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노주석
    2025-08-25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1,938
  • 부동산 양도신고 대상 확대·문답풀이

    다음달부터 매매로 인한 부동산 양도 뿐아니라 교환,법인에의 현물출자,공매 또는 경매,수용 등으로 인해 부동산을 양도하는 경우에도 사전에 관할세무서에 부동산 양도신고를 해야 소유권 이전등기가 가능해진다. 국세청은 22일 부동산양도 신고대상을 확대하고 외국인이나 해외거주 교포도 부동산 양도신고를 하도록 했다. 확대대상은 등기원인일(등기부에 기재되는 날짜로 계약의 경우 계약체결일)이 오는 7월1일이후인 경우부터 적용된다.부동산 양도신고란 부동산을 넘기는 경우 소유권이전 등기 전에 거래내용을 양도자의 주소지 관할세무서에 먼저 신고하고 양도신고확인서를 발급받아 등기소에 제출해야 등기가 가능하도록 한 제도로 97년부터 시행되고 있다. 관할 세무서는 양도신고 확인서를 발급할 때에 납부할 양도세액을 계산(기준시가 기준)해주며 2개월 이내에 자진납부하면 15%의 세액공제혜택을 주고있다. 다만 3년 이상 보유한 주택과 8년 이상 보유한 농지의 경우 양도신고를 하지 않아도 이전등기를 할 수 있다. 1가구 1주택이 아니거나 자경농지가 아니어서 양도세 감면대상이 아닌 경우등기 전에 부동산 양도신고를 하고 납부세액을 기한내 납부하면 마찬가지로15% 세액공제혜택을 받을 수 있다. 국세청은 민원인들이 세무서를 직접 방문해야 하는 불편을 덜어주기 위해민원우편으로 신고해 줄 것을 권장하고 있다. 노주석기자- 양도신고 대상 확대 문답풀이 국세청은 22일 부동산 양도신고대상을 매매를 원인으로 하는 양도행위에서경매,공매 등으로 7월부터 확대한다고 발표했다. 부동산 양도신고 확대대상은 지금까지는 소유권이전등기 원인이 매매인 경우로만 제한됐다.그러나 다음달부터 교환,법인에의 현물출자,공매,경매,토지수용 등으로 확대된다. 적용시기는 등기원인일이 99년 7월1일 이후인 것부터 적용된다.등기원인일이란 등기부에 기재되는 날짜를 말한다.예를 들어 교환은 교환계약 체결일,현물출자는현물출자계약일,경매는 경락대금 완납일,공매는 매각결정일,협의수용은 계약일 등을 말한다. 부동산양도신고는 누가하나 양도자가 양도신고확인서를 발부받아 양수자에게 넘겨주면 양수자가 등기소에이를 제출해 이전등기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공매,경매,토지수용법 등에 의한 수용의 경우나 부득이한 사유로 양도자가 양도신고를 하지 않을 때는 양수자가 신고할 수 있다. 비거주자의 양도신고는 어떻게 하나 국내 사업장이 있는 경우에는 그 국내사업장의 소재지 관할 세무서,없는 경우에는 양도한 부동산 소재지 관할세무서에 신고하면 된다. 비거주자가 양도신고확인서를 발급받기 위해서는 납부세액에 대한 담보를 제공해야한다는 점이 내국인과 다른 점이다. 문의는 (02)3971-471∼3(국세청 재산세1과) 노주석기자 joo@
  • 코카콜라 판매줄어 비상…벨기에 파동 여파

    코카콜라의 국내 판매량 급감파동은 진정될 것인가. 벨기에산 코카콜라 파동의 영향으로 일부 할인점의 경우 하루 판매량이 최고 60%까지 주는 등 코카콜라 제품에 대한 기피현상이 확산되면서 한국코카콜라가 대책마련에 전전긍긍하고있다. 한국코카콜라는 22일 제롬 필리폰 사장이 기자회견을 갖고 식품의약품안전청 조사결과 국내에서 유통중인 제품에는 이상이 없다는 점을 재삼 강조할예정이다.‘콧대’ 높은 코카콜라의 경영진이 기자회견을 갖는 것은 97년 한국진출이후 처음이다. 코카콜라는 그동안 국내에서 ‘짭짤’한 수익을 올리면서도 일체의 경영자료를 공개하지 않는 등 폐쇄적인 경영을 펴왔다. 음료시장에서는 벨기에산 코카콜라 사고의 영향으로 지난 15일이후 편의점할인점 등에서의 판매량이 40∼60%까지 줄었고 판매 및 반입을 거부하는 곳도 속출했었다.21일 식약청의 무해조사발표에도 불구하고 여름성수기때 한번 줄어든 판매량을 ‘원상회복’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 코카콜라측의 고민이다. 노주석기자
  • 국세청 서기관급 70% 異動

    국세청은 20일 일선 세무서장과 본청 과장급 서기관 190명 가운데 70.5%인134명을 전보하는 등 큰 폭의 인사를 단행했다. 복수직 3급 승진 9명,과장급 직위승진 26명,복수직 4급 승진자가 34명에 달하는 등 승진 폭도 최대 규모였다. 본청 과장급의 주력을 행시 14∼18회 출신에서 18∼22회의 젊은 피로 물갈이한 것이 특징이다.연고지 배제원칙을 국장급에 이어 세무서장 인사에도 적용,연고주의와 지역주의의 폐습을 깼다.5급 이하 전보인사는 8월에 실시된다. 특히 사무관급 핵심요직인 본청 총무과 인사계장과 중앙민원봉사실장에 여성을 중용해 눈길을 끌었다. 1만7,000여 세무공무원의 인사를 관리하는 노른자위 자리인 총무과 인사계장에는 이상위(李相委·54) 효제세무서 부가가치세 2과장이 앉았다.이씨는 67년부터 91년까지 국세청 총무과에 근무,‘움직이는 인사백과사전’으로 불린다. ‘국세청의 얼굴’인 중앙민원봉사실장을 맡게 된 제연희(諸蓮姬·52)씨는여성공무원으로는 드물게 세무사시험에 합격한 재원.중부세무서 총무과장과구로세무서 재산세과장 등을 거쳤다. 노주석기자 joo@
  • 매출 성실신고자 세금 깎아준다/세금 경감조치 문답풀이

    다음달 26일에 마감되는 부가가치세 확정신고 기간에 매출액을 직전연도 보다 일정 기준율 이상으로 성실신고하는 소규모 개인사업자에 대해서는 부가세와 소득세를 3년에 걸쳐 깎아준다.세무조사대상에서도 제외된다. 국세청은 17일 부가세 확정신고 대상자 290만명 가운데 지난해 매출액이 1억5,000만원 미만인 개인사업자 240만명이 매출액을 성실하게 신고해오면 세금을 깎아주는 방법으로 과표를 양성화하기로 했다.특히 위장신고 혐의가 짙은 사업자 15만명은 중점관리한다. 개인사업자의 과표양성화를 유도하기 위해 올해 처음 도입한 이 제도의 대상자는 매출액이 1억5,000만원 미만인 개인사업자(일반과세자,간이과세자,과세특례자)로 지난 1월1일 현재 6개월이상 사업을 계속하고 있는 기장신고자이다.과세기간별 경감률은 성실신고 과세기간을 포함 최초 1년간은 추가로낼 세금의 100%,다음 1년간은 50%,그 다음 1년간은 20%이다. 국세청은 경감대상 사업자 판정을 위해 업종별 성실신고기준율을 지난 9일자로 고시,음식·숙박·기타서비스업의 경우는 135%,나머지는 130%를 적용키로 했다.부가세와 함께 소득세도 같은 경감률로 깎아주고 세무조사대상에서배제하는 혜택을 준다. 노주석기자 - 세금 경감조치 문답풀이 국세청이 17일 발표한 부가가치세 성실신고자에 대한 세금 경감 조치의주요 내용을 문답풀이로 알아본다. 여관을 운영하는 간이과세 사업자가 98년 2기에 매출을 3,000만원으로 신고했다가 99년 1기 확정신고기간에 5,000만원으로 높여 신고했다면. 성실신고기준인 135%를 넘기 때문에 경감대상자에 해당한다.세액계산은 5,000만원에서 직전연도 매출액인 3,000만원에 여관업의 과표신장기준율(115%)을 곱한 금액(3,450만원)을 뺀 1,550만원이 경감대상 과표다.여기에 여관의부가가치율 50%와 세율 10%를 곱한 78만원이 올해 경감세액이며 다음해는 50%인 39만원이,그 이듬해는 16만원이 각각 경감된다. 과세특례자로서 부동산임대업을 경영하는 사업자가 98년 2기에 1,800만원을 신고했다가 올해 2,700만원으로 올려 신고한 경우는. 부동산임대업의 성실신고율 130%를 넘는 사례.2,700만원과 1,800만원에 부동산임대업의 과표신장기준율 106%을 곱한 금액과의 차액인 792만원이 경감대상 과표다. 여기에 세율 2%를 곱한 16만원이 경감세액이 되며 다음해는 50%인 8만원,이듬해는 20%인 3만원이 각각 경감된다. 노주석기자
  • “北 ‘祖平統 성명’ 속내 뭘까”애타는 재계

    현대와 삼성그룹을 필두로 한 재계의 대북경협사업에 ‘노란불’이 켜졌다. 북한 조국평화통일위원회가 지난 16일 남한측 인사의 평양방문 및 접촉을잠정 제한키로 했다고 발표한 데 따른 파장이다.재계는 이번 파장이 남북경협사업에 미칠 영향과 북측의 속셈을 분석하느라 분주하다.하지만 북측이 내놓은 대남제재가 실효성이 떨어지는 한시적 조치란 점과 삼성방북단의 체류를 허용하는 등 예외를 인정한 점에 주목하고 있다.따라서 이번 조치가 남북경협을 급랭시키는 악재로 작용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현대그룹 7월 중순으로 잡아놓은 정주영(鄭周永) 명예회장의 방북 및 김정일(金正日) 총비서와의 면담일정 등에 차질이 빚어질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특히 김 총비서가 수시방북을 특별허용한 정 명예회장에게도 조평통의 평양방문 및 접촉제한이 적용될지 여부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 중국 베이징에서 조선아세아·태평양평화위원회측과 ‘남북경협사업 대토론회’를 열고 있는 현대는 17일 김윤규(金潤圭) 사장이 토론회에 합류하기 위해 출국한상태.조선아태평화위의 서열 3위인 강종훈 서기장이 단장으로 나올 것으로 알려져 북측의 진의를 파악할 절호의 기회로 여기고 있다.현대는서해안공단사업 등 벌여놓은 경협사업을 김 총비서와 정 명예회장의 담판을통해 마무리지어야 하기 때문에 방북을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절박한 상황이다. 삼성그룹 삼성 관계자는 17일 “북한이 조평통의 발표 직후 평양에 체류중인 삼성전자대표단에 대해서는 예외를 인정하겠다는 뜻을 알려왔다”고 말했다.이 조치가 삼성에 대한 북한의 ‘예외적 환대’인지 여부는 지금으로서는 알 수 없지만 ‘강제출국’을 걱정하던 삼성으로서는 한시름 놓은 기색이 역력하다.현재 북한에 머물고 있는 국내인은 모두 1,858명.이 중 평양에 머물고 있는 인사는 윤종용(尹鍾龍) 삼성전자 사장을 단장으로 한 삼성전자 대표단 16명 뿐이다.삼성이 북측과 벌이고 있는 협상내용은 알려지지 않지만삼성과의 ‘거래’에 북측이 관심을 갖고 있다는 증거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대우·LG그룹 대우그룹은 북한과의 거래가 끊긴 상태.조선삼천리총회사와공동투자해 설립한 합영회사인 민족산업총회사의 지분정리가 난항에 빠지자현지에 나가있던 인력을 전원 철수시켰다.나진 앞바다의 가리비양식사업에대한 2차 투자시기를 놓쳐 ‘헛물’을 켠 LG의 경우 자전거 조립 및 생산공장 건설사업에 미칠 악영향을 우려하고 있다. 노주석기자 joo@
  • 현대“東海서 웃고 西海서 운다”

    현대그룹이 북한의 ‘강온양동작전’에 속을 끊이고 있다. 북한의 양동작전은 한반도를 사이에 두고 동해와 서해 양쪽에서 진행되고있다는 게 현대측 분석이다.동해에서는 1,000여명의 승객과 승무원을 실은금강산유람선이 하루 한차례씩 일정대로 움직이고 있지만 서해에서는 일촉즉발의 위기상황이 계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서해에는 ‘삭풍’이,동해에서는 ‘훈풍’이 부는 의외의 상황전개에 현대그룹은 일희일비하고 있다.금강산관광 및 남북경협사업에 ‘목’을 맨 현대로서는 북한의 반응여하에 따라 종속적으로 움직일 수 밖에 없다. 현재 3대의 유람선이 매일 동해항과 장전항을 오가고 있다.15일 봉래호,16일 풍악호가 예정대로 출항한 데 이어 17일 금강호가 출항한다.승객과 승무원,그리고 북한지역에 있는 현대직원 등을 합칠 경우 2,000명이 북한측에 ‘볼모’로 잡혀있는 셈이다.북한측이 정경분리원칙을 내세우며 서해교전상황과 금강산관광은 별개임을 강조하고 있지만 어떤 트집을 잡아 태도를 바꿀지 짐작조차 할 수 없는 상황이다. 지난 15일서해안교전사태 직후인 오전 10시쯤 김포공항을 떠나 중국 베이징에 도착한 현대아산의 협상실무팀은 ‘금강산관광선의 계속 운항여부를 북측으로부터 확인하라’는 긴급전문을 본사로부터 받았다.협상팀 단장인 현대아산 김고중(金高中)부사장은 북한측 경협사업팀의 핵심인물인 황철 참사관으로부터 “금강산관광은 민족의 사업이므로 문제삼지 않는다”는 예상외의답을 들었다. 관광객의 신변보장을 위해 이를 공식문서화해줄 것을 요구하자,쾌히 응했다.전전긍긍하던 현대는 북한측의 ‘화끈한’ 답변의 진의를 확인하느라 부산을 떨었다는 후문이다.이때까지만 해도 국내에서는 금강산유람선의 운항이중단될 것이라는 추측이 지배적이었다. 노주석기자 joo@
  • [期數문화 진단](5)私企業

    기업에서의 ‘기수문화’는 철저한 양면이다.공기업과 같은 ‘주인이 없는’회사는 기수문화가 뚜렷하고 사기업에서는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다.그러나공기업도 연봉제의 도입과 혁신적인 인사고과제의 도입으로 기수문화를 기업밖으로 밀어내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체제는 기수문화의 파괴를 더욱 가속화시켰다.기수에 의한 승진이나 정년은 없으며 기수로 월급이 결정되지도 않는다. 대우그룹은 40대초반의 전무,상무가 등장,연공서열에 의한 승진관행을 깨뜨렸다.주력계열사인 대우자동차,자동차판매,대우중공업의 핵심부서를 관장하는 임원들이다.대우자동차판매의 이동호(李東虎)전무는 41세.84년 입사,94년 승용차판매 총괄임원이 된 그는 올해 전무로 승진했다.대우자동차 한영철(韓榮喆·41)상무와 대우중공업 서완철(徐完澈·44)전무도 기수파괴의 선두주자들이다. 삼성물산은 올초 신인사제도를 내놓았다.11단계인 직급을 6단계로 줄이고호봉제를 아예 없앴다.두단계 직급 승진이 가능하도록 문을 열어놓았다. 이만수(李萬洙·48)전무가 대표사례.75년에 입사,84년 과장,87년 부장,94년 이사보를 거쳐 96년 이사를 달았다.그는 뉴욕지사장으로 있으며 미국 흑인사회와 연예·스포츠스타들이 가장 즐겨 입는 힙합패션 ‘FUBU’브랜드를 개발,시장개척에 성공한 공로로 1월 전무로 승진했다. LG그룹은 공채시 기수를 구분하지 않는다.동기모임은 있으나 사적인 모임일 뿐이다.연공서열을 따질 때는 입사연도로 고과를 매겼으나 1∼2년전부터 성과형 급여체계가 도입되면서 입사연도의 의미가 없어졌다.직급에 따라 상하가 구분될 뿐이다. 이효진(李孝珍·39) LG텔레콤 상무보는 남보다 5년 이상 앞서고,박종석(朴鍾碩·41) LG전자 상무보는 지난해 수석부장(1급)으로 진급한데 이어 올해파격적으로 상무보로 승진했다. 현대정보통신 표삼수(表三洙·47)대표이사 부사장은 지난해 1월 전무로 승진한지 1년만에 경영능력을 인정받아 부사장으로 승진했다. 반면 현대자동차에 인수·합병된 기아자동차의 경우 공채 1기인 김선홍(金善弘)전 회장의 독단적이고 폐쇄적인 기업경영과 공채출신들의 폐쇄성이 화를 부른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결과적으로 공채 중심의 나눠먹기식 인사관행이 기업문화를 황폐화시키고 회사를 공멸케한 주요인이었다는 지적이 뒤따랐다. 정부가 투자 및 출자한 공기업의 경우 역시 연공서열에 의한 승진 및 인사관행의 폐해가 공직사회 못지 않게 극심하다.한전,한국통신,가스공사,석유공사,관광공사 등 26개 달하는 공기업의 폐쇄적인 연공서열식 인사는 인사적체에서 비롯됐다는 지적이다.한전의 경우 부장직급을 받고도 보직을 받지 못하고 대기상태에서 목이 빠지게 기다려야 하는 현실이다.이때문에 지난 97년말 200여명의 신입사원을 신규채용해 놓고도 1년가까이 발령을 내지 못하는 촌극을 벌이기도 했다. 노주석 백문일기자 joo@
  • 국세청,신용카드 가맹 기피한 2만곳 강제 가맹조치

    자발적인 신용카드 가맹을 기피하고 있는 병·의원,현금수입업소 등 2만곳에 대해 강제 가맹조치가 내려졌다. 국세청 관계자는 15일 “상반기 가입권장대상 3만3,600곳 가운데 60%인 2만곳이 지난 2개월간의 행정지도에도 불구하고 신용카드 가맹을 하지 않고 있어 관할 세무서장 명의로 강제지정을 통보했다”고 말했다. 계속 가맹을 거부하는 업소는 다음달 10일부터 세무조사를 받게 된다.이날현재 병원과 음식점의 경우 가맹률이 50%를 웃돌고 있으나 소매업소나 서비스업소의 경우 30%에 못미치고 있다. 국세청은 소비자의 편의와 과표현실화 및 근거과세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소매,음식·숙박 등 현금업소와 병·의원 등을 대상으로 신용카드 가맹을적극 권장,상반기 3만3,600곳,하반기 5만곳 등 모두 8만4,000곳의 가맹을 추진 중이다.강제가입대상은 ▲지난해 매출액이 7,500만원 이상인 병·의원,학원 ▲1억5,000만원 이상인 약국,금은방,이삿짐센터,카센터,장의사 등 대형소매업 ▲종합병원,예식장,주유소,대형 할인점 등 95개 업종이다. 노주석기자 joo@
  • 「남북한 西海 교전」봉래호 출항 동해항 표정

    서해상 남북한 교전에도 불구하고 승객 640명을 태운 금강산 관광선 봉래호가 출항한 15일 동해항은 여느때와는 달리 긴박감에 휩싸였다. 예약 관광객 중 24명은 사태의 심각성 등을 감안해 승선을 취소했다. 관광객 대부분은 이날 오후 2시30분부터 동해항 여객터미널에 도착,서둘러승선 수속을 밟았다.크게 불안해하면서도 금강산을 찾는다는 기대에 상기된모습들이었다. 금융회사 주선으로 봉래호에 오른 박우정(朴禹廷·54·자영업·서울 종로구 명륜동)씨는 “잊을 만하면 발생하는 사건인 만큼 별다른 확전 없이 조용해질 것으로 믿고 일행 40명과 함께 관광길에 오른다”고 말했다. 그러나 승선을 포기한 김모(55·서울 송파구)씨는 “오랜만에 아내의 생일을 맞아 가족동반 금강산관광을 준비해 왔는데 뉴스를 듣고 만에 하나 위험이 닥치지나 않을까 생각돼 막판에 포기했다”며 “분위기가 좋아지면 금강산 관광을 다시 할 계획”이라고 아쉬워했다. 이날 금강산 관광선을 운항하는 현대상선측은 북한 장전항과 중국 베이징현지에 팩시밀리와 전화 등을통해 국내 상황과 서해안 교전상황 등을 상세하게 알려줬으며 돌발사태에 대비하라는 지시도 이미 내려 놓은 상태라고 밝혔다. 한 관계자는 “금강산 현지에서는 금강호 및 풍악호 승객 1,400명이 일정에 따라 금강산관광을 즐기고 있으며 관광객들은 교전상황을 전해듣지 못한 상태일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는 금강산 관광객들의 예약취소 사태를 우려했으나 예약을 취소한 사례는 극히 드물며 곧 진정될 것으로 내다봤다. 노주석·동해 조한종기자 hancho@kdaeily.com
  • 다이옥신 파동 패스트푸드점‘된서리’

    ‘다이옥신파동’이 올 여름 소비자들의 식생활패턴을 바꾸고 있다. 육가공류 판매업소와 패스트푸드점은 된서리를 맞은 반면 횟집이나 참치가공업체 등은 모처럼 호황이다. 한국인의 식성을 바꿔 놓을 정도로 한국시장 공략에 성공한 외국 패스트푸드 및 외식 업체들은 파동이후 적어도 10% 이상 매출이 줄었을 것이라는 게업계의 관측이다. 지난 3월 ‘어린이에게 위해를 줄 만큼의 다이옥신류가 검출됐다’는 미국‘미드웨스트연구소’의 자료공개 이후 영업에 어려움을 겪어온 맥도날드,피자헛,KFC,하겐다즈 등 4개 업체에게는 엎친 데 덮친 격이다.맥도날드의 경우 원재료의 30% 가량을 수입산으로 사용하는 등 업체 대부분이 원재료의 상당 부문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또 돼지갈비,삼겹살 등 돼지고기를 주로 취급하는 식당을 중심으로 육가공제품의 매출도 덩달아 줄고 있다. 이에 반해 서울 무교동,여의도,강남일대의 생선횟집은 문전성시를 이루고있다.직장인들이 회식장소를 생선횟집으로 옮겼기 때문이다.참치캔 등 수산물가공품의 매출도 눈에 띄게 늘었다.동원산업의 경우 다이옥신파동 이전 4억원가량에 머물던 하루매출이 5억∼6억원으로 크게 늘어났다. 노주석기자 joo@
  • 李康演 관세청차장 사퇴

    이강연(李康演)관세청 차장(59)이 용퇴키로했다. 이 차장은 69년 재무부 사무관으로 공직에 발을 들여놓은 뒤 외화자금과장을 거쳐 80년 이후 관세청에서 관세조사과장,주미관세관,평가협력국장,조사국장 등 요직을 두루 거친 관세행정전문가. 그러나 최근 서울고 8년 후배인 김호식(金昊植)청장이 부임해옴에 따라 사퇴를 결심했다. 노주석기자 joo@
  • 국세청 8월말 임시청사로 이사

    국세청이 8월말 이사한다. 지난 83년부터 종로구 수송동 108의4 현 청사를 사용해온 국세청과 서울지방국세청은 오는 8월25일쯤 종로 2가 옛 화신백화점터에 새로 지은 삼성생명 종로타워빌딩 일부를 장기임대,청사를 옮긴다. 국세청은 23층짜리 빌딩의 3∼12층,20∼22층 등 모두 12개층을 사용할 계획이다.본청이 7∼12층까지,서울청이 3∼6층 및 20∼22층을 사용한다.월임대료는 7억2,000만원인 것으로 알려졌다. 종로타워는 3개의 원통형 기둥이 비행접시처럼 생긴 상층부를 떠받치고 있는 독특한 구조로 본래 백화점으로 지어졌지만 삼성이 유통사업을 포기하면서 업무시설로 전환됐다.국세청은 지난 74년에 지어 사용중인 현재의 수송동청사를 헐고 2002년8월까지 지상16층,지하4층짜리 새 건물을 지어 입주한다는 계획이다.본래 합동통신사옥이던 7층짜리 건물을 증축하다보니 균열이 심해져 안전진단에서 붕괴위험이 있다는 판정을 받아 이전이 불가피했다. 청사를 이전하면 그동안 청사가 비좁아 연합통신,종로세무서,을지로세무서등에서 더부살이하던 서울지방청 직원들도 한지붕아래 모인다. 노주석기자 joo@
  • 협공 받는 5대그룹 탈출구는…

    ‘협공! 표적은 5대그룹’. 정부와 참여연대 등 시민단체가 동시다발로 재계를 조여가고 있다.정부가 5대그룹의 신규사업 진출불가를 분명히 한 가운데 공정거래위원회는 10일 현대와 삼성에 대해 부당내부거래 조사를 위한 계좌추적권을 발동했다. 또 데이콤 위장지분 문제로 LG를 조사하기로 했다.검찰도 참여연대가 정주영(鄭周永)현대명예회장 일가를 ‘현대전자 주가조작 혐의’로 고발한 사건과 관련,정명예회장 일가를 조사하게 될 것 같다. ?欖撻돎募? 재벌개혁 대통령의 의중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강봉균(康奉均)재정경제부장관은 10일 전경련회장단과의 오찬간담회에서 “5대그룹의 재무구조 개선과 핵심기업의 설정이 상대적으로 부진하다”며 “지금은 비주력업종에 신규투자할 때가 아니다”고 강조했다.앞서 이헌재(李憲宰)금감위원장도 “신규사업 진출보다 구조조정에 무게를 실어야 한다”며 LG의 대한생명인수 불가방침에 못을 박았다. 이에 LG가 ‘눈물을 머금고’ 대생인수를 포기했고,현대도 한국중공업 인수포기 방침을 밝히는 등 꼬리를내리고 있다. 공정위의 압박 강도도 수위가 높아가고 있다.5대 재벌에 대한 부당내부거래 조사에 들어간 공정위는 현대와 삼성에 첫 계좌추적권을 발동한데 이어 참여연대가 요구한 LG의 데이콤 위장지분조사에도 착수했다. ?覽鰥㈎Т育? 공격 참여연대는 LG의 데이콤 위장지분 문제를 물고 늘어져 공정위의 조사착수라는 성과를 얻어냈다.현대전자 주가조작사건과 관련해서는정명예회장 등 현대그룹 수뇌부 9명을 검찰에 증권거래법 위반혐의로 고발하는 등 ‘재벌 목조르기’를 가속화하고 있다. ?卵接ㅍ볜? 5대그룹 현대 고위관계자는 “현대전자 주가조작은 금감위가 서울지검에 고발한 사안인데 왜 또 건드리느냐”며 “이익을 실현하지 않아 주가조작이 아니다”고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LG는 반도체를 현대전자에 넘겨주는 등 천신만고 끝에 데이콤 경영권을 확보했으나 위장지분이라는 복병을 만나게 됐다.그러나 규명은 쉽지 않을 것같다. 한국중공업 인수를 공식선언했던 삼성도 대우자동차 빅딜문제와 연계된 이건희(李健熙)회장의 사재출연 문제가말끔하게 해결되지 않았다.SK 역시 카드사업 진출과 한국가스공사 인수에 미칠 악영향을 재보는 등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노주석 김환용기자 joo@
  • 국세청 차장 黃秀雄씨·서울 국세청장 金成豪씨

    정부는 10일 신임 국세청 차장에 황수웅(黃秀雄·57)대구지방국세청장,서울지방국세청장에 김성호(金成豪·53) 경인지방국세청장을 각각 승진발령했다. 1급 인사와 함께 지방청장 등 국장급 간부 21명 가운데 19명의 자리를 맞바꾸는 등 국세청 개청이래 최대규모의 물갈이 인사가 단행됐다. 1급의 경우 차장은 영남(경북 경주),서울청장은 호남(전남 목포)출신으로지역을 안배했다.국장급인사에서도 연고지 배치 관행에서 벗어나 연고지를피하는 향피(鄕避)제도를 새로 도입했다. 이에 따라 광주청장에는 대구출신인 이재광(李在光)기획관리관,부산청장에는 전남 강진출신 이주석(李柱碩)감사관을 각각 발령했다.경남 함양출신인 조원제(趙元濟)서울청 재산세국장이대전청장에 임명됐다. 200여명에 이르는 일선서장 및 과장급가운데 100명정도가 7월 1일자로 자리를 옮기며 사무관이하 인사는 8월중순쯤 단행된다. 노주석기자
  • 국세청 홈페이지 폭발적 인기

    10일로 개통 100일을 맞은 국세청 홈페이지 ‘사이버세무서’(www.nta.go.kr)가 폭발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다. 지난 3월3일 개통이래 지금까지 하루평균 2,069명이 방문하는 등 모두 20만774명이 찾았다.‘제2의 세무대리인’으로 자리잡은 것이다. 납세자들이 즐겨 찾는 이유는 최신 개정세법,고시·공고,예규 등의 정보제공은 물론 세무상담(Q&A)서비스,각종 세무프로그램,민원서식 제공 등 국세에 관한 거의 모든 내용을 쉽게 조회할 수 있기 때문. 특히 지난 5월 소득세 확정신고때는 소득세신고요령과 신고서식에 관한 정보를 제공,자율신고체계가 뿌리를 내리게 한 ‘일등공신’이 됐다.또 세금감시고발센터에는 42건의 탈세신고,4건의 외화도피신고와 함께 영수증을 교부하지 않거나 신용카드 매출전표를 위조한 사례 등도 78건이나 접수,고발창구의 역할도 톡톡히 해냈다. ‘근로소득자 연말정산’ 코너를 신설,각종 공제사항을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하고 ‘사업경영과 세금’코너에서는 신규사업자가 알아야할 부가세,소득세 신고정보도 제공할 예정이다. 이장화(李章和)납세지도과장은 “장기적으로는 납세자가 원하는 증명을 인터넷에서 직접 발급하는 것은 물론 세무서를 방문하지 않고도 각종 세무신고를 인터넷에서 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노주석기자 joo@
  • 호화의상실 기습 세무조사

    국세청이 7일 서울 강남일대 호화 의상실과 대형 미용실,고급의류 수입대행업체 등에 대한 세무조사에 착수했다. 국세청은 지난 주말 강남일대 의상실과 미용실 3곳을 비롯,의류수입 대행업체 10여곳에 대해 기습적인 세무조사에 들어가 판매장부와 예금통장 등을 압수했다.고급옷 로비의혹사건에 대한 검찰의 수사가 마무리된 데 따른 후속조치로 보인다.이번주중 또 다른 호화 의상실과 고급도자기 판매상,대형 유흥업소로 조사를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조사결과 이들 업소를 드나든 부유계층에 대한 세무조사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조사과정에서 고객들의 소득이 검증되지 않을 경우 확인하는 작업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국세청 관계자는 “검찰수사과정에서 고급 의상실들이 싼 값에 구매한 외국유명브랜드를 수십배가 넘는 값에 팔아 폭리를 취해온 사실이 일부 드러났다”며 “의류수입 및 판매과정 등에서 탈세사실이 나타나면 세금추징과 함께검찰에 고발조치할 방침”이라고 말했다.특히 고급의류 수입대행업체 대부분이 거래장부없이 영업중인 점을중시,계좌추적 등을 통해 탈루소득을 밝혀낼방침이다. 노주석기자 joo@
  • 해태음료 최종가격‘실랑이’

    “더 깎아야 한다”“가격을 고수하라” 2,666억원에 해태음료를 사고 팔기로 지난 4월초 양해각서(MOU)를 교환한제일제당과 해태 채권단이 본계약을 앞두고 막판 ‘실랑이’를 벌이고 있다. 실사작업은 마무리단계에 접어들었지만 최종가격을 놓고 양측의 이견이 노출된 것이다. 제일제당은 당초 양해각서에서 부채 및 퇴직금 366억원과 자산 2,300억원을 합해 2,666억원에 인수키로 했지만 실사결과 ‘비싸다’는 결론을 내렸다는 것.본계약때 인수가격을 좀 더 낮추겠다는 전략이다. 그러나 주채권은행인 조흥은행측의 입장은 다르다.은행 관계자는 “실사결과 가격이 10% 이상 차이나면 정산해야 하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예정가를 고수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편으로는 해태음료 연간 매출의 절반정도에 불과한 양해각서상의 인수가격은 불합리하다며 최종 담판때 좀 더 받아야 겠다는 주장도 편다. 해태음료를 빠른 시일안에 인수,여름성수기 때 장사를 해야 하는 제일제당측으로서는 마음이 급한 게 약점이다. 노주석기자 joo@
  • “세무공무원은 골프도 안된다”

    안정남(安正男)신임 국세청장의 행보가 연일 화제를 뿌리고 있다. 안청장은 취임 첫날 1만6,000여 국세청공무원들에게 2가지 ‘특명’을 내렸다. 첫째는 폭탄주 금주령.모든 회식은 대중음식점을 이용하고 술자리에서 폭탄주를 금하라는 엄명이었다.화끈하기로 둘째가라면 서러운 국세청 사람들의‘술자리문화’에 대변화가 시작된 것이다. 또 한가지는 골프금지령이었다.안청장은 “대부분이 골프를 하지 않지만 극히 일부에서 ‘몰래골프’를 즐긴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면서 “감찰을 보내 조사하지는 않겠지만 당장 그만두라”고 지시했다.골프장 부킹 등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세무공무원이 골프에 맛을 들일 경우 업무에 지장을줄 뿐아니라 국민에 봉사하는 서비스기관으로 거듭나겠다는 국세행정대개혁의 화두에도 맞지 않는다는 것이 안청장의 판단이었다. 철저한 상명하복으로 움직이는 국세청조직의 생리상 청장의 한마디는 지엄하다.특히 사상최대 규모의 인사를 코앞에 두고 있기 때문에 더욱 무게가 실린다.‘대한민국 금부(金府)’의 수장인국세청장의 폭탄주 및 골프금지령이국세청을 비롯 전체 공무원사회에 미칠 파장이 만만찮을 것같다. 노주석기자 joo@
  • 스톡옵션 5,000만원까지 비과세

    스톡옵션(주식매입선택권)을 부여받은 회사 임직원이 옵션을 행사할 경우주식매입가액이 연간 5,000만원을 넘지 않으면 세금을 물리지 않는다. 국세청은 3일 최근 금융기관과 대기업을 중심으로 스톡옵션제도를 도입하는 사례가 늘어남에 따라 세원관리지침을 마련해 일선 세무서에 시달했다.현재 43개 법인의 4,042명이 스톱옵션을 부여받은 것으로 집계됐다. 지침에 따르면 옵션 행사이익의 귀속연도는 옵션을 행사하는 해이며 옵션행사에 따른 이익은 행사하는 월(月)의 근로소득으로 간주해 소득세를 원천징수하되 연간 합계액이 5,000만원 미만이면 비과세한다. 노주석기자 joo@
  • 국세청도 ‘젊은 피’ 대거 수혈

    국세청의 대대적인 물갈이 인사가 임박했다. 2일 황수웅(黃秀雄·행시14회) 대구지방국세청장이 행시 11∼13회 선배기수들을 제치고 국세청 차장으로 전격 내정됨에 따라 행시10회 이상(특별승진포함) 선배 기수 7명이 물러나 인사의 ‘숨통’을 터놓았기 때문이다. 특히 황청장의 발탁은 ‘청장=호남,차장=영남’이라는 지역안배의 틀을 유지한 가운데 대폭적인 세대교체의 의지를 담았다.이날 황재성(黃再性·72년특승)서울지방국세청장,박래훈(朴來薰·77년 특승)본청 직세국장,박석환(朴錫煥·행시8회)중부지방국세청장,오문희(吳文熙)본청 징세심사국장(행시10회),황규종(黃圭鍾·89년 특승)국세공무원교육원장 등 고참 7명이 용퇴한 것도이같은 인사권자의 의중을 읽은 때문이다. 이에 따라 지방청장 6자리와 본청 국장 9자리,서울청 국장 5자리,국세공무원교육원장 등 3급이상 간부 21명 대부분의 자리가 바뀔 전망이다.요직인 중부 및 경인청장에는 봉태열(奉泰烈·행시13회)조사국장,장춘(張春·12회)광주청장,이재광(李在光·13회)기획관리관 등 행시 12∼13회가 치열하게 경합중이다.본청 및 서울청 국장은 행시 13∼14회가 주류를 이루면서 18∼19회등 ‘젊은 피’의 대거 기용이 예상된다. 국장급인사의 여파에 따라 300여명에 이르는 부이사관 및 서기관 과장,일선 세무서장,복수직 서기관 등의 대거 승진 및 전보인사도 뒤따를 전망이다. 사무관 1,100여명을 비롯 하위직 인사는 오는 9월 직제개편이 이뤄지는 시점에서 추가로 단행될 것으로 점쳐진다. 노주석기자 joo@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