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뜻 못살리는 엑스포/노주석 문화부기자(오늘의 눈)
선진한국의 길을 약속하는 대전엑스포가 오늘로 개장 보름째를 맞이했다.개장이후 지금까지 엑스포장을 찾은 입장객수는 하루평균 14만여명.개장초 적게는 8만여명에 불과하던 입장객이 날이 갈수록 늘어나 엑스포에 쏠린 국민적 관심과 인기를 가늠케 한다.
그러나 문제는 이 많은 인원이 박람회장내에 설치된 총87개의 각종 전시관 가운데 유독 한손으로 꼽을 정도의 몇몇 인기전시관에만 몰리고 있다는 점이다.
조직위측에서 파악한 개장이후 지금까지의 분석자료에 따르면 테크노피아관,우주탐험관,이메지네이션관,인간과 과학관,미래항공관,자기부상열차관등 6개의 이른바 기업차원에서 운영하는 인기전시관의 경우 5∼6시간 줄을 지어 기다려야 입장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됐다.이는 나머지 상설전시관이 1∼2시간,국제관이 30분∼1시간정도인 것에 비교해 볼때 엄청난 차이다.
여기서 우리는 지금 추세대로 하루 20만명의 관람객이 입장한다고 가정할경우 이들 인기전시관의 하루 관람가능인원이 5만명에 불과하다는 점으로 미루어 입장객 4명당 1인만이 인기관을 볼 수 있다는 산술적 결론에 주목해야 한다.또 이들 인기관에 관람객이 골고루 나눠 분산되는 것은 아니므로 20만명 입장시 실제 1인당 관람가능 전시관수는 상설전시관이 1.33개,인기전시관은 0.28개에 불과하다는 수치가 나온다.어려운 걸음으로 엑스포장을 찾은 사람들이 1개관조차 편히 볼 수 없다는 믿기 어려운 사실이다.
이같은 결론이 모든 사람들에게 다 해당되지 않는다는 점에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일부 약삭빠른 사람들은 가족을 총동원해 인기전시관에 분산,줄을 서 예약표를 받음으로써 모든 관을 다보기도 하는 이익을 누린다는 것.이로인해 나머지 대다수의 1인 평균관람가능관수가 더욱 줄어듦은 불을 보듯 뻔하다.여기에는 예약표를 암표로 사고 파는 행위,새치기를 감행하는 얌체족,줄을 무시하고 귀빈(VIP)대우를 요구하는 특권의식에 젖은 일부 인사들의 무질서한 꼴불견이 한몫 거들고 있음도 간과할 수 없다.
이제다시 엑스포의 본래 뜻을 되새겨 봐야 할 때다.현재 나타난 입장객들의 일부 일그러진 관람태도는 경제·과학·문화올림픽인 엑스포를 「교육의 장」으로서가 아니라 「흥미위주의 오락장」쯤으로 여기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아심을 품게 한다.「무엇을 보고 배울 것인가」하는 진지한 접근보다는 「어떤 것이 더 재미있을까」하는 오락성 추구의 성향은 재고해야 할 문제인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