 이갑성은 81년 3월 타계후 국립묘지에 안장됐다.그의 공과에 대한 냉정한 평가와 진실규명 차원에서도 그의 행적에 관한 자료조사는 앞으로도 계속돼야 할 것이다. 鄭雲鉉 jwh59@
  • 3·1운동-臨政 수립 80돌/백범전집편찬위 ‘방명록’ 입수

    중국은 상해시절부터 임시정부를 직·간접적으로 지원하였다.특히 임정의광복군 창설 이후 지원을 대폭 늘렸는데 이는 중국측이 임정·광복군을 항일전의 동지로 인식했기 때문이다. 최근 백범전집편찬위원회는 1943년 3월1일 중경시내에서 개최된 3·1의거 24주년기념식에 참석한 중국측 인사들의 방명록(芳名錄)을 대만(臺灣)에서 입수,공개하였다. 행사에 참석한 중국측 인사들이 자필서명한 이 방명록에는 당시 소위 ‘친한파’로 불릴만한 인사들이 총망라돼 있다.대표적 인물 몇명을 꼽아보면,첫머리의 유치(劉峙)는 당시 중경시 위수사령관으로 광복군창설에 참여한 인물이며,왕계현(王繼賢·당시 대령)은 중국 군사위원회(위원장 장개석) 조사실(정보담당부서) 소속으로 중국군과 광복군간의 연락장교를하면서 광복군의 인원파악과 물자지원을 담당하였다. 또 당시 입법원 원장손과(孫科)는 손문(孫文)의 아들로 한·중간의 우호단체인 한·중문화협회의회장을 지내면서 임정을 지원한 거물급 인사다.국민당 조직부장을 지낸 주가화는 1939∼44년 말까지 중국측 임정 담당 총책임자로 있었던 인물이며,후성(侯成)은 당시 한국광복군이 속해 있던 군사위원회 군정부 판공청 제1처장으로 광복군의 활동에 커다란 영향력을 행사한 인물이다.조덕수(趙德樹)는 중국군 출신으로 광복군에 파견돼 李範奭장군 후임으로 참모장을 지냈으며,도행지(陶行知)는 국민당과 공산당이 합작으로 구성한 참정회(參政會)의원으로 1940년 9월 ‘임시정부 승인 결의안’ 작성을 주도한 인물이다.이밖에 중국공산당측 인사로는 주은래(周恩來) 동필무 등영초(鄧穎超)등 3명의이름이 보인다.당시 주은래는 중국공산당 중경 판사처주임이었고,동필무는참정회의원이었으며,등영초는 주은래의 아내이자 동지였다.鄭雲鉉
  • 3·1운동-臨政 수립 80돌/총독부,해외 3.1행사까지 탄압

    일제하 조선총독부는 해외 독립진영에서 개최한 3·1절 기념행사를 극비에감시,탄압한 사실이 총독부 문서를 통해 처음 확인됐다. 본사 취재팀이 최근 일본 외무성사료관에서 단독입수한 ‘국외(國外)에서소위 독립선언 기념일의 상황에 관한 건’이라는 비밀문건에 따르면,일제는조선내는 물론 해외에서까지 3·1의거 기념행사를 치밀하게감시,탄압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대정(大正)14년(1925년) 3월 31일 조선총독부 경무국장 명의로 작성된 이문건(高警 제1090호)은 총 20페이지로 구성돼 있으며 당시 일제가 중국·만주·노령(露領.러시아령)·미국 등지에서 열린 3·1의거 기념행사를 철저히감시,분석한 것으로 나와있다.총독부는 문건에서 “재외 불령선인(不逞鮮人. 독립운동가)들은 매년 3월 1일을 소위 독립기념일로 하여 축하연 또는 기념식 명칭으로 집회를 가져왔다”면서 “금년에도 지나(支那.중국) 각지에서행사를 가졌는데 그 규모는 점차 감퇴하고 있다”고 밝혔다.또 문건에는 각지역에서 개최된 3·1절 기념식의 행사일정·참가자 인원·주요 발언내용 등 세밀한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 중국인이나 한국인 밀정을 동원했던 사실도언급돼 있다. 3·1의거 6주년을 맞아 상하이임시정부와 의정원은 이날 오전 10시 상하이시내 포석로(蒲石路) 신민리(新民里) 제14호에서 朴殷植국무총리,崔昌植의정원 의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기념식을 가졌다.청년동맹회는 별도로 정오부터 망지로(望志路) 소재 사무실에 모여 기념식을 갖고는 “애국선열의 뒤를 따라 맹진(猛進)하자”고 서약하였다.또 상하이교민단은 오후 3시 민국로(民國路) 침례교회 예배당에서 500여명이 모여 별도의 집회를 가졌다.참석자들에게는 청년동맹회가 제작한 ‘3월 1일’이라는 ‘불온유인물’을 나눠주어 독립의식을 일깨웠다.이날 일경측은 참석자들이 행사후 일본영사관에 폭탄을던질 것이라는 정보를 입수하고 중국인 밀정 정자향(程子鄕)을 행사장에 침투시켜 애국인사를 체포하는 장소로 악용한 것으로 나와있다. 같은 날 난징(南京)에서는 조선인 70여명이 동명(東明)학원에 모여 기념식을 가졌는데,鮮于爀은 연설을 통해 “분투 7년이지나도록 독립을 쟁취하지못한 것은 유감”이라며 “향후로는 (일제)파괴사업에 적극 노력해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한편 베이징(北京)에서는 한교(韓僑)동지회와 고려학생회 공동주최로 북경대학에서 기념행사가 열렸는데 여기서도 ‘말썽’이 생겼다.서울출신 왕동춘(王桐春.본명은 徐昌鉉 또는 徐浩錫)이 일제의 밀정혐의를 받고 행사도중에퇴장당한 것. 또 간도(間島)지역에서는 이날 독립진영에서 대규모 시위와 함께 일본영사관 습격과 일본인 요인암살을 계획하고 있다는 정보가 입수돼 일·중 양국경찰이 대거 동원돼 삼엄한 경계를 편 사실도 나와 있다.중국지역에서는 이밖에 텐진(天津)·지진(吉林)등에서도 행사가 열렸다.천진에서는 당일 오전9시 교민단장 金政·李壇海·申聖文등 3명이 태극기로 장식한 자동차를 타고 미리 준비한 인쇄물 3천 매를 영·불·독 등 각국 조계(租界)지역에 살포하였다.미국 하와이에서는 당일이 일요일이어서 하루 미뤄 3월 2일 교민단 등에서 기념행사를 가진 것으로 나와있다. 한편 총독부는 이 문서를 일본 내각 각부서와 해외 공사관,법원·경찰부서,각 도지사 등에게 발송하였다.이는 총독부가 해외 독립진영과 교민들의 3·1절 기념식을 특별히 감시,탄압하기 위해 일제 공권력 기관을 총동원했음을보여주고 있다. 韓詩俊단국대 역사학과 교수는 “일제가 해외에서 열린 3·1의거 기념행사를 감시,탄압한 것은 이를 계기로 조선인들이 또다른 ‘거사’를 할 가능성을 우려한 때문”이라며 “3·1정신은 일제강점기 내내 독립투쟁의 정신적지주였다”고 평가했다.그러나 이 문건에는 행사당일 특별히 독립진영과 일경측이 충돌한 사례는 언급돼 있지 않다.이는 대부분의 기념행사가 옥내에서 치러진데다 일경의 감시가 심해 대규모 집회나 시위는 불가능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鄭雲鉉 jwh59@
  • [이런사람이 대접받는 사회] 햄 무선사 朴忠根씨

    아마추어 햄무선사 朴忠根씨(43·서울 강동구 고덕동)는 길을 다닐 때 항상 주위를 둘러보는 습관이 있다.‘혹시 불이 나거나 큰 사고가 터진 곳은 없나’하는 염려 때문이다. 朴씨는 86년부터 취미삼아 HAM(아마추어 무선통신)을 시작했다. 사고 현장에 나가 남을 돕기 시작한 것은 95년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당시인명구조와 비상통신 지원을 하면서부터.경찰과 소방관,군인들이 서로 통신수단이 달라 애를 먹는 것을 보고 자신의 기술을 좋은 일에 써야겠다고 마음먹었다. 朴씨는 곧 대한적십자 무선봉사회에 가입,사고현장 비상통신망 구축과 인명구조에 참여했다.같이 활동하던 부인 金靜姬씨(40)도 가입했다.96년 여름 수도권 일대 집중호우 때는 개인 무선차량을 이용해 침수지역 피해와 교통상황을 구조대에 알려줬다.지난해 1월 영동지역 폭설과 9월 부천 가스폭발사고,지난 1월 송파구 장지동 화훼마을 화재 때도 통신 지원과 구호품 수송에 앞장섰다. 주로 휴일이나 퇴근한 뒤에 활동하지만 큰 재해가 나면 직장에 휴가를 내고 봉사하기도 한다.평상시에도 24시간 무선통신을 열어 두고 동호인들과 연락한다.수해 발생에 대비,수해 예상지역 지형탐사 활동도 97년부터 매년 두번씩 하고있다.서울 서초구 내곡동 시립아동병원에서 방사선사로 일하고 있는朴씨는 병원에서도 뇌성마비 장애아동들을 친자식처럼 돌본다. 주말에도 부부가 함께 봉사회에 나가 햄 활동을 하거나 사고 현장에 나갈때가 많다.아들(13)·딸(10)과 함께 있는 시간이 적어 미안하다는 朴씨는 “작은 힘으로 고귀한 생명을 구할 수 있다면 얼마나 뜻깊은 일이냐”면서 활짝 웃었다.
  • 땅값 사상 최대 폭 하락

    전국의 땅 값이 지난 90년 토지 보상금 산정을 위한 표준지 공시지가 제도가 도입된 이래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다. 건설교통부는 올해 1월 1일 기준으로 전국 45만필지의 표준지 공시지가를매긴 결과 지난해보다 13.6%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5일 밝혔다.이번 조사에서 서울 중구 명동2가 33의2 한빛은행(옛 상업은행) 명동지점 자리가 전국에서 가장 비싼 평당 1억909만1,000원을 기록했지만 지난해보다는 17.5%떨어졌다.가장 싼 땅은 경남 거창군 신원면 구사리 산 170의 임야로 평당 149원이었다. 아파트용 토지 가운데 가장 비싼 곳은 서울 강남구 삼성동 3의3 석탑 아파트부지로 평당 892만6,000원이었다.단독주택 부지는 서울 종로구 당주동 127이 평당 760만3,000원으로 최고 땅 값을 자랑했다.주거용지중 가장 싼 곳은강원도 영월군 하동면 주문리 97로 평당 1,124원이었다. 공업용지는 서울 성동구 성수동 2가 280-35 철강공장 부지가 평당 694만2,000원으로 가장 비쌌고 가장 싼 곳은 경북 경주시 안강읍 두류리 산 78로 평당 4,959원이었다. 농경지 가운데 가장 비싼 곳은 서울 마포구 상암동 134의 4로 평당 231만4,000원이었으며 평당 364원인 전남 완도군 청산면 여서리 741이 가장 낮았다. 임야는 서울 강북구 수유동 516이 평당 115만7,000원으로 가장 비쌌고 가장싼 곳은 경남 거창군 신원면 구사리 산 170으로 평당 149원으로 조사됐다. 표준지 공시지가 산정에 이의가 있을 경우 오는 3월 29일까지 시·군·구에이의신청서를 내야 한다.
  • 한빛銀, 중복자산 일반공매

    한빛은행은 23일 상업·한일은행의 합병 과정에서 생긴 일선점포와 합숙소등 중복자산을 일반인에게 대거 공매한다고 밝혔다. 다음달 11일 매각하며,공매대상은 68건에 2,400억원어치(장부가 기준)에 이른다.수익가치를 반영,수요자 입장에서 산정한 가격을 공개해 공매할 예정이어서 가격산정이 합리적이라고 은행측은 설명했다. 매입대금은 경매 또는 일반거래와 달리 6개월 안에 치르면 된다.은행과 협의해 완납조건을 조정할 수 있다.일정자격 요건을 갖춘 사람은 모자라는 자금을 지원(대출)받을 수도 있다. 한빛은행은 ▒서울 마포구 도화동 마포역지점(오피스텔 1·2층 480평) ▒노원구 중계북지점(단독상가 7층 중 2층 192.5평) 등 상가점포 ▒부산 광안동(대지 746평,건물 292평) ▒경기 평택 비번동(대지 674평,건물 243평) 등의합숙소는 수요자가 관심을 가질 만한 곳이라고 밝혔다.단독점포 건물은 ▒종로구 관철동 종각지점(대지 271평,건물 248평) ▒부산 남포동 광복동지점(대지 241평,건물 988평) ▒과천 별양동 과천남지점(대지 480평,건물 2,797평)▒청주 남문로출장소(대지 253평,건물 379평) 등을 눈여겨 보라고 주문한다. 한빛은행은 매각대상 개별 부동산에 대한 설명회를 별도로 가질 예정이다. 문의처는 한빛은행 부동산 매각팀 (02)2259-6391,6511∼2,6470번. 吳承鎬 osh@
  • IMF를 이긴 사람-교보생명 李承勳씨

    “IMF체제라는 고통이 없었다면 지금의 저는 없었을 겁니다.IMF때문에 어려운 분들이 많지만 저에게는 인생 설계를 새롭게 하는 중요한 계기가 됐습니다.” 국내 경제가 어려워지면서 2년 넘게 다니던 회사를 그만둬야 했던 李承勳씨(30)는 교보생명에서 새 인생을 시작했다.더군다나 사회적 물의를 일으켰던피라미드식 영업과 별반 차이가 없다며 평소 안좋게 생각해온 보험영업을 자신이 하게 되리라고는 꿈에도 생각하지 못했다. IMF이후 자동차 수요가 줄면서 관련업계가 연쇄도산으로 쓰러졌다.李씨가다니던 자동차부품 제조판매업체인 (주)재성광도 예외는 아니었다.李씨는 97년 12월초 밀렸던 11월 한달치 월급만 들고 회사를 그만뒀다.한창 나이인 20대 후반에 실직자가 됐다.더군다나 이듬 해 봄으로 계획했던 결혼도 무기한연기했다. “밥벌이할 직장도 없는데 어떻게 결혼을 하겠습니까.사정이 나아진 뒤로미뤘습니다”.약혼녀 덕분에 마음의 짐 하나는 덜었지만 새로 일자리를 구하기가 하늘의 별따기보다 힘들었다. “다 큰 자식이 부모님께 언제까지손을 벌릴 수도 없는 노릇이었고,그때는 정말 비참했습니다”.하나 뿐인 남동생은 군대에 가 있고 부모님을 모시고사는 그로서는 날마다 부모님 얼굴 뵙기가 민망스러웠다.달마다 크게 생활에 보탬이 된 것도 아니지만 제몫은 하고있다는 당당함마저 잃었다.그렇게 좋아하던 친구들과도 연락을 끊었다. “늦었지만 공부를 해볼까 생각해 봤습니다.컴퓨터나 기술,외국어를 배워볼까 궁리도 해봤고요.” 그러던중 옛 직장동료와 점심을 먹으러 갔다가 우연히 申丁燮 교보생명 명동지점 충무로영업소장(당시 팀장)을 만났다.申소장의 보험영업에 대한 설명을 듣고 보험영업에 대한 생각이 순식간에 바뀌었다.특별한 자본도 필요없이 노력 만으로 고소득을 올릴 수 있다는 점이 마음을 끌었다.영업이라면 자신있던 터에 그 자리에서 “한번 해보겠다”고 결정했다. 1주일간 교육을 마친뒤 98년 5월 申소장이 있는 충무로영업소에 배치됐다. 서울 운니동에 있는 삼환빌딩 담당이었다.발바닥에 난 땀이 마를 틈도 없이돌아다녔다.1주일만에 여직원 두명과 보장성 보험 계약을 성사시켰다.자신감이 생겼다.첫달에 받은 월급이 70만원 남짓.두달째부터 160만∼180만원으로수입이 늘었다. 절대로 강권하지 않는다는 것이 李씨의 철칙이다.고객의 경제사정과 환경에 꼭 필요한 상품을 설계해 권했다.그러기 위해 매일 새벽 6시에 일어나 경제신문을 읽으면서 경제에 대한 상식을 넓혀나갔다. 계약 한건을 따내기 위해 지방에 사는 고객을 두세번 찾아가는 기본이었다. 이렇게 들인 공이 2∼3달이 지나면서 나타났다. 입사 7개월 째인 지난 해 11월부터 월급이 500만원으로 껑충 뛰었다.“처음에는 어리벙벙했다”는 그는 이제 회사에서도 인정받는 성공한 영업사원이다. “평생 직장은 없다는 것,또 나와 가족·인생의 의미를 IMF를 겪으면서 터득했습니다”.李씨는 그동안 미뤘던 결혼식을 오는 4월24일 올린다.
  • 李壽成 평통부의장 행보 빨라졌다

    李壽成민주평통수석부의장의 발걸음이 분주하다.정치권으로 진입하기 위한보폭 조율이라는 시각도 만만찮다. 李부의장은 지난 11일 몇몇 정치인들과 저녁을 함께했다.국민회의 張永喆·劉容泰·朴宗雨의원,한나라당 康容植·李在五·崔鉛熙의원 등이 참석했다.참석 의원들은 한때 ‘정치적 동지’였다.지난 97년 한나라당 대통령후보 경선에서 李부의장을 밀었던 ‘정발협’ 멤버다.“정치 얘기는 없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정치권에서는 이날 모임을 李부의장의 ‘정치행보’의 신호로받아들이는 분위기다. 국민회의 한 관계자는 “대구·경북 출신인 李부의장 만큼 동서화합의 상징성을 갖는 인물이 없다”며 李부의장의 정치적 ‘상품성’을 인정했다.하지만 당내에서 李부의장의 정치력에 회의적인 시각도 없지 않다.“총선체제로들어가는 당을 관리할 수 있겠느냐”는 우려다. 李부의장은 또 盧武鉉부총재의 16대 부산 출마로 비게 될 종로지역에서도후보로 거론되고 있다.하지만 李부의장의 한 측근은 “지역구를 한다면 고향 칠곡을 택할 가능성이 있다”고말했다.崔光淑 bori@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