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대학
    2025-08-29
    검색기록 지우기
  • 평양
    2025-08-29
    검색기록 지우기
  • 편의점
    2025-08-29
    검색기록 지우기
  • 강진
    2025-08-29
    검색기록 지우기
  • 경매
    2025-08-29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184,441
  • 세종대학교, 양자정보학 등 첨단학과 416명 선발

    세종대학교, 양자정보학 등 첨단학과 416명 선발

    2026년도 수시모집에서 전체 모집 인원의 60.2%인 1791명을 선발한다. 지난해보다 174명 늘었다. 학생부교과전형으로 445명, 학생부종합전형으로 870명, 논술우수자 전형으로 344명, 실기·실적전형으로 132명을 뽑는다. 신설된 양자지능정보학과를 포함해 스마트생명산업융합학과, AI로봇학과, 인공지능데이터사이언스학과, 우주항공시스템공학부 지능형드론융합전공, 지능정보융합학과, 콘텐츠소프트웨어학과 등 7개 첨단학과에서 416명을 뽑는다. 양자 정보 기술의 전문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는 양자지능정보학과는 지역균형전형으로 8명, 학생부종합전형으로 17명, 논술우수자 전형으로 6명 등 총 31명을 뽑는다. AI로봇학과는 총 117명, 인공지능데이터사이언스학과는 총 84명을 선발한다. 첨단학과를 선발하는 지역균형전형과 논술우수자전형의 경우 수능 최저학력 기준이 적용된다. 자유전공학부는 학생부교과전형인 지역균형전형으로 153명을 선발하고 논술우수자전형으로 40명을 선발한다. 지역균형전형으로 선발 시에는 교과 성적만을 반영한다. 논술우수자전형으로 선발 시에는 인문 계열, 자연 계열 논술과 달리 통합교과형 논술을 실시한다. 두 전형 모두 수능 최저학력 기준은 국어, 수학, 영어, 탐구(사회·과학 중 1과목) 중 2개 영역 등급의 합이 5 이내여야 한다. 해병대와의 협약을 통해 설치·운영되는 계약학과 선발 전형인 국방AI로봇융합공학전형은 이번 수시모집에서 신설되었다. 학생부종합전형으로 24명을 선발한다. 1단계 서류평가로 3배수를 선발한 뒤 2단계에서는 1단계 성적과 면접 평가, 체력검정 및 해병대 주관 전형으로 최종 합격자를 뽑는다. 원서 접수 기간은 9월 9일 오전 10시부터 9월 12일 오후 5시까지다. 자세한 사항은 입학처 홈페이지(ipsi.sejong.ac.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아주대학교, 의학과 교과전형 신설·첨단학과 증원

    아주대학교, 의학과 교과전형 신설·첨단학과 증원

    아주대가 2026학년도 수시모집에서 전체 선발인원의 66.4%인 1469명을 선발한다. ▲학생부교과(361명) ▲학생부종합(1039명) ▲논술(173명) ▲실기·실적(10명)으로 선발한다. 원서 접수는 9월 8일부터 9월 12일까지다. 아주대는 올해 교육부의 첨단산업 인재 양성 정책에 따라 총 51명의 첨단분야 학과(첨단바이오융합대학 30명, 지능형반도체공학과 21명) 정원 순증을 승인받았다. 수도권 대학 중 세 번째로 많은 규모다. 달라진 입시 전형의 주요 내용은 ▲학생부 교과 계산방식 변경 ▲학교폭력조치사항 전체 전형 반영 ▲학생부종합 모집 기간 자율화 전형으로 구분 ▲학생부교과에서 의학과 3명 선발 ▲국방IT우수인재1전형에서 전형 구분 변경 등이다. 학생부교과(고교추천전형)는 학생부 교과를 100% 반영한다. 수능최저학력기준은 국어, 수학(선택과목 제한 없음), 영어, 탐구(사탐, 과탐 중 1과목) 중 2개 영역 등급합 5 이내이며, 올해 학생부교과전형에서 선발하기 시작하는 의학과는 국어, 수학(선택과목 제한 없음), 영어, 탐구(과탐, 사탐 중 2개 과목 평균) 중 등급 합 6 이내이다. 학생부종합전형은 ▲ACE전형(532명) ▲첨단융합인재전형(208명) ▲고른기회1전형(95명) ▲고른기회2전형(57명) ▲특수교육대상자전형(10명) ▲국방IT우수인재1전형(23명)으로 학생을 모집한다. 단계별 전형으로 1단계에서 100% 서류평가로 3배수를 선발하고, 2단계는 1단계 성적 70%에 면접 30%를 반영해 최종 합격자를 선발한다. 의학과와 약학과를 제외한 모든 학과는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지 않는다. 학생부종합은 첨단학과(첨단신소재공학과, 지능형반도체공학과, 미래모빌리티공학과, 첨단바이오융합대학), 응용화학과, 소프트웨어학과, 금융공학과 학생 208명을 선발한다.
  • 광주여자대학교, 항공·보건의료·미용 등 특성화 학과 모집

    광주여자대학교, 항공·보건의료·미용 등 특성화 학과 모집

    광주여대는 미래형 여성 인재를 양성하는 여성교육의 산실로서 항공·미용·사범·보건의료 분야 등 실용학문 중심의 특성화 학과로 구성됐다. 2026학년도 수시모집에서 학생부교과전형으로 842명을 선발한다. 원서접수는 9월 8일부터 12일까지다. 수시모집 전형은 ▲일반학생전형Ⅰ 165명 ▲일반학생전형Ⅱ 498명 ▲지역인재전형 63명 ▲성인학습자전형 70명 ▲농어촌학생전형 14명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 32명으로 구성된다. 일반학생전형Ⅰ은 면접을 하며, 나머지 전형은 학생부 100% 성적을 반영한다. 지원자는 최대 3개 전형에 복수 지원할 수 있다. 학생부 성적은 1학년 1학기부터 3학년 1학기까지 교과 성적과 출결이 기준이다. 면접은 10월 15일 한다. 국가장학금 소득분위 8구간 이하 학생에게 첫 학기 등록금을 전액 감면하고, 9분위 이상이거나 국가장학금을 신청하지 않은 합격자에게 장학금 100만원을 지급한다. 정원외 합격자는 추가로 100만원을 준다. 수시 합격자에게는 학업장려 장학금 30만원을 지급한다. 학생 생활과 학습 환경도 강화됐다. 1100여명 수용 기숙사와 광주 지역 운행 무료 스쿨버스가 있다. 신설 학과는 자유전공학부·화장품학과·스포츠재활학과가 있다. 자유전공학부는 다양한 전공을 탐색하고, 적성과 흥미에 따라 전공을 선택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화장품학과는 K뷰티 산업 전 과정을 실무 중심으로 교육하며, 스포츠재활학과는 올림픽 메달리스트 출신 교수진과 함께 운동 손상 예방·회복 등 실습 중심 교육을 한다. 항공서비스학과는 국내외 항공사 객실승무원 누적 합격자 478명을 배출하며 전국 최다 실적을 기록했다. 미용과학과는 4년제 대학 최초 개설로 미용 석·박사 최다 배출과 K뷰티 교육 중심 역할을 한다.
  • 국립한국해양대학교, 자율전공학부 신설·나노반도체공학 증원

    국립한국해양대학교, 자율전공학부 신설·나노반도체공학 증원

    올해로 개교 80주년을 맞이한 국립한국해양대는 대한민국의 해양강국 실현에 특화된 국립대이다. 해양의 과거와 현재를 넘어 미래를 만드는 대학으로 도약하고자 2026학년도부터 자율전공학부(해기자율전공학부, 인문사회자율전공학부)를 신설하고, 첨단학과인 나노반도체공학전공의 모집인원을 15명 증원한다. 내년도 수시모집에서는 전체 정원의 82%에 해당하는 1224명을 선발한다. 전형별 모집 인원은 ▲학생부교과 1062명 ▲학생부종합 159명 ▲실기·실적 3명이다. 계열과 관계없이 교차지원이 가능하며, 대부분 전형에서 복수 지원도 허용된다. 단, 교과 성적 반영 과목은 지원 계열별로 차이가 있어 입학 홈페이지에 마련된 성적 산출 프로그램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수능최저학력기준은 단과대학별 기준에 따라 상위 2개 영역의 합산 또는 1개 영역 성적을 활용한다(정원외 학생부교과·특성화고 등을 졸업한 재직자 전형 제외). 학생부종합전형과 지역인재전형에서는 활동의 ‘양’보다는 ‘이유·과정·성과’를 중점적으로 평가한다. 대학 측은 단순히 성적에 맞춰 지원하기보다 자신이 희망하는 분야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싶은지, 또 자신의 진로와 대학의 교육 철학이 얼마나 부합하는지를 꼼꼼히 살펴보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재학생 지원도 눈에 띈다. 학생 1인당 연간 등록금의 76%에 해당하는 장학금이 제공되며, 다양한 해외 교류 프로그램을 통해 국제적 감각을 키울 수 있다. 교육부 기준 취업률은 73.4%로 졸업자 1000명 이상 대학 가운데 국·공립대 1위를 기록했다. 학생들의 경제적 부담을 낮추는 동시에 실질적인 취업 경쟁력을 갖추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여서 눈길을 끈다.
  • 상지대학교, 실습·산학협력 기반 실무형 인재 양성

    상지대학교, 실습·산학협력 기반 실무형 인재 양성

    상지대는 2026학년도 수시모집을 통해 1511명을 선발한다. 전체 모집인원 1595명 가운데 94.7%를 차지한다. 교과일반전형은 학생부 교과성적 100%로 선발한다. 반영 교과는 국어·영어·수학·사회·과학 중 학기별 상위 2과목이어서 특정 과목에 두각을 드러낸 수험생에게 유리하다. 학생부종합전형은 서류 70%·교과 30%이고, 면접 없이 생활기록부 중심의 정성평가가 이뤄진다. 평가 항목은 ▲진로역량(30%) ▲학업역량(25%) ▲공동체역량(15%)이고, 전공 관련 교과이수, 탐구활동, 성실성, 의사소통능력 등 전반적인 학업 태도와 성장 가능성을 본다. 지역인재전형은 강원지역 고교 출신을 대상으로 하고, 선발 방법은 교과일반·학생부종합전형과 동일하다. 상지대는 ‘실습 중심 교육’과 ‘지역사회 연계’에 기반한 실용교육 특화 대학으로, 학과별 실험·실습 장비 구축 및 산학협력 체계를 강화해 현장 적응력이 뛰어난 실무형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특히 한의예과와 간호학과 등 보건의료 계열은 자체 부속 한방병원과 지역 협력 병원 네트워크를 통해 안정적인 임상실습 환경을 확보하고 있다. 또 상지대는 지역 맞춤형 진로진학 프로그램, 공공기관 연계 취업 프로그램, 지자체 연계 프로젝트 수업 등을 활발히 운영하는 등 교육과 지역이 함께 성장하는 ‘지속가능한 대학’의 모형을 실현하고 있다. 수시 최초합격자에게 100만원, 충원합격자에게 50만원을 지급하는 상지스타금 장학금을 비롯해 적립식인 S-머니 장학금, 교육역량장학, 상지119장학, 취업장려장학 등 신입생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장학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한국장학재단 지역인재 국가장학금 대상자로 선발되면 최대 4년간 등록금 전액 면제 혜택도 받을 수 있다.
  • 경남대학교, 간호·물리치료학과 수능최저 완화

    경남대학교, 간호·물리치료학과 수능최저 완화

    1946년 개교해 ‘창의융합 지역인재’를 양성하는 명문대학으로 성장한 경남대는 올해 수시에서 7학부, 44개 학과 1934명을 모집한다. 전체 모집인원의 98.7%로, 전형별로 일반전형 888명, 지역인재전형 518명, 일반면접전형 129명 등이다. 올해 일반전형과 지역인재전형의 간호학과와 물리치료학과 수능최저학력기준이 변경됐다. 기존 국영수, 탐구(1과목) 중 2개 영역 등급 합이 간호학과는 8 이내, 물리치료학과는 9 이내였으나 2026학년도부터는 간호학과 9 이내, 물리치료학과 10 이내로 조정됐다. 학교폭력 기재사항도 필수적으로 반영한다. 군사학과는 군 가산복무 지원금 지급 여부에 따라 20명과 10명을 구분해 선발한다. 지원금을 받으려는 수시모집 군사학과전형 또는 정시모집 가군 군사학과전형으로 지원해야 한다. 자유전공학부 입학자는 희망하는 학생에 한해 타 학과(부)·전공을 선택할 수 있다. 다만 사범대학 모든 학과와 간호학·물리치료학·작업치료학과, 스포츠과학부 스포츠지도학전공, 군사학과, 미래라이프대학 모든 학과, 모집중지 중인 학과는 선택할 수 없다. 경남대는 학생의 글로벌 역량을 향상하고자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미국, 독일, 카자흐스탄, 몽골, 중국, 대만, 일본 등을 대상으로 한 교환 학생 프로그램과 필리핀 인턴 연수 등이 대표적이다. 지역 수요 기반 디지털 융합인재를 양성하고자 ‘도메인 기반 디지털 융합 교육과정’을 전면에 내세우고 있기도 하다. 학과 중심의 단일형 교육과정을 폐지하고 학생이 자유롭게 전공을 선택하도록 ‘열린 전공 선택’을 추진한다. 학생 맞춤형 교육·취업을 돕는 ‘일머리교육’도 있다. 입학 학과와는 무관하게 주전공으로 이수할 수 있는 융합전공과 13개 연계전공을 운영, 희망 진로에 맞는 복수전공·부전공을 선택할 수 있게 했다.
  • 경상국립대학교, 의대 면접 5배수 확대… 연구비 전국 9위

    경상국립대학교, 의대 면접 5배수 확대… 연구비 전국 9위

    경상국립대는 경남을 대표하는 국가거점국립대학이다. 캠퍼스는 진주시 가좌동 본캠퍼스, 칠암동 산학캠퍼스, 내동면캠퍼스, 통영시 수·해양캠퍼스, 창원시 산학혁신캠퍼스 등 5개가 있다. 경상국립대는 2026학년도 수시모집 인원은 3755명으로 전체 모집정원 4621명의 81.3%이다. 전형별로는 학생부교과전형 2147명, 학생부종합전형 1554명, 실기·실적전형 54명이다. 학생부교과전형의 학생부 내신 성적 반영 교과목은 국영수와 사회·과학 등 전 과목이다. 학생부종합 일반전형 면접고사에서 의과대학의 면접고사 선발 인원은 올해 5배수로 늘렸다. 간호대학의 지역인재전형과 사회과학대학 일부 모집 단위 면접고사는 폐지했다. 의대와 약대를 포함해 6개 단과대학 면접고사는 시행한다. 올해 자율전공학부는 인문·사회와 자연과학을 통합해 모집한다. 모든 전형에서 학교폭력 가해자 평가도 한다. 자세한 내용은 누리집(new.gnu.ac.kr/new)에서 확인하면 된다. 경상국립대는 2023년 11월 교육부의 글로컬대학 30 사업에 선정됐다. 2차 연도 연차 평가에서는 최고 등급을 획득, 우주항공·방산 특화 전략의 성과를 입증했다. 또 라이즈 사업을 통해 경남도로부터 5년간 1094억 5000만원을 지원받아 4대 프로젝트 20개 과제를 수행 중이다. 학생이 낸 등록금의 75.8%는 장학금으로 돌려준다. 2023년 기준 학생 1인당 평균 장학금은 301만 7000원, 연간 장학금 총액은 437억 8018만여원이다. 학생생활관 수용인원은 5265명이다. 올 7월 기준 대학원·학부생 1만 8935여명의 약 27.8%가 생활관을 이용할 수 있다. 지난해 학교 총연구비는 1226억 2800만원으로 전국 국공립대 9위, 비수도권 10위를 기록했다. 국제화 역량을 키우고자 43개국 330개 대학과 교류 협정도 체결했다.
  • 국립창원대학교, 내년 4캠퍼스 체제… 취업자전형 운영

    국립창원대학교, 내년 4캠퍼스 체제… 취업자전형 운영

    국립창원대는 지난 3월 사천우주항공캠퍼스 개교와 6월 경남도립거창대·남해대와 통합 승인 성과를 앞세워 내년 3월 4개 캠퍼스 시대를 연다. 창원·사천캠퍼스는 2026학년도 입학전형에서 전체 선발인원 1916명 중 86.5%인 1658명을 수시모집으로 선발한다. 학생부교과 학업성적우수자전형에서 453명, 글로컬인재전형에서 328명을 뽑는다. 부·울·경 소재 학생들이 대상인 지역인재전형은 349명, 계열적합인재전형 173명, 그 외 11개 전형에서 355명을 선발한다. 학생부교과전형 선발방법은 교과성적 100%이다. 학년·계열에 따라 국영수와 사회·과학 전 과목을 반영한다. 계열적합인재전형은 서류·면접 평가로 구성한다. 지역인재전형은 면접 없이 교과 50%와 비교과 50%의 서류평가로 선발한다. 자율전공학부(무전공)는 2학년 진학 때 모든 학과 100% 자율 선택이 보장되는 사림아너스학부와 해당 단과대학 소속 학과만 선택할 수 있는 인문·사회·경영·공학계열 자율전공이 있다. 글로컬첨단과학기술대학 중 이학융합학부·공학융합학부는 무전공·무학과로 입학해 2학년 전공 배정 때 선택이 가능하다. 직장인·만학도를 위한 평생학습자전형, 만학도전형, 취업자전형, 재직자전형도 있다. 이들 전형은 야간·주말수업으로 운영된다. 거창캠퍼스는 수시모집에서 340명을 뽑는다. 전문인재전형(교과 성적 60%·면접 40%) 321명, 만학도전형 포함 3개 전형에서 19명을 선발한다. 남해캠퍼스는 350명을 선발한다. 전문인재전형(교과성적 60%·면접 40%) 297명, 만학도전형 포함 6개 전형 53명이다. 박상희 국립창원대 입학취업처장은 “국립창원대는 창원시 유일 국립 고등교육기관”이라며 “부울경 국립대 중 최상위 취업률을 기록하고 있다”고 밝혔다.
  • 경기대학교, 학생부교과전형, 과목별 환산점수 반영

    경기대학교, 학생부교과전형, 과목별 환산점수 반영

    올해 개교 77주년을 맞이한 경기대가 2026년 수시 전형으로 전체 모집 인원의 68%인 2121명을 자유전공학부 논술우수자전형으로 선발한다. 수시 원서접수 기간은 9월 8일부터 12일까지이다. 전년 대비 올해 입시의 가장 큰 변경 사항은 학생부교과전형의 교과성적 산출방식이 기존 교과 평균 석차 등급 환산 방식에서 과목별 환산점수 반영으로 변경했다. 출결 상황 반영에서 기존에는 미인정 결석만 반영했다면, 올해는 추가로 미인정 결과, 지각, 조퇴가 총 3회이면 미인정 결석 1회와 동일하게 반영한다. 교과성적우수자 전형 수능최저학력기준은 상위 2개 영역 합 7등급은 유지되지만, 영어 과목은 1등급과 2등급을 모두 1등급으로 처리해 반영한다. 전년도 신설된 모집 단위인 자유전공학부(논술우수자전형) & 단과대학통합(교과성적우수자전형) 모집단위를 동일한 전형으로 모집한다. 논술우수자전형은 자유전공학부(수원∙서울)에서만 239명을 선발한다. 교과성적이 우수한 수험생은 학생부교과 90%와 출결 10%가 반영되는 ‘학생부교과전형’을 노려볼만하다. 2025학년도 기준으로 학생부교과(교과성적우수자전형)의 최종 등록자 평균은 인문계 2.90등급·자연계 2.93등급으로 나타났다. 학생부교과(학교장추천전형)은 인문계 3.00등급·자연계 2.94·예체능계 3.25등급이다. 고교생활을 충실히 한 수험생이라면 ‘학생부종합전형’에 도전해볼 만하다. 고교 교육과정에서의 다양한 활동과 학업에 성실하게 참여하고, 지원 모집 단위에 부합하는 역량을 키운 수험생이라면 이 전형을 추천한다. 김현준 경기대 입학처장은 “‘글로벌 공동체 인재 양성’을 목표로 전 구성원이 노력하고 있다”며 “‘올바른’ 모습을 보일 수 있는 수험생이라면 누구나 경기대에 입학해 미래 산업을 선도하는 인재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자부한다”고 밝혔다.
  • 영진전문대학교, 정원내 최초합격자 등록금 50% 감면

    영진전문대학교, 정원내 최초합격자 등록금 50% 감면

    영진전문대는 디지털 신기술 교육과정 혁신과 현장 맞춤형 주문식교육을 기반으로 전문대학 교육의 혁신 모델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그 결과 취업률 전국 1위를 달성하고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전문대학’ 1위로 선정됐다. 한국능률협회컨설팅(KMAC)이 실시한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전문대학’ 조사에서 영진전문대는 14년 연속 선두를 지키며 교육 혁신·취업 성과·사회적 책임 등 전 분야에서 탁월한 성과를 입증했다. 취업률은 79.2%로 3000명 이상의 대규모 졸업자를 배출한 대학 중 가장 높다. 대기업이나 해외 취업 실적도 두드러진다. 최근 6년간 삼성그룹사 240명, LG그룹사 380명, SK그룹사 325명, 한화그룹사 91명, 포스코그룹사 67명, 현대그룹사 73명, 신세계그룹사 48명, 롯데그룹사 48명 등 졸업생 2168명이 국내 주요 대기업에 입사했다. 같은 기간 해외취업자는 632명으로 일본, 호주, 미국, 중국, 뉴질랜드, 싱가포르 등 다양한 국가로 진출했다. 영진전문대는 2026학년도에 공학계열 12개, 인문사회 5개, 자연과학 6개, 예체능 7개 등 총 30개 학과에서 2450명의 신입생을 선발한다. 이 중 수시모집으로 95.3%인 2336명을 선발할 계획이다. 수시모집은 정원 내 일반고전형, 특성화고전형, 면접전형, 평생학습자전형, 대학자체전형, 입도선매전형 등으로 나뉜다. 정원외로는 농어촌전형과 기초생활수급자전형이 있다. 대학졸업자전형과 만학도·재직자 전형은 모집인원 제한이 없다. 학생들은 학과 및 전형과 관계없이 2회까지 복수지원할 수 있다. 학생부 성적은 고교 전 학년 전 과목을 반영하고, 1학년 30%, 2학년 30%, 3학년 1학기 40%의 비율이 적용된다. 정원내 최초 합격자는 입학 학기 등록금 50% 감면 등 다양한 장학 혜택도 준다. 
  • 한국외국어대학교, 논술전형 수능최저학력기준 적용

    한국외국어대학교, 논술전형 수능최저학력기준 적용

    2026학년도 수시모집 인원은 2088명이다. 전형별로는 학교장추천전형 380명, 학생부종합전형(면접형) 475명, 학생부종합전형(SW인재) 34명, 학생부종합전형(서류형) 539명, 기회균형전형 192명, 논술전형 468명이다. 모집 인원이 가장 많은 학생부종합전형(서류형)은 다른 학생부종합전형(SW인재·기회균형)과 마찬가지로 서류평가 100%로 합격자를 선발한다. 수능 최저학력 기준도 적용되지 않는다. 반면 같은 학생부종합전형이지만 면접형의 경우 1단계 서류평가 100%로 면접 대상자를 3배수 선발한다. 이후 면접고사를 실시하고 1단계 서류평가 50%와 2단계 면접평가 50%를 합산해 뽑는다. 면접형·SW인재와 서류형·기회균형전형의 차이는 서류평가의 평가 요소별 반영 비율이다. 면접형·SW인재는 학업 역량 30%·진로 역량 50%·공동체 역량 20%, 서류형·기회균형전형은 학업 역량 50%·진로 역량 30%·공동체 역량 20% 비중으로 서류를 평가한다. 면접형에서만 실시하는 2단계 면접평가는 제출서류 기반 인적성 면접으로 학업 역량 40%·진로 역량 40%·공동체 역량 20%를 반영한다. 논술전형은 논술 100%로 선발한다. 수능최저학력기준이 적용되며, 서울캠퍼스 LD·LT학부는 국어·수학·영어·탐구(사탐/과탐, 1과목) 중 2개 영역 등급합 3이내, LD·LT학부를 제외한 나머지 서울캠퍼스 모집 단위는 2개 영역 등급합 4 이내, 글로벌캠퍼스의 모든 모집단위는 1개 영역 등급이 3 이내다. 또한, 서울캠퍼스 및 글로벌캠퍼스의 모든 모집단위는 한국사 영역 4등급 이내를 충족해야 한다. 학교생활기록부 교과성적 100%로 선발하는 학교장추천전형은 5학기 이상의 성적이 있어야 지원 가능하다. 학교폭력 조치 사항 기재 시 지원이 불가하며 공통·일반 선택 과목은 등급환산 점수와 원점수환산 점수 중 상위값을 적용한다. 
  • 한양대학교, 학생부종합전형에 제시문 면접 도입

    한양대학교, 학생부종합전형에 제시문 면접 도입

    2026학년도 수시모집에서 정원 내 1708명, 정원 외 189명을 모집한다. ▲학생부교과(추천형) 341명 ▲학생부종합(추천형) 199명 ▲학생부종합(서류형) 621명 ▲학생부종합(면접형) 120명 ▲고른기회 118명 ▲특성화고졸 재직자 157명 ▲논술전형 233명 ▲실기·실적전형 108명을 뽑는다. 2026학년도에는 학생부종합(면접형)에서 제시문 면접이 도입된다. 공과대학 10개 모집 단위와 한양인터칼리지학부로 제시문 면접을 통해 다양한 역량을 가진 학생을 선발할 예정이다. 전형별 지원 자격이 다르니 원서 접수 전 해당 사항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2026학년도부터 추천형·서류형·면접형 간에는 중복 지원이 가능하며, 고른기회도 지원 자격을 충족한다면 학과에 상관없이 중복 지원이 가능하다. 논술전형은 국내 정규 고등학교 졸업(예정)자 및 동등의 학력 소지자를 대상으로 논술고사 90%, 학생부종합평가 10%로 선발한다. 여기서 학생부종합평가는 출결·봉사활동·학교폭력 관련 사항 등을 참고해 학교생활 성실도를 평가한다. 논술전형은 수능 최저학력 기준이 적용된다. 의예과를 제외한 전체 모집 단위는 국어·수학·영어·사탐 또는 과탐(상위 1과목) 중 3개 영역 등급합 7 이내이며, 의예과는 국어·수학·영어·사탐 또는 과탐(2개 과목 평균) 중 3개 영역 등급합 4 이내다. 예체능 계열 선발 전형 중 학생부 교과 성적이 반영되는 경우, 학생부 교과 성적은 3학년 1학기까지의 국어·영어·사회·한국사 교과를 기준으로 등급(성취도)과 이수 단위를 산출하며 진로 선택 과목의 경우 상위 3개 과목을 반영한다. 첨단분야 학과는 정원이 늘었다. ▲데이터사이언스학부(20명) ▲미래자동차공학과(20명) ▲융합전자공학부(40명)로 각각 수시와 정시 전형에 인원이 배분됐다. 학생부종합 서류형에서 큰 폭의 인원이 증가했다.
  • 서울시립대학교, 지역균형선발 고교장 추천 2배 확대

    서울시립대학교, 지역균형선발 고교장 추천 2배 확대

    2026학년도 수시모집을 통해 1020명을 선발한다. 전체 모집 인원의 절반이 넘는 수치다. 지역균형선발전형 245명, 학생부종합전형Ⅰ(면접형) 433명, 학생부종합전형Ⅱ(서류형) 80명, 기회균형전형Ⅰ 132명, 사회공헌·통합전형 46명, 논술전형 76명, 실기전형 8명을 선발한다. 가장 변화가 많은 전형은 작년보다 모집 인원이 55명 증가한 지역균형선발전형이다. 고교장 추천 인원이 기존 10명에서 20명으로 확대됐다. 올해부터는 교과 정성평가 10%가 새롭게 도입됐다. 공통 및 일반선택과목 80%, 진로선택과목 10%를 반영하며 비교과 영역은 평가에 반영하지 않는다. 수능 최저학력 기준도 올해는 수능 3개 영역 등급 8 이내, 한국사 4등급 이내로 완화됐다. 학생부종합전형 서류 및 면접 평가는 블라인드 방식으로 진행된다. 면접은 2인의 면접위원이 지원자 1명을 대상으로 약 12분간 서류를 기반으로 진행한다. 평가 과정에서 고교명, 이름 등 편견을 유발할 수 있는 요소는 모두 제외하고 면접을 볼 때 교복 착용도 금지한다. 학생부종합전형Ⅰ(면접형)은 1단계 서류평가로 3배수를 선발한 뒤, 2단계에서 면접 성적 50%와 1단계 서류 성적 50%를 합산해 최종 합격자를 결정한다. 학생부종합전형Ⅱ(서류형)는 면접 없이 서류 평가 100%로 선발한다. 올해는 지난해와 달리 경영학부 1개 학과에서만 80명을 모집하며 수능 최저학력 기준은 없다. 논술전형은 지난해와 같이 자연계열 모집단위에서만 시행된다. 논술고사 반영 비율을 80%로 상향 조정했으며 논술고사 성적과 학생부 교과 성적을 합산해 합격자를 선발한다. 자유전공학부 모집 인원은 156명으로 늘렸다. 지난해의 모집 인원보다 2배 증가한 수치다. 원서 접수 기간은 오는 9월 8일 오전 10시부터 9월 11일 오후 6시까지다. 자세한 사항은 입학처 홈페이지(admission.uos.ac.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성신여자대학교, 자기주도인재전형 면접 비중 상향

    성신여자대학교, 자기주도인재전형 면접 비중 상향

    수시모집으로 신입생 정원의 69.9%인 1440명을 선발한다. ▲학생부종합전형 769명(53.4%) ▲학생부교과(지역균형)전형 240명(16.7%) ▲논술우수자전형 160명(11.1%) ▲실기·실적(일반학생)전형에서 271명(18.8%)을 모집한다. 내년도부터 학생부종합전형의 학교생활우수자전형이 자기주도인재전형으로 통합되며 면접 비중이 오른다. 자기주도인재전형은 1단계 서류종합평가 100%로 3배수를 선별하고 2단계에서 서류평가 점수 60%, 면접 40%로 합격자를 가린다. 2단계 면접 가중치는 작년에 30%였으나 올해 40%로 높아졌다. 수능 최저학력 기준은 자기주도인재전형에 적용되지 않는다. 올해 학생부종합전형의 기회균형I전형은 서류종합평가만으로 합격자를 뽑는다. 작년 기회균형I전형은 2단계에서 서류종합평가 70%, 면접 30%의 가중치를 뒀으나 올해는 학생부 교과·출결 100%로 선별해 내신의 중요도가 올랐다. 정원 외 모집 인원도 늘어난다. 특성화고 등을 졸업한 재직자 모집은 작년 경영학과 85명에서 113명으로, 특수교육대상자 모집은 작년 15명에서 23명으로 늘었다. 학생부교과전형은 간호 및 사범대학 34명과 창의융합학부 무전공 206명으로 총 240명을 선발한다. 무전공 선발은 창의융합학부(자유전공) 62명, 창의융합학부(첨단분야 전공) 41명, 창의융합학부(예체능 전공) 103명을 모집한다. 기본적으로 수능 최저학력 기준을 적용하나 예체능 전공의 경우 예외적으로 적용하지 않는다. 실기·실적전형으로는 뷰티산업학과, 현대실용음악학과, 성악과, 기악과, 미디어영상연기학과 등 예술계 학과의 학생들을 뽑는다. 원서 접수 기간은 오는 9월 8일 오전 11시부터 9월 11일 오후 6시까지다. 자세한 내용은 성신여대 입학 홈페이지(ipsi.sungshin.ac.kr) 참조.
  • 성균관대학교, 성균·과학인재전형 면접 30% 반영

    성균관대학교, 성균·과학인재전형 면접 30% 반영

    수시모집으로 입학 정원의 58.2%인 2410명을 모집한다. 모집 인원은 ▲학생부종합전형 1502명 ▲학생부교과전형 416명 ▲논술위주전형 386명 ▲실기·실적전형 106명이다. 선발 방식이 다른 학생부종합전형과 학생부교과전형, 논술위주전형 간 중복 지원이 가능지만 동일 전형 내 서로 다른 모집단위를 지원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학생부종합전형 중 융합형, 탐구형, 기회균형전형은 수능 최저 등급 없이 학생부 평가 100%로 선발한다. 지난해까지 탐구형에서 면접을 실시했던 자유전공계열·사범대학·의예과·스포츠과학과와 학생부 100%로 뽑았던 글로벌융합학부를 올해부터 신설된 성균인재전형에서 선발하며 과학인재전형과 함께 2단계에 면접 30%를 반영한다. 학생부종합전형에서는 지난해부터 전공·계열 적합성이 아닌 탐구 확장성과 탐구 주도성을 평가한다. 학생부의 관심 분야가 반드시 지원학과와 일치하지 않아도 지원이 가능하며 특정 모집단위별 권장 이수과목도 없다. 2026학년도부터 채용 연계형 계약학과인 배터리학과를 신설해 총 30명을 모집한다. 학생부종합전형 탐구형 8명, 학생부종합전형 과학인재 5명, 학생부교과전형 학교장추천 5명, 정시 다군에서 12명을 뽑는다. 또 바이오신약·규제과학과도 신설해 총 33명을 모집한다. 모집 인원은 학생부종합전형 탐구형 12명, 학생부교과전형 학교장추천 5명, 정시 나군에서 16명이다. 학생부교과전형은 정량평가 80%, 정성평가 20%를 반영하며 정성평가는 학업수월성 10점, 학업충실성 10점으로 나눈다. 수능 최저등급은 모집단위에 따라 국어, 수학, 영어, 탐구, 탐구 5과목 중 3개 등급 합 7등급 혹은 6등급 이내이다. 논술위주전형은 언어형과 수리형을 분리해 실시한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admission.skku.edu) 참조.
  • 서강대학교, 학생부교과전형 ‘교과 100%’로 간소화

    서강대학교, 학생부교과전형 ‘교과 100%’로 간소화

    2026학년도 수시모집에서 1044명(59%)을 선발한다. ▲학생부교과(지역균형)전형 180명 ▲학생부종합(일반)전형 565명 ▲학생부종합(기회균형)전형 85명 ▲학생부종합(서강가치)전형 36명 ▲학생부종합(특성화고교졸업자)전형 6명 ▲논술(일반)전형 172명을 뽑는다. 지난해 반도체특성화대학에 선정되면서 반도체공학과를 신설한다. 수시모집에서 학생부교과(지역균형)전형으로 3명, 학생부종합(일반)전형으로 14명을 모집한다. 또 정원 내 입학생 중 일정 요건을 충족한 재학생에게는 2027년 1월 중 1000만원의 생활비성 장학금이 지급된다. 일부 전형의 전형 요소 간소화도 주목된다. 학생부교과(지역균형)전형은 기존 ‘교과 90%와 비교과(출결) 10% 합산’에서 ‘교과 100%’로 변경된다. 지원 자격은 ‘국내 고등학교 졸업예정자 중 고등학교에서 4학기 이상 성적을 취득한 자로서 출신 고등학교장의 추천을 받은 자’로 제한된다. 수능 최저학력 기준은 국·수·영·탐(1과목) 4개 영역 중 3개 영역 각 3등급 이내, 한국사 4등급 이내이다. 논술(일반)전형 역시 ‘논술 100%’로 간소화됐다. 수능 최저학력 기준은 국·수·영·탐(1과목) 중 3개 영역 등급 합 7 이내, 한국사 4등급 이내다. 학생부종합전형의 일부 지원 자격 변경도 있다. 학생부종합전형 내 세부 자격으로 포함돼 있던 특성화고 출신 대상이 분리돼 학생부종합(특성화고교졸업자)전형이 신설됐다. 학생부종합(일반·기회균형·서강가치·특성화고교졸업자)전형은 지원 자격 충족 시 모든 전형 간 중복 지원이 가능하다. 수능 최저학력 기준은 적용되지 않는다. 학생부종합(특성화고교졸업자)전형을 제외하고 면접 없이 서류 100%로 선발한다. 2026학년도부터 모든 신입학 전형에 학교폭력 조치 사항이 반영된다. 수시모집 원서 접수는 오는 9월 8일부터 9월 12일 오후 6시까지다.
  • 명지대학교, 문예창작학과 학생부종합으로 선발

    명지대학교, 문예창작학과 학생부종합으로 선발

    명지대학교 2026학년도 수시모집의 가장 큰 특징은 2025년인 전년 수시모집와 비교해 모집단위, 모집인원, 전형방법에서 큰 변화가 없다는 점이다. 명지대는 2026학년도 총 모집인원 2905명 중 수시모집에서 2009명을 모집한다. 수시 전형은 크게 학생부교과(학교장추천전형), 학생부교과(교과면접전형), 학생부종합(명지인재면접전형), 학생부종합(명지인재서류전형), 실기·실적 위주로 분류된다. 실기·실적 위주는 실기·실적(실기우수자전형), 실기·실적(특기자전형)으로 구분되며, 이외에도 학생부교과(기회균형전형)나 학생부종합(크리스천리더전형) 등과 같이 특별한 자격 요건에 따라 지원할 수 있는 특별전형도 운영한다. 명지대 수시모집에는 논술 전형이 없으며, 모든 전형에서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지 않는다. 명지대는 학생부교과전형을 통해 기초학업 역량이 우수하며 학교 생활을 충실히 한 인재 발굴이 목표다. 학생부종합전형으로는 교과 성적만으로는 확인하기 어려운 학생들의 잠재 능력, 소질 및 다양한 경험과 역량을 다각적·종합적으로 평가한다. 또 실기·실적 전형을 통해 특정 분야에서 뛰어난 재능을 발휘하는 학생을 선발한다. 학생부교과전형의 대표 전형은 학생부교과(학교장추천전형)와 학생부교과(교과면접전형)가 있다. 학생부교과(학교장추천전형)는 교과 성적 100%만 반영하며 교과 및 비교과 활동이나 면접에 대한 부담을 갖지 않고 지원할 수 있는 전형으로, 수능최저학력기준을 미반영하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학생부교과(교과면접전형)는 1단계 교과 성적 100%로 모집인원의 5배수를 선발해 2단계 면접 30% 반영을 통해 최종 선발한다. 면접평가에서는 지원 모집단위에 대한 관심과 학생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지를 평가한다. 
  • 단국대학교, DKU인재 면접형 진로탐색 경험 중시

    단국대학교, DKU인재 면접형 진로탐색 경험 중시

    2026학년도 전체 모집 인원 5021명 중 65%인 3262명(죽전 1683명·천안 1579명)을 수시모집으로 선발한다. 학생부종합전형은 ▲DKU인재(서류형) 643명 ▲DKU인재(면접형) 269명 ▲SW인재 34명 ▲창업인재 15명 ▲기회균형선발 142명 ▲사회적배려대상자 117명 ▲교육기회배려자 148명 ▲농어촌학생 107명 ▲특수교육대상자 27명 등 9개 전형에서 총 1502명을 뽑는다. DKU인재(면접형) 1단계에서는 학생부 100%, 2단계에서는 1단계 성적 70%와 면접 30%를 합산해 반영한다. 평가 요소인 진로 역량에 대한 반영 비율이 서류형보다 높으므로 진로에 대한 의지와 적극적인 진로 탐색 활동 및 경험이 필요하다. 학생부교과전형은 지역균형선발(죽전) 252명, 학생부교과우수자(천안) 519명으로 총 771명을 선발한다. 학생부 교과를 100% 반영(체육교육과 제외)하며 수능 최저학력 기준을 적용한다. 지역균형선발(죽전)은 국내 정규 고등학교 졸업(예정)자로서 3개 학기 이상의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소속 고등학교장의 추천을 받아야 지원할 수 있다. 고교별 추천 인원 제한은 없으나 고교 유형 제한이 있으므로 지원 시 참고해야 한다. 학생부교과우수자(천안)는 인문·자연·체육 계열의 경우 국어, 수학(확률과 통계·미적분·기하), 영어, 탐구(사탐·과탐 중 1개 과목) 중 2개 영역합 8등급 이내의 수능 최저학력 기준을 적용한다. 논술우수자(죽전캠퍼스 288명·천안캠퍼스 11명)는 총 299명을 모집한다. 학생부 교과 20%와 논술 성적 80%를 반영한다. 기출 문제, 가이드 답안, 강평 영상, 논술전형 자료집 등은 단국대 대학입학안내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올해부터 온라인 모의논술을 실시하고 있어 본논술의 출제 경향 및 난이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원서 접수는 9월 8일 오전 10시부터 12일 오후 6시까지 온라인으로 할 수 있다.
  • 삼육대학교, 세움인재 학생부 기반 블라인드 면접

    삼육대학교, 세움인재 학생부 기반 블라인드 면접

    약학과, 간호학과, 인공지능융합학부 등 24개 모집 단위에서 수시전형으로 총 825명을 선발한다. 전형별로 세움인재(종합전형) 240명, 논술우수자 154명, 학교장 추천 102명 등이다. 자유전공학부는 정시모집에서만 별도 선발할 예정이다. 이번 수시모집에서 가장 많은 인원을 선발하는 세움인재전형은 1단계에서 서류평가 100뉴로 4배수를 선발하고, 2단계에서 1단계 성적 60뉴와 면접 40뉴를 합산한다. 수능 최저학력 기준은 약학과에만 있고 국어·영어·수학(미적분 또는 기하)·과탐(1과목) 중 3개 영역합 5등급 이내다. 2단계 면접은 제시문 없이 학생부를 기반으로 서류평가 내용을 확인하고 8분 이내에 개별 질문하는 방식이다. 모든 면접은 수험번호를 포함해 수험생의 이름과 고교명, 가족 정보 등이 블라인드(가림) 처리된다. 수험생이 이러한 정보를 면접에서 언급할 경우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특히 유의해야 한다. 논술우수자전형은 지난해보다 모집자가 27명 늘어난 154명을 선발한다. 약학과·신학과·예체능 계열을 제외한 전 학과에 지원할 수 있다. 올해부터는 학생부(교과) 성적을 반영하지 않고 논술고사 성적 100뉴로만 선발한다. 수능 최저학력 기준도 국어·영어·수학·탐구(1과목) 중 1개 영역 3등급이며, 각 문항이 비교적 단순하고 답안 분량이 짧은 ‘약술형 논술’ 형식이다. 논술고사는 80분 동안 15문항을 풀어야 하고 문제당 배점은 각 10점이다. EBS 수능 연계 교재를 중심으로 고교 정규 과정의 서술·논술형 문항 난이도로 출제한다. 교과 전형인 학교장 추천은 학생부 교과 성적 100뉴로 선발하되 체육학과와 아트앤디자인학과는 실기 성적을 각각 60뉴·80뉴 비중으로 합산해 반영한다. 약학과는 올해 수시모집에서 16명을 선발한다. 세움인재전형 5명, 학교장추천전형 3명 등 전형별로 모집 인원이 다르다.
  • 중앙대학교, CAU융합형인재 의학부에 면접 도입

    중앙대학교, CAU융합형인재 의학부에 면접 도입

    2026학년도 전체 모집 인원의 약 57.5%인 2827명을 수시모집으로 선발한다. 학생부교과전형 503명, 학생부종합전형 1440명, 논술전형 484명, 실기전형 400명을 뽑는다. 모집 인원이 가장 많은 학생부종합전형으로는 CAU융합형인재, CAU탐구형인재, CAU어울림, 기회균형이 있다. 이 중 CAU융합형인재 의학부에 이번 수시모집부터 면접이 새롭게 도입됐고, CAU탐구형인재의 면접 대상자 선발 배수는 기존 2.5~3.5배수에서 3.5~5배수로 확대된다. 전형에 따라 면접 시 평가 요소와 반영 비율이 다르다. 융합형인재 의학부 면접은 학업 준비도와 학교생활 충실도를 각 40%, 의사소통 능력 및 인성을 20% 반영하고 탐구형인재는 학업 준비도 60%, 전공(계열) 적합성 30%, 의사소통 능력 및 인성을 10% 반영한다. 나머지 학생부종합전형은 모두 서류평가 100%로 선발을 진행한다. 학생부교과전형 중 지역균형전형은 학생부 100%로 선발하며 서울캠퍼스 모집 단위에는 수능 최저학력 기준이 있지만 다빈치캠퍼스 모집 단위에는 없다. 실기전형은 실기형에서 326명, 특기형에서 74명을 모집한다. 실기형의 경우 공연영상창작학부 영화 전공에 수능 최저학력 기준을 새롭게 적용한다. 학생부 반영 비율도 모집 단위에 따라 일부 달라졌고 연극(연기), 연극(뮤지컬연기)의 1단계 실기고사는 비대면에서 대면으로 전환됐다. 기존에 실기형이던 스포츠과학부 골프 전공은 특기형으로 모집 방법을 바꿨다. 논술전형은 논술고사 70%, 학생부 30%(교과 20%·비교과 10%)로 선발한다. 인문사회 계열은 언어논술 3문항, 경영경제 계열은 언어논술 2문항과 수리논술 1문항, 자연 계열은 수리논술 4문항을 각각 출제한다. 수험생들이 고교 교육과 자기주도학습만으로 합격할 수 있도록 모든 문항 출제에 교과서를 활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