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목일 환경나무 심자”/환경부,「식수 캠페인」 나서
◎은행백자작나무 등 13종 선정/오염 심한 광산공단 등에 권장
나무들이 오염된 환경을 정화한다.환경부는 2일 각종 오염을 제거하는데 탁월한 효과를 지닌 「환경나무」 13종을 각 지방자치 단체에 추천했다.식목일에 가급적 이런 나무들을 심어달라는 부탁이다.
중금속에 오염된 토양과 아황산가스 등 대기오염 물질을 흡수하는 능력이 뛰어난 나무들로 모두 13종이다.
국립환경연구원의 재배실험에서 은행나무 한 그루는 대표적 중금속인 카드뮴이 자연함유량(0.14PPM)보다 80배 이상 오염된 토양의 카드뮴을 5년만에 완전히 제거했다.
백자작·쥐똥나무·흰줄무늬 비비추·메타세콰이어 등도 중금속의 흡수능력이 뛰어나 광산이나 공단 주변의 토양을 정화하는데 적합하다.백자작 한그루는 1년에 10에이커당 구리 35.7g,납 83.5g,아연 2백61.9g을 각각 흡수한다.쥐똥나무는 구리를 연간 12.7g 빨아들인다.
양버즘나무·가죽나무·은단풍나무·상수리나무·능수버들·일본전나무·소나무·잣나무 등은 아황산가스와 이산화질소 등 대기오염 물질 흡수에 뛰어나다.
양버즘 한그루는 연간 6천9백5g의 이산화탄소를 빨아들인다.활엽수 가운데 최고의 흡수능력을 지녔다.가죽나무는 아황산가스 50.3g,이산화질소 13.2g을 각각 흡수한다.능수버들도 12.4g의 아황산가스와 2.6g의 이산화질소 및 4천65g의 이산화탄소를 각각 빨아들인다.
일본 전나무는 연간 아황산가스 1백36.5g,이산화질소 32.4g,이산화탄소 4만4천7백30g을 각각 정화,대도시의 가로수로 적합하다.잣나무는 아황산가스 31.7g,이산화질소 6.6g,이산화탄소 1만2천6백22g을 흡수한다.
소나무도 아황산가스 20.2g,이산화질소 4.7g,이산화탄소 1만9백63g을 빨아들인다.〈노주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