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軍기지 4,000만평 반환
한미 양국은 2011년까지 주한미군의 병력과 군시설을 효율적으로 분산·재배치하는 내용의 주한미군 개편안을 검토중이며 합의가 이뤄질 경우 이행시기를 훨씬 앞당길 계획이라고 미국 국방부가 17일 밝혔다.
국방부 대변인인 크레이그 R 퀴글리 해군 소장은 이날 정례 브리핑을 통해 “한국 전역에 걸쳐 상당수의 미군기지를폐쇄하는 대신 지정학적 위치를 감안, 새로운 지역에 제한적으로나마 기지를 신설하고 미군 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하는 방안을 한국의 군 당국과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퀴글리 소장은 “주한미군의 전면적인 개편방안은 윌리엄코언 전 국방부 장관이 지난해 초 지시한 것”이라며 “논의의 초점은 주한 미군의 규모 자체가 아니라 한국 전역에병력과 시설을 어떻게 재배치,더욱 효율적으로 운용하느냐하는데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주한미군은 오는 2011년까지 단계적으로 경기도파주, 동두천,의정부,서울 등 15개 기지와 파주·동두천·포천 등 3개지역의 훈련장 등 지난 45년 미군 주둔이후 사용해온 4,000여만평 규모의 군소기지를 한국측에 반환하는내용의 연합토지관리계획안을 18일 우리측에 제안했다고 국방부는 밝혔다.
국방부는 “미군은 대신 대형기지 주변 토지 75만평을 매입,미국측에 공여해 줄 것을 요구해왔다”고 덧붙였다.
한미 양국은 지난 2월 시작된 ‘연합토지관리계획’(LandPartnership Plan) 협상을 오는 11월 워싱턴에서 열릴 한미연례안보협의회(SCM)에서 최종 합의각서 형식으로 마무리짓기로 하고 각종 제안 등을 협의중이다.
미군이 반환키로 한 기지 및 훈련장부지 4,000여만평 중에는 파주,동두천,포천 등 3개지역에 위치한 군소 훈련장 3,900여만평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소음과 관련,민원이제기된 매향리 쿠니사격장,파주 스토리사격장과 서울시청이전 부지인 서울 용산기지 등은 포함되지 않았다.
국방부는 쿠니 및 스토리사격장,부산 캠프 하야리아,대구캠프 워커 등 19개 기지와 훈련장의 추가반환을 요구하고있다.미군이 반환하는 4,000여만평 중 3,500여만평은 사유지인 것으로 알려졌다.
노주석 기자·워싱턴 백문일특파원 joo@