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동지
    2025-11-14
    검색기록 지우기
  • 주택 정책
    2025-11-14
    검색기록 지우기
  • 2025-11-14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16,825
  • 유웅석 SK건설 사장 “글로벌 비즈니스 확대”

    유웅석 SK건설 사장 “글로벌 비즈니스 확대”

    “글로벌화를 통해 SK건설의 고속성장 신화를 이어가겠습니다.” 지난해 10대 건설사 가운데 가장 앞선 외형 성장을 이끈 유웅석 SK건설 사장은 18일 글로벌화를 통한 성장을 강조했다. 유 사장은 “그동안 SK건설은 외형 성장은 물론 장기적인 비전과 목표 달성을 위한 변화의 추진에 성공했다.”면서 “올 들어 원자재가 상승 등 대내외적으로 경영환경이 어렵지만 이를 극복하고 ‘초일류회사’로서의 장기적 발전 기틀을 다지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를 위해 다양한 해외시장 진출로 글로벌 비즈니스를 확대해 나간다는 청사진을 마련했다. 유 사장은 “SK건설의 전통적 강세분야인 화공플랜트의 경우 제품 다변화와 함께 중동지역에 편중된 시장을 동남아, 유럽, 남미 등으로 점차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며 “토목, 건축 등 다른 사업부문의 해외진출도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무엇보다 글로벌 인프라 구축을 통해 글로벌한 회사 시스템과 구성원들의 글로벌 역량 확보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점차 글로벌화해 가는 기업 환경 속에서는 시스템과 구성원 모두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성공적인 글로벌화를 위한 선결과제라는 점을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유 사장은 “신규 기술 개발과 지속적인 원가 경쟁력 확보로 수주 경쟁력 강화와 매출 증대의 두 가지 목표를 모두 이뤄내겠다.”고 다짐했다. 그는 “고객의 가치와 우리 자신의 가치를 동시에 높여 갈 계획”이라면서 “앞으로는 단순시공 개념을 넘어 모든 구성원의 역량을 결집하고 최적화된 해결책을 제시하겠다.”며 각오를 다졌다.SK건설이 지난해부터 펼치고 있는 ‘밸류업(Value-Up)’ 행사와 ‘비타민서비스’ 등도 이런 노력의 일환이다. 밸류업은 건설사가 계약을 마친 단지에도 마케팅 활동을 통해 아파트 가치를 계속 높여나가는 프로젝트. 비타민서비스는 고객들에게 문화나 환경관련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서비스다. 서울대 토목공학과 출신인 유 사장은 30여 년간 한국 엔지니어 기술 발전에 이바지한 정통 엔지니어로 2006년 SK건설 사장에 취임했다. 토목 엔지니어 출신으로는 흔치 않게 경영대학원까지 수료, 기술과 경영을 겸비한 전문 최고경영자(CEO)로 평가받는다. 김성곤기자 sunggone@seoul.co.kr
  • [한국의 대표기업](35·끝)SK건설

    [한국의 대표기업](35·끝)SK건설

    SK건설은 건설업계에서 차지하는 위상에 비하면 ‘젊은’ 기업이다.1977년 창업해 올해로 31년째가 됐다. 그렇지만 화공 및 정유플랜트에서는 세계 초일류 기업 반열에 올라 있다. 특히 기존 정유시설을 개·보수하는 분야에서는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이는 SK건설이 ‘빌드 더 그레이트(Build the Great)’라는 비전 아래 최신 공법과 첨단시스템을 바탕으로 세계적인 종합 EC(Engineering & Construction) 회사로 발돋움하는데 바탕이 됐다. SK건설은 지난해 매출 4조 1359억원, 수주 6조 7735억원, 경상이익 1610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 33%, 수주 52% 증가라는 비약적인 성장을 이뤄냈다. 매출 4조원 돌파는 창업 이래 처음이다. 올해는 글로벌화를 통해 해외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해 매출 4조 4000억원, 수주 9조 8000억원, 경상이익 2000억원대의 목표를 세웠다. ●해외 플랜트의 세계적 강자 SK건설은 중동지역 플랜트시장에서 지속적으로 수주를 확대하고 있다. 지난 2005년 쿠웨이트에서 1조 2000억원 규모의 원유집하시설 공사를 단독으로 따냈다.2006년에는 1조 2500억원 규모의 초대형 방향족 제품 생산 플랜트 공사를 공동으로 수주했다. 지난해엔 6000억원 규모의 원유집하시설 신설 공사와 6500억원 규모의 가스처리시설 건설공사를 따내 쿠웨이트 내에서 플랜트 건설의 독보적인 입지를 굳혔다.SK건설은 여세를 몰아 지난 5월 쿠웨이트 제4 정유공장 신설 공사 프로젝트에서 20억 6000만달러 규모의 2번 패키지를 단독 수주했다. SK건설은 중동 지역 이외의 신시장 개척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지난해에는 인도네시아에서 1억 5000만달러 규모의 윤활기유 제조공장 건설 공사를 수주했다. 싱가포르에서는 한국기업 진출 이래 최대 규모인 9억달러 규모의 아로마틱 플랜트 건설공사를 JAC사로부터 따냈다. 현재 태국과 쿠웨이트에서 수행 중인 아로마틱 플랜트 건설공사까지 포함하면 국내·외에서 모두 30억달러 규모의 동일 공종의 공사를 벌이고 있다. 이 분야에서 명실공히 세계 최고의 실적과 기술력을 보여주는 것이다. ●주택에 조형·공간미학 첫 도입 SK건설은 국내 건설사 가운데 최초로 아파트에 조형미학과 공간미학 개념을 도입했다. 이런 시도는 아파트 브랜드 ‘SK 뷰’, 고급 주상복합 ‘SK 리더스 뷰’, 고급 빌라 ‘SK 아펠바움’ 등을 통해 인간과 자연, 기술이 조화를 이룬 쾌적한 생활공간으로 잘 형상화됐다. 서울 강북권 대표적인 랜드마크로 꼽히는 SK북한산시티는 52개동 5327가구 규모로 실거주 인원이 3만명에 가까운 매머드급 단지로 유명하다. 경기 고양시의 분당파크뷰는 분양 당시 수도권 주거만족도 분야에서 최고의 평가를 받았다.SK건설이 경기 용인 동백지구에 선보인 ‘동백 아펠바움’은 새로운 주거형태로 각광받는 친환경 단독주택 타운하우스로 국내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최근 SK건설은 민관합동PF 사업에서도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2005년 아산배방PF 사업에 이어 인천도화개발사업, 파주운정PF사업, 영등포교정시설 이전 및 복합단지 개발 사업 등 대형 프로젝트를 잇따라 수주했다. 이는 SK건설의 우수한 기술력과 대형 프로젝트 수행능력이 반영된 것이다. ●토목분야 세계적 기술력 보유 SK건설은 플랜트뿐 아니라 도로, 교량, 항만 건설 등 토목 사업 분야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SK건설은 특히 세계 최초로 LNG 지하저장 기술을 개발하는 등 지하공간 사업을 활발히 펼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제품의 석유류 지하비축 시공 기술을 근간으로 핵심설계 기술을 보유하고 지하냉동창고, 지하하수처리장 등 사업영역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도로·교량에서도 SK건설의 기술력은 빛을 발한다. 교량의 100∼150m 경간에서 가장 경제적인 형식으로 평가받고 있는 엑스트라도즈 공법을 턴키 프로젝트에 최초로 도입해 토목 분야의 설계기술 향상에 크게 기여했다. SK건설은 첨단 자동화 계측 시스템을 도입해 안전시공과 완벽한 품질을 추구하고 있다.‘군장신항만 북방파제’가 2005년 ‘올해의 토목구조물’에 선정되는 등 실력이 대외적으로 입증됐다. 최근에는 국제 자동차경주대회인 F1대회 경기장 건설공사를 수주하는 등 새로운 분야 진출도 모색하고 있다. SK건설은 플랜트, 건축, 토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 건설회사의 위상을 전세계에 과시하고 있다.SK건설은 연간 1000억원 이상의 지속적인 수익을 창출해 2015년까지 업계 초일류로 자리매김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현재 기술력, 시공력으로 앞선 분야에서는 지속적으로 역량을 키워나가고 SK 브랜드의 전국적인 확대와 신규 사업 및 적극적인 해외시장 진출을 통해 그 위상을 더욱 높여나갈 계획이다. 김성곤기자 sunggone@seoul.co.kr
  • 중동 현장 찾아 임직원 격려

    이종수 현대건설 사장은 여름휴가 대신 14일부터 18일까지 카타르, 쿠웨이트 등 중동지역 현장을 방문해 임직원을 격려한다. 이 사장은 15∼16일 카타르 지사장과 현장소장 등이 참석하는 ‘2008 하반기 사업목표 달성 점검회의’를 주재한다.
  • [인사]

    기획재정부 ◇팀장급 전보 △인사운영팀장 주환욱△인사제도팀장 김대현 지식경제부 우정사업본부 △서울용산우체국장 이재문△전북체신청 우정사업국장 김근영△동전주우체국장 강종천 대한광업진흥공사 △인사교육팀장 이제욱△비서실장 박재서 하나대투증권 ◇전보 (본부장)△강동지역본부장 민철희△지원〃 조현준 (지점장)△천호역지점 승운배△분당중앙〃 이승진△구갈〃 조옥환 ◇승진 (지점장)△일산지점 하경래△안양〃 김연겸△부천〃 유정렬
  • [부고] 애국지사 이정우 선생 별세

    일본에서 항일독립운동을 했던 애국지사 이정우 선생이 9일 오후 4시 숙환으로 별세했다.87세. 선생은 1921년 전남 강진에서 태어나 도쿄고등학원에 재학 중이던 1940년 8월 오유근·노재용 등과 함께 민족의식을 고양할 목적으로 독서회를 조직, 해외 독립운동 전개 상황을 주시하면서 조직 확대 및 동지 규합에 힘을 쏟았다. 독서회의 조직이 확대되면서 일경에 발각돼 회원들이 모두 체포됐다. 일시 귀국 중 화를 면했지만 다시 일본으로 가기 위해 여수에 머물던 중 일본 헌병에 체포됐다. 선생은 혹독한 고문을 당하다가 1942년 11월 광주지방법원에서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징역 1년형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 정부는 선생의 공훈을 기려 1977년 대통령표창,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했다. 유족으로는 유통업을 하는 상일씨 등 2남3녀가 있다. 발인 11일 오전 7시30분, 장지 대전국립묘지.010-5345-3079.
  • [부고]

    이종희(전 서울신문 부국장급 교정부장)씨 별세 순용(아시아투데이 건강담당기자)선용(세원건영 부장)삼용(사업)준용(한양대 교직원)씨 부친상 7일 서울 적십자병원, 발인 9일 오전 11시 (02)2002-8976최정헌(동양종합금융증권 상무)씨 부친상 7일 부산의료원, 발인 9일 오전 9시(051)607-2659김충(전 프로야구 SK 2군 감독)씨 별세 7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9일 오전 8시 (02)3410-6901장진용(전 마산철도병원 약제과장)씨 별세 준(신촌세브란스병원 제2진료부원장 겸 기획관리실장)범(우신고 교사)씨 부친상 박윤경(엘리트어학원 원장)씨 시부상 이성권(미국 사이프레스반도체 연구원)씨 빙부상 7일 신촌세브란스병원, 발인 9일 오전 8시 (02)2227-7580은현희(인천 효성중 교사)종민(하나대투증권 노조위원장)현정(사업)종국(공군 헌병 중사)종철(지스코리아)씨 부친상 7일 신촌세브란스병원, 발인 9일 오전 7시 (02)2227-7600장대식(분당중앙고 교장)화식(한국외대 경영대학원 동문회장)씨 모친상 현창건(LIG손해보험 현&장 대표이사)씨 빙모상 7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9일 오전 8시30분 (02)3010-2631이환용(하이원인터내쇼날 대표)환권(미사와은혜교회 목사)한천(신화에이앤씨 대표)한문(단대부고 교사)한덕(제일저축은행 장충동지점장)환석(하이원 대표)씨 모친상 박우목(계룡 용남초 교사)장준호(제일저축은행 상무이사)장기용(협성대 교수)씨 빙모상 7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9일 오전 11시 (02)3010-2295홍재윤(ENC기술연구소 상무)재문(머니투데이 증권부 부장대우)씨 조부상 7일 서울대병원, 발인 9일 오전 7시30분 (02)2072-2018김오임(서울 중랑구의회 의원) 별세 7일 중랑구청, 발인 9일 오전 9시 (02)3423-0672
  • 송이농가 생산량 줄어 한숨

    폭염에 다습한 날씨가 계속되고 올여름이 예년보다 1개월 정도 길어질 것으로 예상되자 송이 재배농가들이 생산량 격감을 크게 우려하고 있다. 폭염으로 6∼8월 생산되는 여름송이가 자취를 감춘 데다 9월 초순부터 본격 출하될 가을송이도 무더위에 송이포자가 말라 죽으면서 수확 감소가 크게 우려되기 때문이다. ●영덕·봉화·강릉·양양 등 큰 피해 4일 송이 산지인 경북 영덕·봉화군 및 강원 강릉·삼척 산림조합 등에 따르면 경북지역의 경우 폭염과 열대야 등 고온다습한 날씨 때문에 여름송이가 자취를 감췄다. 예년 여름철에는 2∼3t의 여름송이가 생산돼 송이산 산주 및 채취농들이 2억∼3억원대의 농외소득을 올렸다. 강릉·양양·고성 등 영동지방도 계속되는 고온다습한 날씨와 가뭄으로 인해 여름송이가 없기는 마찬가지다. 영덕군 산림조합 최선(43) 상무는 “여름송이는 지표면의 온도가 20도 내외여야 하는데 올해는 산 속 온도가 30도까지 치솟아 송이포자가 말라 죽는 등 환경이 전혀 조성되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산주 등은 본격 가을송이 채취철을 앞두고 그 어느 해보다 불안한 표정이 역력하다. 최 상무는 “만약 9월까지 낮기온이 30도가 넘는 날이 지속되면 올해 송이생산은 전망이 없다.”고 걱정했다. 밤에 송이포자 형성에 필요한 적정기온이 유지되더라도 낮 기온이 30도 안팎의 무더운 날씨가 되면 밤 사이에 자랐던 어린 송이가 썩어버리기 때문이다. ●무더위 장기화되면 쥐꼬리 수확 봉화에서 20년째 송이산을 가꾸고 있는 박옥(61)씨도 “지구 온난화 영향으로 최근 3∼4년새 송이 생산면적이 7㏊에서 5㏊로 줄고 단위 면적당 생산량도 최고 70∼80% 급감하는 추세”라며 “특히 올해는 폭염이 유난히 심한 데다 더위가 9월말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상돼 백로(9월7일) 때부터 본격적으로 수확될 가을 송이도 많지는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특히 봉화지역은 지난달 25,26일 쏟아진 집중호우로 송이산 등 108㏊에서 산사태가 발생, 역대 최악의 송이 생산 감소가 우려되고 있다. 따라서 도내 시·군들이 송이 생산 확대를 위해 많은 예산을 들여 추진 중인 송이산 가꾸기 사업의 성과도 의문시되고 있다. 지난해 50여t의 송이가 생산된 강원 양양군 관계자는 “올해는 그 어느 해보다 송이포자 형성에 절대적 영향을 미치는 폭염과 가뭄 등 악재가 많은 것 같다.”면서도 “하지만 추석을 전후한 송이 본격 수확까지는 시일이 남아 있어 생산량을 미리 점치기에는 아직 이르다.”고 말했다. 영덕·울진군 관계자는 “폭염 등으로 가을송이 생산에 차질이 생기면 채취농가 피해는 물론 지역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벌써부터 올해 송이 흉작으로 가격이 폭등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고 말했다. 한편 영덕·울진군은 지난해 각각 120t의 가을송이를 생산,110억원의 소득을 올렸고, 봉화군 61t(57억원), 청송군 12t(15억원)을 생산했다. 영덕·봉화 김상화기자 shkim@seoul.co.kr
  • [Metro] 경기도 택지지구 10곳 추가조성

    경기지역에 2013년 말까지 10곳의 택지지구가 추가 개발된다. 1일 경기도에 따르면 추가 개발 대상은 ▲고양 풍동2지구, 향동지구, 지축지구 ▲파주 운정3지구 ▲안성 옥산 뉴타운지구 ▲화성 장안지구, 비봉지구, 동탄2지구 ▲남양주 지금지구 ▲성남·하남 일부 지역이 포함된 송파 거여지구(위례신도시) 등이다. 택지개발예정지구로 지정된 이후 아직까지 개발계획이 승인되지 않은 곳들이다. 이들 지구의 전체 개발면적은 47㎢로 모두 23만 8000가구의 주택이 건설돼 64만 9800명의 주민이 입주하게 된다. 각 지구들은 2011년 말부터 2013년 말 사이에 준공된다. 이들 택지지구가 완공되면 1981년 이후 조성된 경기도 택지개발지구는 184곳, 전체 면적은 295㎢로 늘어난다. 수원이 21곳으로 가장 많고 용인 18곳, 평택 17곳, 고양 15곳, 화성 13곳, 남양주 11곳 등이다.수원 김병철기자 kbchul@seoul.co.kr
  • [부고]

    조봉휘(전 인천 남구의회 의원)씨 부친상 1일 인천 제물포장례예식장, 발인 3일 낮 12시 (032)881-1720이은모(한국은행 외환시장팀장)은범(김제 세화주유소 대표)은형(자영업)씨 부친상 1일 고대구로병원, 발인 3일 오전 10시 (02)3281-1499박경한(전 기업은행 지점장)씨 상배 광호(신용보증기금 부장)씨 모친상 문성배(치과 원장)씨 빙모상 31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일 오전 6시 (02)3010-2232김헌수(영풍하이텍스 대표)헌주(영풍섬유 대표)씨 부친상 한기호(영풍하이텍스 전무)씨 빙부상 31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일 오전 8시20분 (02)3010-2231민윤기(현대산업개발 아이서비스 부장)씨 상배 31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일 오전 9시 (02)3010-2264심계섭(전 청와대 비서관)씨 별세 김항(극동상공 대표)씨 빙부상 1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4일 오전 6시 02)3410-6905임성호(21세기한국연구재단 사무국장)정헌(한국전자금융 대리)씨 부친상 강석원(도로교통공단 재정팀장)씨 빙부상 31일 서울대병원, 발인 3일 오전 8시 (02)2072-2027이창모(GS건설 부장)씨 모친상 신정승(주중 한국대사)이용수(프린턴 대표)씨 빙모상 1일 신촌세브란스병원, 발인 3일 오전 11시30분 (02)2227-7569송길호(현대증권 목동지점장)씨 빙모상 1일 대전 충남대병원, 발인 3일 오전 7시 (042)257-4860
  • [인사]

    헌법재판소 ◇임용 △헌법연구관 정인경 환경부 ◇실ㆍ국장급 전보 △대통령실 환경비서관 전병성△국제협력관 김찬우△UNEP 아ㆍ태사무소 이찬희 특허청 ◇4급 전보 △특허심판원 심판관 오흥수 김정옥 서울대 △대학원장 金夏奭△학생처장 張在盛△연구〃 徐鎭浩△기획실장 朱鍾南△교무부처장 林炅勳△학생〃 具英△연구〃 姜大熙△기획부실장 李根寬△입학관리본부장 金泳楨△대외협력〃 尹希苑△정보화본부장 겸 중앙전산원장 李範熙△중앙도서관장 徐敬浩△기초교육원장 姜明求△기초교육원 부원장 李賢淑△언어교육원장 孫昌庸△대학신문사주간 李奉柱△발전기금상임이사 南益鉉 고려대 △대학원장 김성식△이과대학장 김인묵 한국외대 △사회과학대학장 김흥규△사범〃 양민정△세계민속박물관장 서행정△학생생활상담연구소장(용인) 김현주△외국어연수평가원 외국어연수부장 박민영△사회과학대 부학장 김면회△상경대 〃 박진우△인문대 〃 윤성우 광운대 △교수학습센터장 심상렬△대학신문사 주간 정진경△영자신문사 〃 정동훈△학생복지처 학생상담실장 권경인 상지대 △한의과대학장 김병우△산학협력단장 김명동△창업보육센터장 박노국△국제한방연구〃 이선구△한방의료기기산업진흥〃 이상석△방재연구소장 이현직△고랭지채소〃 호교순△협동사회경제연구원장 임상오 한밭대 △교무처장 이동형△학생〃 길성호△기획홍보〃 김명수△도서관장 허황회△전산정보원장 김정호△공동실험실습관장 류봉조△창업보육센터장 박성환 국민일보 ◇전보 △편집국 체육부 선임기자 남병곤 불교방송 △상임고문 한진수 평화방송 △기획관리국 부국장 沈相洛 한국교직원공제회 △서울지역본부장 洪正來△㈜서드에이지 대표이사 張圭馥 자산관리공사 △홍보실장 김문수△신용지원부장 홍인종△전북지사장 김유식 한국투자증권 ◇신임 △야탑지점 개설준비위원장 鄭德權△신목동지점 〃 鄭盛旭 대한법률구조공단 ◇승진 △총무부 운영총괄팀 근무 金璟中△총무부장 金玉千△기획〃 權義坤△대전지부 고객지원팀장 姜仁鎬△청주지부 〃 金相麒△전주지부 〃 姜炳權◇변호사 전보△서울중앙지부 鄭文植△미래기획단 부단장 李東烈△고양출장소장 崔奉鎔 ◇일반직 전보△본부 감사실장 李聖元△수원지부 고객지원부장 金賢淑△본부 운영총괄팀장 田好榮△〃 재정기획〃 金龍植△서울중앙지부 구조부 구조1〃 張國辰△인천지부 고객지원〃 朴春基△부산지부 〃 孫久翼△광주지부 〃 吳殷燮△본부 총무부 운영총괄팀 卓勇珍△〃 〃 재무회계팀 韓在玉△서울남부지부 李俊姬△대구지부 李相勳 ◇미래기획단 전보 및 파견△단장 金容震△부단장 李東烈△전문연구원 禹世鍾 催光善 林金成
  • “실천하는 나눔의 삶 살래요”

    1990년대 학생 운동권을 이끌었던‘투쟁가’가 노인복지사업가로 변신해 고향 마을에 둥지를 틀었다. 주인공은 제5기 한총련(한국대학생총학생회연합) 의장 출신인 강위원(38·전남대 국문과 졸)씨.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구속돼 4년간의 옥중 생활을 마치고 지난 2001년 출소한 강씨는 최근 고향인 전남 영광군 묘량면 영양리에 노인복지시설 ‘여민동락’을 세웠다. 그는 8월2일 문을 여는 이 복지시설의 원장을 맡는다. 출소후 대구의 한 노인복지시설에서 일했다. 사회복지사인 아내와 옛 운동권 ‘동지’들도 십시일반으로 보탬을 줬다. 강씨는 “학생운동 시절 꿈꿨던 민족통일 문제 등에 대한 관심을 잠시 접고, 현실적으로 타인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일 쪽으로 방향을 바꿨다.”고 말했다. 그가 구상 중인 ‘여민동락’의 운영방식은 색다르다. 가장 큰 원칙은 관(官)의 지원을 받지 않는다는 것이다. 지방 정치인들이 노인들을 뙤약볕에 모아놓고 연설을 하는 식의 ‘위문 행사’를 없애기로 했다. 아담하게 세워진 2동의 건물도 쓰임새가 각각 다르다.1개 동은 주민들이 모임을 갖거나 손님에게 차를 대접할 수 있는 ‘주인없는 시골찻집’으로 운영한다. 나머지 1동은 노인들이 간단한 치료를 받고 취미활동을 즐기는 ‘주간보호센터’로 꾸몄다. 통화요금 안드는 ‘사랑의 도깨비 전화’ ‘10원짜리 커피 자판기’도 마련됐다. 또 인근 휴경지 등 600여평의 전답을 경작해, 노인들이 먹는 곡식과 야채 등은 손수 마련할 계획이다. 그는 1989년 고교생 신분으로 ‘고등학생 대표자협의회’ 의장을 맡으면서 집시법 위반 혐의로 학교에서 제적되고,6개월간 감옥에서 보내야 했다. 그후 서울로 올라와 식당 종업원, 옷가게 점원 등을 전전하다 검정고시로 1994년 전남대 국문과에 입학했다. 1997년 제5기 한총련 의장으로 활동한 지 7개월 만인 같은 해 7월 국가보안법위반 혐의로 체포돼 4년 2개월간 옥중에서 보냈다. 그는 “학생 및 사회운동도 21세기를 맞아 새로운 방향을 설정해야 한다.”며 “실천하는 삶을 살겠다.”고 말했다. 영광 최치봉기자 cbchoi@seoul.co.kr
  • [인사]

    서울신문 ◇부국장급 승진 △편집국 사진부장 이종원◇전보△국제부장 서동철 △국제전문기자 이석우 연세대 △세브란스병원장 이철△치과병원장 백형선△원주기획처장 이해종△원주교무〃 윤방섭△원주총무〃 윤영로△원주학생복지〃 김종두△학술정보〃 박영철△의료기술연구단장 박창일(의무부총장 겸임) 고려대 세종캠퍼스 △기획처장 이병락△교학〃 안인경△사무〃 박대희△입학홍보〃 김형엽 경희대 △한의과대학장 최승훈△한의과대학 부속 한방병원장 류봉하(경희의료원) 배형섭(동서신의학병원)△의생명과학원 설립준비단장 이혜정 인하대 △대외협력처장 김대호△정보통신〃 양경수△정석학술정보관장 김범수△법과대학장 김민배△IT공과대학장 겸 정보통신대학원장 박세근△사회과학대학장 겸 행정대학원장 김영민△평생교육원장 홍영복 현대스위스저축은행 △강남역지점부장 김난식△관리〃 신중하△개발금융1〃 김대암△IB사업〃 김대암△알프스사업〃 황상만 하나은행 △한남동지점장 겸 기업금융전담역(RM) 이무성△중부기업금융본부 〃(〃) 차응호
  • [오디세이 서울] (2) 강남고속버스터미널

    [오디세이 서울] (2) 강남고속버스터미널

    개인이 경험할 수 있는 시공간의 지평은 교통·통신의 발달 수준에 의존하기 마련이다.1970년 서울과 부산을 4시간 30분 거리로 좁혀 놓은 경부고속도로의 개통은 1905년 경부철도의 개통만큼이나 한국인의 시공간 경험에 일대 균열을 가져온 사건이었다. 1968년 경부고속도로가 착공될 즈음 공사 주무기관이 내건 구호는 “조반은 서울에서 점심은 부산에서”였다. 고속도로 개통과 함께 ‘내륙의 고도’였던 충청내륙의 소읍이 서울에서 2시간이면 닿을 수 있는 관광명소로 부상하는가 하면, 투기바람이 몰아온 지가앙등으로 평생 똥지게 지던 촌부가 하루아침에 고급 세단을 굴리는 재력가로 변신하는 일이 비일비재했다. ‘투기열’과 함께 온 국민을 사로잡은 것은 ‘속도열’이었다. 고속도로 시대의 개막으로 ‘꿈의 속도’로 여겨지던 시속 100㎞는 마음만 먹으면 경험할 수 있는 일상의 속도가 됐다. 전설적 록밴드 딥 퍼플을 흠모하던 제3세계의 불우한 청년들은 명품 스포츠카 대신 ‘명견’ 그레이하운드 로고가 새겨진 2층버스에 올라 ‘하이웨이 스타’의 속도감을 만끽하곤 했다. 이 시절 전국의 고속도로는 최고시속 120㎞의 미국산 ‘그레이하운드’와 140㎞의 일본산 ‘푸조’, 독일산 ‘벤츠’가 각축하는 레이싱장이었다. 고속버스 전성시대는 승용차 보급의 확대로 체증이 본격화한 80년대 말까지 지속된다.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이 완공된 것은 ‘고속버스 시대’가 정점에 달했던 1981년 10월이었다. 터미널이 들어선 반포동 19번지는 여름이면 한강이 범람해 무릎까지 물에 잠기는 상습 침수지역이었다. 서울시는 종로·남대문·동대문 등에 분산된 터미널로 인해 도심체증이 심화되자 1974년 통합이전계획을 수립하고 이 지역 지주들을 불러 시유지와의 교환 조건으로 부지를 넘겨받는다. 사업자가 바뀌고 규모가 축소되는 곡절 끝에 공사의 첫 삽을 뜬 것이 1978년 11월. 사업비 280억원이 투입돼 3년 만에 완공된 지하 1층·지상 11층의 터미널은 대형 건물의 ‘육면체 강박’을 탈피한 조형의 파격성으로 주목받았다. 뉴욕 그레이하운드 터미널을 모방했다는 새 터미널은 위로 올라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라스형으로 지상 5층까지 버스가 올라가는 입체 구조물이었다. 여기에 백화점과 도매상가, 대규모 사무실까지 갖춰 하루 수용인구만 25만명에 달했다. 터미널 건립을 계기로 영동(永東·영등포의 동쪽)이라 불린 한강 이남의 도시개발은 더욱 속도를 낸다. 잠수교(75년)와 남산3호터널(78년), 반포대교(82년)에 이어 강북 도심과 영동지구를 연결하는 지하철2·3호선이 잇달아 개통된다. 서울의 도심기능을 ▲강북권 ▲영등포권 ▲영동·잠실권역으로 분할시키려는 박정희·구자춘의 ‘3핵도시’ 구상이 현실화된 것이다. 욕망과 투기로 얼룩진 ‘강남 시대’가 열리고 있었다. 이세영기자 sylee@seoul.co.kr
  • [부고]

    김승진(변호사·전 사법연수원장)문진(전 서울신문 전무)씨 부친상 26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29일 오전 8시30분 (02)3410-6914 박도천(서울신문·스포츠서울 전주시 서부지국장)씨 부친상 28일 전주 뉴타운장례식장, 발인 30일 오전 9시 016-652-0939 유기원(서울 동방웨딩 대표)기철(대전MBC 사장)기성(자영업)씨 모친상 장항진(약사)장기섭(재무피아 대표)씨 빙모상 28일 한양대병원, 발인 30일 오전 9시 (02)2290-9442 고재만(전 법무부 갱생보호회 광주지부장)씨 별세 인석(넥스트우드 대표)인옥(세상은하나 〃)계석(동양파트너스 상무)씨 부친상 박관우(사업)씨 빙부상 28일 전남대병원, 발인 30일 오전 7시 (062)220-6981 김재원(연세인이비인후과 원장)미영 문영(관동의대 제일병원 산부인과 교수)석영(세라세진치과 원장)씨 부친상 이창오(캐나다 거주·사업)이효근(연세신경통증크리닉 원장)박상현(엠포스 대표)씨 빙부상 28일 신촌세브란스병원, 발인 30일 오전 6시30분 (02)2227-7597 황영하(조인스닷컴 차장)지원(제현고 교사)씨 부친상 이동철(국민은행 지주회사설립사무국장)정인종(기산텔레콤 부장)이강현(현대백화점 과장)씨 빙부상 28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30일 오전 6시30분 (02)3410-6915 김준수(대동정밀랙 과장)소영(코스트코 홀세일)씨 모친상 28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30일 오전 9시 (02)3010-2252 박용우(전 태양금속 부회장)씨 별세 동호(캐나다 거주)광호(미국 〃)씨 부친상 27일 신촌세브란스병원, 발인 30일 오전 8시 (20)2227-7569 주성환(자영업)다혜(서울아산병원 산부인과 임상강사)씨 부친상 28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30일 오전 11시 (02)3010-2294 조규대(바이온텍 사장)씨 빙모상 27일 수원 아주대병원, 발인 29일 오전 6시 (031)219-4112 박용주(메리츠화재 에이전시 영업부장)정태(외환은행 여신정리부 차장)씨 부친상 손정용(금정엔지니어링 이사)성기목(현대증권 무거동지점장)씨 빙부상 27일 거제백병원, 발인 29일 오전 9시 (055)636-3112 박선희(우리은행 카드영업지원부 팀장)씨 부친상 이래우(새고양새마을금고 상무)김용호(김용호치과의원 원장)씨 빙부상 27일 신촌세브란스병원, 발인 29일 오후 3시 (02)2227-7556 김종무(전 남해화학 사장)씨 부친상 이재근(전 누가병원 원장)최창일(전 호텔 그린빌라 부사장)최광진(자영업)씨 빙부상 27일 분당 서울대병원, 발인 29일 오전 6시30분 (031)787-1502 노광준(경기방송 편성제작국PD)씨 빙모상 28일 전남 해남군 현대장례식장, 발인 30일 오전 9시 (061)537-2222 이종인(동양종합금융증권 전무)종식(중앙병원 의사)씨 동생상 이준(곤지암병원 원장)씨 매형상 임형국(동양종합금융증권 상무)씨 매제상 28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30일 오전 5시30분 (02)3010-2237 김성은(외교통상부 통상투자진흥과장)씨 부친상 28일 제주중앙병원, 발인 30일 오전 6시 (064)725-7445 이항우(정도건설 부사장)씨 별세 성현(롯데그룹 정책본부 지원실 과장)씨 부친상 한경희(수원여대 교수)씨 시부상 28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30일 오전 5시 (02)3010-2291
  • [부고]

    김종원(전국버스운송사업조합연합회 회장)씨 부친상 26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9일 오전 8시 (02)3010-2230장성민(전 국회의원)씨 모친상 27일 이대목동병원, 발인 29일 오전 5시 (02)2650-2743고영곤(농협대학 학장)영종(전주 지평선교회 목사)영조(자치분권전국연대 공동대표)씨 부친상 김정수(전북대 의대 교수)씨 시부상 26일 강남성모병원, 발인 29일 오전 7시 (02)590-2697이계윤(전 충북대 교육대학원장)씨 별세 유근종(전 목원대 총장)씨 상배 신걸(삼성증권 차장)은걸(호서대 강사)씨 모친상 박수잔(대한항공 대리)유정원(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원)씨 시모상 25일 강남성모병원, 발인 29일 오전 9시20분 (02)590-2660박종훈(가윤건설 대표)동훈(정진공연 부장)씨 부친상 27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9일 오전 6시 (02)3010-2261서의석(서현통상 대표)씨 부친상 송재관(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교수)신승연(신승연치과 원장)씨 빙부상 손영희(영동세브란스병원 간호사)씨 시부상 27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9일 오전 6시 (02)3010-2231송태정(국민건강보험공단 송파지사 과장)씨 부친상 27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9일 오전 6시30분 (02)3010-2265송길용(기업은행 지점장)방용(하나은행)철용(사업)씨 모친상 김동수(울산시청)윤영욱(MBC 논설위원)강점현(세일고 교사)씨 빙모상 26일 분당 서울대병원, 발인 28일 오전 6시 (031)787-1503최영섭(예비역 해군 대령)씨 부친상 재신(고려개발 사장)재형(서울고법 부장판사)재민(최재민소아과 원장)재완(광주대 교수)씨 조부상 26일 신촌세브란스병원, 발인 28일 오전 10시 (02)2227-7580박창순(전 전주시 완산구청 부구청장)형순(전 현대엔지니어링 전무이사)씨 모친상 이재근(전 35사단 동원처 감사관)이일재(전 농업식량기구 운영기획부장)씨 빙모상 26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8일 오전 6시 (02)3010-2294김상운(MBC 지구촌리포트 팀장 겸 앵커)상찬(사업)상봉(회사원)상건(교사)은경(〃)씨 부친상 26일 충남 당진장례식장, 발인 28일 오전 9시30분 (041)355-7984전명선(에메스코리아 대표)문선(신한은행 부지점장)학선(한국외대 교수)씨 부친상 민현혜(희정빌딩 대표)강혜경(약사)한지혜(경남대 교수)씨 시부상 26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8일 오전 7시30분 (02)3010-2295오재일(전남대 법대 교수)재구(세우회 이사장)씨 모친상 25일 광주 그린장례식장, 발인 28일 오전 9시 (062)250-4455김찬우(서울미디어 팀장)태균(법무법인 태평양 공인회계사)씨 부친상 김효식(SC제일은행 구의동지점장)씨 빙부상 26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8일 오전 9시 (02)3010-2291공효(부천제일의원 원장)휘(서울속편한내과 원장)씨 모친상 이선경(디아코니아 대표)씨 시모상 강용구(제너시스템즈 대표)씨 빙모상 26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28일 오전 9시30분 (02)3410-6903이동수(미주씨앤아이 상무)씨 모친상 26일 충남 당진군 중앙장례식장, 발인 28일 오전 (041)358-3003조한용(한국석면환경협회 대전·충청본부장)씨 모친상 25일 대전 보훈병원, 발인 28일 오전 9시 (042)939-0114정채진(전 부산시장·산림청장)씨 별세 지택(베인앤컴퍼니 부사장)씨 부친상 이호철(주일 한국대사관 재경관)홍연찬(인천시립대 전자공학과 교수)씨 빙부상 27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30일 오전 9시 (02)3410-6917정선영(전 문경 가은초 교장)희영(전 동양아크릴 사장)씨 부친상 희목(중부대 시설관재과 구매담당)씨 조부상 27일 청량리 위생병원, 발인 29일 오전 6시 (02)2210-3423오동균(더데일리이브닝 광고마케팅국장)씨 별세 26일 고양 명지병원, 발인 29일 오전 7시 (031)810-5472박희우(전 한국담배인삼공사 청주제조창 제조국장)씨 별세 덕용(WatchGuard)씨 부친상 홍승우(전 YTN 사회부 기자·갤럽조사 연구원)김도식(KSF선박금융 부장)씨 빙부상 27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9일 오후 2시30분 (02)3010-2263김동선(전 전국문화원연합 초대회장)씨 별세 종무(전 남해화학 대표이사)씨 부친상 이재근(전 누가병원 원장)최창일(전 호텔그린빌라 부사장)씨 빙부상 27일 분당 서울대학병원, 발인 29일 오전 6시30분 (031)787-1502
  • 중부 폭우로 5명 사망·13명 실종

    장마전선의 영향으로 25일 경북 북부지방에 최고 200여㎜의 폭우가 쏟아지면서 8명이 숨지거나 실종되는 등 피해가 속출했다. 전국적으로는 5명이 사망하고 13명이 실종됐다. 경북도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봉화지역 강우량이 221.5㎜를 기록하는 등 경북에 평균 76㎜의 많은 비가 내린 가운데 낮 12시10분쯤 봉화군 춘양면 의양1리를 지나는 영동선 철길 둑이 무너지면서 둑 아래 집을 덮쳐 우순낭(77), 권영희(54)씨 모녀가 숨졌다. 폭우로 지반이 약해진 철길 둑이 50m 정도 무너지면서 영동선(영주∼강릉) 영주역∼통리역 구간(95㎞)이 전면통제돼 열차가 태백선으로 우회하고 있다. 또 오후 3시30분쯤에는 춘양면 애당리 속칭 참새골 계곡에서 황모(40·서울)씨 등 4명이 실종돼 경찰이 수색을 벌이고 있다. 앞서 오후 3시11분쯤 춘양면 서벽리 야산에서 산사태가 발생, 이모(64)씨의 집을 덮쳐 이씨와 딸(20)이 실종됐다. 기상청은 26일 오전까지 강원 영동지역에 최고 120㎜의 집중호우가 더 내린 후 장맛비는 주춤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기상청은 이날 강원도 삼척에 호우경보를, 강원·충북·경북 지역에는 호우주의보를 내렸다.26일까지 예상 강수량은 강원 영동 50∼120㎜, 경북 30∼70㎜, 충청·경남 20∼50㎜, 서울·경기·강원 영서·서해5도서 10∼40㎜, 전남북·제주도 5∼30㎜ 등이다. 대전 박승기·서울 김정은기자 kimje@seoul.co.kr
  • [부고]

    조남흥(대우조선건설 이사)남준(회사원)씨 부친상 강진우(중앙대부고 교사)송재혁(삼성테스코 과장)씨 빙부상 22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4일 오전 9시 (02)3010-2292 박형채(성원파이프 전무)씨 빙부상 23일 일산병원, 발인 25일 오전 8시30분 (031)932-9163 장헌오(토펙엔지니어링 감리단장)씨 모친상 김경건(메리츠증권 법인영업사업본부장)씨 빙모상 23일 국립의료원, 발인 25일 오전 9시 (02)2262-4813 문영현(연세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영활(한전 서울전력관리처 과장)영철(동양시스템즈 팀장)씨 부친상 이상도(서울메트로 과장)이동원(이가상사 사장)씨 빙부상 23일 신촌세브란스병원, 발인 25일 오전 5시30분 (02)2227-7556 이자원(국민대 교수)경원(연세대 〃)씨 부친상 김은한(재미 의사)최영훈(재미 연구원)씨 빙부상 22일 신촌세브란스병원, 발인 26일 오전 7시 (02)2227-7580 강상수(프로야구 LG트윈스 과장)지혜(기업은행 부산학장동지점 대리)씨 부친상 정정대(부산지방법원 민사과 서기)씨 빙부상 23일 부산 서호병원, 발인 25일 오전 7시 (051)610-9671 최보성(공진기표회 전문위원)보명(나나약국 대표)보건(대학약국 〃)씨 모친상 23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5일 오전 8시 (02)3010-2293 이용호(치과의원 원장)철호(사업)동호(감리교 교회 목사)씨 부친상 23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5일 오전 8시 (02)3010-2237 송영섭(한화증권 홍보팀 차장)씨 별세 22일 한양대병원, 발인 24일 오전 8시 (02)2290-9442 이계우(한국경제TV 방송1팀 PD)윤희(LG 생활건강 과장)계전(57사단 육군대위)씨 부친상 23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25일 오전 9시 (02)3410-6905 김병란(한라건설 전무)병선(햇살농장 대표)영미(이화여대 사학과 교수)씨 부친상 고재진(SC제일은행 한국외대지점장)김병진(목사)씨 빙부상 23일 이대목동병원, 발인 25일 오전 8시 (02)2650-2743
  • 나라 망친 지도자의 참모들

    나라 망친 지도자의 참모들

    ‘측근의 수준이 곧 지도자 수준’이란 말이 있다. 주변에 어떤 사람을 두고 무슨 이야기와 조언을 듣느냐에 따라 지도자의 능력이 크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미 외교전문지 포린폴리시 인터넷판은 22일 잘못된 조언으로 국정을 혼란에 빠트린 최악의 참모 5명을 소개했다. 지도자의 철저한 신임 아래 권력을 쥐었으나 무능력과 독선, 의욕과잉으로 지도자를 잘못된 판단으로 이끌어 나라를 망친 이들이다. 짐바브웨의 조지프 메이드 전 농촌개발부 장관은 2004년 국제구호단체가 식량원조를 제안했을 때 곡물 수확량을 잘못 계산해 수많은 국민을 아사 위기에 빠트렸다. 당시 로버트 무가베 대통령은 곡물 수확량이 240만t으로 충분하다는 메이드의 말만 믿고 식량원조를 거절했으나 실제 수확량은 70만t에 불과했고, 이로 인해 인구의 12%인 150만명이 기근에 시달렸다. 프랑스 전 노동부장관 마르틴 오브리는 2000년 ‘오브리법’으로 불리는 주 35시간 노동시간 단축법을 시행했다. 그는 70만명의 추가 고용효과를 장담했으나 노동강도 증가와 실업률 상승 등의 부작용으로 지금까지 프랑스 경제에 깊은 주름을 안기고 있다. 조지 부시 행정부의 대표적 네오콘인 더글러스 페이스 전 국방차관도 실패한 조언자로 꼽힌다. 그는 도널드 럼즈펠드 전 국방장관, 폴 울포위츠 전 국방 부장관 등과 더불어 이라크전쟁을 기획했다.2003년 전후 이라크 상황을 안이하게 생각해 미국과 중동지역을 긴 전쟁의 수렁으로 끌어들였다. 내전과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의 발호에 대해서도 수수방관했다는 지적이다. 무능력한 면에선 타이완 전 부총리 추이런(邱義仁)도 만만치 않다. 타이완 정부는 2006년 파푸아뉴기니와의 수교를 위해 2명의 외국인에게 3000만달러를 건넸다가 사기를 당했다. 추이런 전 부총리가 파푸아뉴기니 정부에 영향력이 있는 인물이라며 외무부에 추천한 이들이 사기꾼이었다. 만토 차발랄라 음시망 남아프리카 공화국 보건부장관은 국제행사에서 상식을 뛰어넘는 황당한 발언과 발상으로 나라 망신을 톡톡히 시켰다.2006년 토론토 국제에이즈회의에서 에이즈 바이러스를 레몬과 마늘로 치료해야 한다고 주장해 비웃음을 샀다.2001년 24%였던 임신 여성의 에이즈 바이러스 감염율이 2006년 29%로 증가한 배경에는 이런 보건부장관의 엉뚱한 소신(?)도 한몫한 것으로 보인다. 이순녀기자 coral@seoul.co.kr
  • [부고] 애국지사 조영진 선생 별세

    [부고] 애국지사 조영진 선생 별세

    중국과 일본에서 항일운동을 했던 애국지사 조영진 선생이 21일 오후 7시 별세했다.91세. 선생은 1917년 함경남도 영흥에서 태어나 1935년 원산상업학교 3학년 때 ‘독서회’를 조직, 한글역사서적 및 위인전 등을 탐독하고 비밀리에 토론회를 열다가 일본인 교사에게 적발돼 퇴학당했다. 1936년 2월 중국에서 한인회 교사로 재직하면서 지하 항일조직을 결성했으며 1938년 4월 일본대학 부속 제2상업학교에 편입해 동지를 규합하고 지하 항일학생단체인 ‘동경영흥유학생회’의 회장을 맡기도 했다. 1941년 4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도쿄 물리학교의 본과 수학부에 진학해 유학생 및 교포들과 접촉하며 배일사상 고취 활동을 벌이던 중 일경에 체포됐다. 도쿄 지방법원에서 징역 2년, 집행유예 3년형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 정부는 선생의 공훈을 기려 1986년 대통령표창을,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각각 수여했다. 유족으로는 미망인 김보경(82) 여사와 아들 경삼(경희대 의대 내과교수), 경식(울산의대 영상학과 교수), 딸 경설 등 2남 1녀가 있다. 발인 24일 오전 7시30분, 장지 국립대전묘지 애국지사 제3묘역, 빈소 서울 아산병원 장례식장 30호 (02)3010-2230.
  • [Zoom in 서울] 거여·마천지구에 9472가구 공급

    서울 남동지역의 대표적 저소득층 밀집지역인 송파구 거여동 202 일대가 2016년까지 9472가구가 입주하는 친환경 뉴타운으로 변신한다. 1인 세입자의 거주비율이 높은 지역 특성을 반영해 한 채의 아파트 안에 전용 현관과 부엌·화장실을 갖춘 독립 생활공간을 마련, 세입자에게 임대할 수 있게 하는 ‘부분임대 아파트’ 458가구가 공급된다. ●서울시 재정비 촉진계획안 발표 22일 서울시가 발표한 거여·마천 재정비 촉진계획안에 따르면 부분임대 아파트는 전용면적 85㎡ 이상의 조합원 분양주택에 조성되며, 국민임대주택에 입주할 수 없는 1∼2인가구 세입자들이 집주인에게 임대료를 내고 입주하게 된다. 서울지역 뉴타운 가운데 부분임대 아파트가 조성되는 것은 북아현 뉴타운에 이어 두 번째다. 서울시 균형발전본부 관계자는 “1인 세입자의 재정착을 유도하고 전·월세를 주수입원으로 하는 노령 가구의 소득원을 확보해 줌으로써 재정착률을 30%대까지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부분임대 아파트 입주자에겐 기존의 임대주택 입주자들에게 적용되던 임대료 상한이나 임대보증금 보전 등의 보호장치가 적용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서울시가 재정착률 수치를 높이기 위해 임대주택법의 적용을 받는 임대주택 대신 ‘부분임대’라는 편법을 동원한 게 아니냐는 비판도 일부에선 제기된다. ●천마산∼성내천∼청량산 잇는 ‘녹지-수경축’ 거여·마천 뉴타운에 적용되는 용적률은 230∼250%로 테라스하우스와 연립주택, 아파트 등 4∼35층 규모의 다양한 주택이 들어선다. 임대주택은 1720가구다. 주변에 천마산과 청량산이 위치해 녹지가 많고 대기가 깨끗한 것이 장점이다. 또 송파신도시와 마천임대주택단지가 건설될 예정이어서 주변과 연계된 대규모 신도시 조성효과도 기대된다. 지구내 1.7㎞에 달하는 성내천 복개도로를 자연형 하천으로 복원하며 2곳뿐인 공원도 14곳으로 확대해 ‘그린 시티’의 면모를 갖춘다는 복안이다. 성내천 복원에 따른 대체 우회도로와 남북 연결도로도 신설돼 송파신도시·마천임대단지와의 연결도 원활해진다. 또 천마산∼성내천∼청량산을 잇는 ‘그린-블루 네트워크(녹지-수경축)’를 구축해 마천역·마천시장 등 생활권 가로와 역세권 등과의 연계도 강화할 방침이다. ●서울시, 달동네 역사관 설립 지원 거여·마천지구가 들어설 거여동 202 일대는 1970년대 도심 철거민이 집단 이주하면서 형성된 빈민촌으로 일부에선 공동화장실을 사용하고 있을 정도로 기반시설이 열악하다. 시는 뉴타운 개발로 사라져가는 도시민의 생활사를 기록·보존하기 위해 민속 조사사업을 지원, 지구 안에 조성될 역사관에 거여·마천지역과 성내천 주변의 과거와 현재, 미래의 모습을 담아낼 계획이다. 이세영기자 sylee@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